||<-3> {{{#fff,#000 {{{+2 '''우비흐어'''}}}[br]'''{{{-1 tuex̂ıbze}}}[* /tʷɜxɨbzɜ/]'''[br]{{{-2 Ubykh Language}}}}}} || ||<-2> '''유형''' ||[[교착어]] || ||<-2> '''어순'''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 ||<-2> '''서자방향'''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 ||<-2> '''문자''' ||[[키릴 문자]][br][[로마자]] || ||<-2> '''주요 사용 지역''' ||'''없음''' || ||<-2> '''원어민''' ||'''없음''' || ||<-2> '''계통''' ||[[북서캅카스어족]][br]우비흐어 || ||<|4> '''언어[br]코드''' || [[국제표준화기구|{{{#fff '''ISO'''}}}]] '''639-3''' ||uby || || '''글로톨로그''' ||ubyk1235 ||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BbPc1OaRGQ4)] || 우비흐어는 [[체르케스인|체르케스계]] 민족인 [[우비흐인]]이 사용했던 언어다. 현재는 소멸했다. 우비흐어 표현인 트워흐(tuex̂ı, /tʷɜχɨ/)를 차용한 페히어(Päkhy)로도 알려져 있다. == 문법 == 우비흐어는 [[북캅카스어족]] 우비흐어파에 속한 언어였다. 우비흐어는 인접 언어들과도 연관성이 있었는데 특히 [[아디게어]] 및 [[카바르다어]]와 매우 가까운 언어였다. 우비흐어는 자음의 비중이 84개로 매우 높았던 반면, 모음수는 2개로 매우 부족했다. 형태론적으로는 격변화가 존재했으며 [[교착어]]와 [[포합어]]의 성격을 띠었다. == 역사 == 우비흐어는 19세기 말까지 [[러시아]]의 [[캅카스|북캅카스]]와 흑해 연안인 [[소치]] 부근에서 거주하던 우비흐인에 의해 존속했다. 하지만 [[러시아 제국]]이 북캅카스 지역을 침략하면서 우비흐인들은 전쟁에서 패하고 [[오스만 제국]]으로 추방됐고 북캅카스 지역의 우비흐어도 거의 소멸했다.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한 우비흐인들은 튀르키예인으로 동화되었고 동시에 우비흐어 화자도 많이 줄어들었다. 마지막 우비흐어 화자였던 테브피크 에센치(Tevfik Esenç, [[1904년]] ~ [[1992년]] [[10월 7일]])가 사망하면서 우비흐어는 소멸했다. == 기타 == || [youtube(DNTGMLDRWt8)] || [youtube(kwzh9o9kyRw)] || 우비흐어는 사어(死語)지만, 테브피크 에센치의 구술을 채록한 프랑스인 문헌학자 조르주 뒤메질(Georges Dumézil, [[1898년]] [[3월 4일]]~[[1986년]] [[10월 11일]])의 노력으로 우비흐어로 된 자료는 많이 남아 있는 편이다. 그리고 우비흐어를 표기하기 위한 [[라틴 문자]]나 [[키릴 문자]] 체계가 있는데 대개 라틴 문자 체계가 사용된다. 우비흐인들은 대부분 튀르키예인으로 동화되었지만 튀르키예 내의 우비흐인들을 중심으로 우비흐어를 부활시키기 위한 움직임이 존재한다. [각주] [[분류:유럽의 언어]][[분류:튀르키예의 언어]][[분류:아시아의 언어]][[분류:개별 언어]][[분류:사어]][[분류:교착어]][[분류:포합어]][[분류:러시아-튀르키예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