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속담]][[분류:고사성어]][[분류:태도]] ||||||||||||||<:>
'''[[고사성어|{{{#white 고사성어}}}]]'''|| ||<:>{{{+5 '''[[井]]'''}}} ||||<:>{{{+5 '''[[底]]'''}}} ||||<:>{{{+5 '''[[之]]'''}}} ||||<:>{{{+5 '''[[蛙]]'''}}} || ||<:>우물 '''정''' ||||<:>밑 '''저''' ||||<:>어조사 '''지''' ||||<:>개구리 '''와''' || [목차] == 개요 == [[우물]] 안에서만 사는 [[개구리]]는 [[하늘]]의 넓이나 [[바다]]의 깊이를 우물만큼의 넓이와 깊이로만 이해한다는 뜻. 자신만의 [[세계]]에 빠져 있거나 세상물정 모르는 존재가 상식적이고 폭넓은 [[문제]]나 [[진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일 때 주로 쓰인다. == 상세 == [[장자]]에서 나오는 문구 "정와불가이어해(井蛙不可以語海)"에서 기원한 [[속담]]이다. >[[황하]]의 신 하백(河伯)이 자신이 다스리는 황하가 물이 불어 끝없이 펼쳐진 것을 보고 매우 흡족했다. 그런데 바다를 보고는 경악했다. 자신이 가장 크다고 생각했던 것이 무너진 것이다. 이를 보고 바다를 지키는 신인 약(若)이 하백에게 세 가지 충고를 한다. > * 우물 속에 있는 개구리에게는 바다에 대해 설명할 수가 없다.(井蛙不可以語海, 정와불가이어해) 그 개구리는 우물이라는 공간에 갇혀 있기 때문이다.(拘於虛也, 구어허야) > * 한[[여름]]에만 사는 여름 곤충에게는 얼음에 대해 설명해 줄 수 없다.(夏蟲不可以語氷, 하충불가이어빙) 그 곤충은 자신이 사는 여름이라는 시간만 고집하기 때문이다.(篤於時也, 독어시야) > * 편협한 지식인에게는 진정한 도의 세계를 설명해 줄 수 없다.(曲士不可以語道, 곡사불가이어도) 그 사람은 자신이 알고 있는 가르침에 묶여 있기 때문이다.(束於敎也, 속어교야) >---- >장자 외편 17 이 우물안 개구리 이야기는 장자 17편에서 다음과 같이 변주된다. 동해의 거북에게 우물 안 개구리가 우물을 자랑하자, 거북은 바다의 크고 넓음을 이야기 해준다. 이를 들은 개구리는 크게 놀라서 정신을 잃는다. 모든 [[인간]]에게는 자신이 경험하고 배운 것에 명백한 한계가 있지만 그러한 경험과 지식에 집착하기 쉽기 때문에 주의하라는 의미로 이 고사가 생겨났다. 이 고사는 이런 한계에서 벗어나고자 자신이 속한 시간과 공간에서 벗어나 생각할 줄 알아야 하며,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이 전부라는 [[고정관념]]을 버리고 타인의 가치관과 경험 등을 이해하는 [[상대주의]]적 관점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표본조사]]의 원인이기도 하다. 비슷한 의미를 가진 말로 '좌정관천(坐井觀天)'이 있는데, 우물 안에서 하늘을 바라본다는 이야기이다. 중국 문학자 [[한유]]의 논문집 '원도'에서 나오는 이야기이고, '우물 안 개구리'라는 속담을 사자성어로 쓸 때 '정중지와(井中之蛙)'와 '정저지와(井底之蛙)'[* 중국어로는 /jǐngdǐzhīwā/로 발음한다.]와 함께 '좌정관천'도 쓰인다. [[정약용]]은 열집 남짓 사는 시골에서 퉁소 좀 분다고 이름나도 서울기생방 일급연주자 앞에선 고개도 못드는 수준이며, 잘 모르는 것들이 조잡한 운구로 스스로를 도연명이나 사령운에 빗대고, 어설픈 글로 왕희지나 왕헌지에 빗댄다고 했다. 실제 유래는 개구리가 아닌 [[맹꽁이]]일 가능성이 높다. ([[http://www.cbi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9272|#]]) == 사례 == * 2010년에 [[PC]]가 5년 내에 사라질 거라고 한 [[팬택]]. 