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파일:우리정의당 흰색 로고타입.svg|width=200]]|| ||<-2><:>{{{#FFFFFF '''우리정의당'''}}}|| ||<-2> [[파일:우리정의당 로고.png|width=100px]] || ||<-2> 신문지상 광고 및 정당 홍포 포스터에 활용되었던 우리정의당 로고 || ||<:>'''한문 명칭'''||우리正義党|| ||<:>'''창당일'''||[[1988년]] [[2월 15일]] (정의평화당)|| ||<:>'''당명 변경'''||[[1988년]] [[4월 2일]] (우리정의당)|| ||<:>'''해산일'''||[[1988년]] [[4월 28일]]|| ||<:>'''당 색'''|| {{{#FFFFFF 군청색 ,,(#5870C0),,}}} || ||<:>'''스펙트럼'''||[[중도주의|중도]] ~ [[중도우파]] || ||<:>'''해산 전 대표'''||[[김상철(1947)|김상철]]|| ||<:>'''해산 전 주소'''||[[서울특별시]] [[서초구]]|| [목차] [clearfix] == 개요 == 우리정의당은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 후보자를 냈던 군소 정당이다. 언론에서 사용한 약칭은 '''정의당'''이다.[* 정의평화당 시절부터 쭉 그래왔다. 존속 기간이 2개월도 안되지만 말이다. 이후의 [[정의당]]이 진보정당인 것을 생각하면 참 아이러니.] 창당한 김상철의 이념적 성격이나, [[신보수주의]] 이념을 내세운다는 언론 보도[*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8010800329210004&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88-01-08&officeId=00032&pageNo=10&printNo=13009&publishType=00020|#]]]로 보아 보수 정당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다. == 창당 과정 == [[김상철(1947)|김상철]][* 훗날 [[문민정부]] 출범 직후 서울시장에 임명되었으나 7일 만에 사퇴한 바로 그 사람이다.] 당시 변호사가 '정의평화당'이라는 이름으로 1987년 12월 신당 창당을 선언하였고, 12월 29일 창당추진위원회를 발족하였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2209609#home|#]]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7122900209202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7-12-29&officeId=00020&pageNo=2&printNo=20382&publishType=00020|#]] 그렇게 정의평화당 당명으로 1988년 2월 15일 창당대회를 열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8021500329201016&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88-02-15&officeId=00032&pageNo=1&printNo=13041&publishType=00020|#]] 당대표를 중앙평의회 '''의장'''이라고 부르는 것이 특색이다. 창당 후 1988년 4월 2일 개칭하였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040200329201018&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88-04-02&officeId=00032&pageNo=1&printNo=13081&publishType=00020|#]] 총선을 20여일 앞두고 급히 당명을 개정한 것. == 상세 == >'''문 좀 열어주세요''' - 맑은 샘물을 떠왔읍니다. >---- > 제13대 총선 당시 슬로건[* 김상철 후보자의 벽보 및 아래의 MBC 보도 영상에서 확인 가능하다.] 1988년에 치러진 13대 총선에 [[김상철(1947)|김상철]], [[백철(1956)|백철]] 등의 후보자를 공천했으나 모두 낙선하였다. 당시 공보물상 탁한 파란색을 당색으로 사용하였다. 당내 포스터와 로고는 [[https://imnews.imbc.com/replay/1988/nwdesk/article/1808378_29513.html|MBC 보도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으나 해상도가 무척 낮다. 한편 당시 혁신세력이 참가한 [[한겨레민주당]] 측에서는 정의당(당시 명칭 정의평화당) 창당준비위원 33명 중에 절반이 우리 쪽으로 넘어올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8021700329202010&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88-02-17&officeId=00032&pageNo=2&printNo=13043&publishType=00020|#]] 혁신을 표방하는 군소정당끼리 경쟁 관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결국 당선자를 못 내 1988년 4월 28일 해산되었다.[* 2014년 [[헌법재판소]]에서 총선 득표율 미만 정당 해산에 관한 규정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렸다.] == 여담 == * 당명은 "[[우리공화당]][* 약칭을 '우리당'으로 썼던 [[열린우리당]]도 연상된다.] + [[정의당]]"을 연상시키고, 당 로고는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을 연상시킨다. * 15~17, 19대 국회의원을 지냈던 [[신기남]]이 [[새정치국민회의]]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하기 이전에 이 정당에 참여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자와 직업이 같은 인물이 창당발기인 명단에 있는데, 법조인대관에서 일치하는 인물은 국회의원 신기남 뿐이다. [[분류:한국의 없어진 정당]][[분류:1988년 정당]][[분류:1988년 해체]][[분류:대한민국의 보수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