하지만 휴대폰에는 [[임베디드 시스템]]이라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고, 결국 '''P'''ante'''C'''h이 먼저 사라졌다.[* [[스마트폰]] 역시 임베디드 시스템이라는 한계가 있기에, 프로그래밍에는 결국 PC를 비롯한 범용 컴퓨터가 필요하다.] * 각종 정보 및 [[콘텐츠]]도 잘못 활용하면 우물 안 개구리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SNS인 [[트위터]]에는 차단 및 뮤트 기능이 있어 보기 싫은 글은 안 보게 하는 기능이 있다. 그래서 보고 싶은 것만 보다 보니 자연스레 생각의 넓이 및 깊이가 좁고 얕게 되는 것. 중립적 생각을 갖고 있으면 모를까, 이것이 곧 [[극단주의]]로 퍼지면서 정치적 싸움으로 번지기도 한다. [[인지적 종결 욕구]]와도 유관한 문제이며, 결국은 [[https://photohistory.tistory.com/11433|사람이 문제라고 지적한 사람]]도 있다. * 한 분야에서만 전문가이고, 다른 분야에서는 아예 무지한 '전문 바보' 역시 우물 안 개구리의 대표적인 예이다. [[a rolling stone gathers no moss|성공하려면 한 우물만 파라는 말]]이 있지만 이 또한 [[과유불급]]이다. '[[학제간 연구]]' 문서도 참고할 만하다. * 한편으로 우물에서 벗어나고 싶어도 그러지 못할 수도 있다. 이는 [[학습된 무기력]]으로 이어진다. 우물 안 개구리의 문제는 우물 안에 있는 게 아니라 개구리인 것이라는 블랙 유머도 있다. 용이나 호랑이였으면 우물을 뛰쳐나왔을 테니까. * 일본에서는 흔히 '井の中の蛙大海を知らず'(우물 안 개구리, 큰 바다를 알지 못하고) 라는 식으로 쓰인다. 1970년대의 라디오 프로그램인 '에이 로쿠스케의 누군가와 어딘가에서' (永六輔の誰かとどこかで) 에서 이 말의 뒤에 "されど空の蒼さを知る"(하지만 하늘의 푸르름을 안다) 라는 식의 문구를 덧붙인 것이 유명해져서 이런저런 매체에서 인용되곤 한다. 예시로 [[에어기어]]에서는 '井蛙不可以語於海者 而知空深(정와불가이어어해자 이지공심)' 즉, 우물 안 개구리처럼 바다를 말하지 못하는 자라도 하늘의 깊이를 알 수 있다는 문구가 사용되었다. == 관련 문서 == *[[갈라파고스화]] *[[개똥철학]] *[[개문읍도]] *[[경로의존성]] *[[국수주의]] *[[국뽕]] *[[국뽕 유튜버]] *[[일본 극우사관]] *[[넷 우익]] *[[중화사상]] *[[분청]] *[[그들만의 리그]] *[[닫힌 사회]] *[[문화 지체]] *[[반향실 효과]] *[[북한]][* 다만 북한 주민들은 윗선의 정보 통제 때문에 '''강제로''' 우물 안 개구리가 된 케이스다.] *[[선민사상]] *[[세대 갈등]] *[[꼰대]] *[[잼민이]] *[[어른들은 말이 안 통한다]] *[[요즘 젊은 것들은 버릇이 없다]] *[[수박 겉 핥기]] *[[시골쥐와 도시쥐]] *[[자국 혐오]] *[[일뽕]] *[[중뽕]] *[[정규분포]](세상은 정규분포) *[[정보격차]] *[[정보적 약자]] *[[좆문가]] *[[진영논리]] *[[진입장벽]] *[[찻잔 속의 태풍]] *[[코즈믹 호러]] *[[편견 및 고정관념]] *[[논리적 오류]] *[[새로움에 호소하는 오류와 전통에 호소하는 오류]]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뇌피셜]] *[[편향]] *[[좋았던 옛날 편향]] *[[확증 편향]] *[[확대해석]] *[[학습된 무기력]] *[[학제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