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룩셈부르크의 국가, rd1=우리의 조국(룩셈부르크))]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구 동독의 민요, rd1=우리 조국)] [include(틀:아르메니아 관련 문서)] [include(틀:국가(노래))] [목차] == 개요 == 〈우리의 조국(''Մեր Հայրենիք'')〉[* ''Mer Hayrenik'']은 [[아르메니아]]의 [[국가(노래)|국가]]로, 미카옐 날반댠(Միքայել Նալբանդյան, [[1829년]] [[11월 14일]] ~ [[1866년]] [[4월 12일]])이 작사하고, 바르세그 카나찬(Բարսեղ Կանաչյան, [[1885년]] [[4월 17일]] ~ [[1967년]] [[5월 21일]])이 작곡하였다. 아르메니아가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독립한 직후 건국된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1918~1920)의 국가로 처음 사용되었다. 이후 [[소련]] 치하에서 〈[[소련 국가#s-5.9|아르메니아 SSR 국가]](''Հայկական ԽՍՀ օրհներգ'')〉[* ''Haykakan XSH ōrhnerg'']로 대체되었고 [[소련 해체]] 직전인 [[1991년]] [[7월 1일]] 재채택되었다. 다만 이후 [[2006년]]과 [[2019년]]에 [[아르메니아 SSR]]시절에 사용하던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로 다시 바꾸자는 제안이 있었다. 소련 치하에서 사용하던 국가가 더 힘차고, 작곡가도 [[아람 하차투리안]]이라는 아르메니아 최고의 작곡가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곡조도 아르메니아 민요에서 따왔고, 밝고 힘찬 미래를 암시하기 위해 열린 결말로 끝난다. 게다가, [[2020년]]에 아제르바이잔과의 전쟁에서 패하며 지금의 부드러운 느낌의 국가보다는 강한 아르메니아라는 인상을 주기 위해 다시 이전의 곡을 채택할 가능성도 있다. == [[아르메니아어]]와 [[한국어]] 가사 == [youtube(nxhMfBYvFmA)] [youtube(h65Lj3sxP70)] [youtube(IGYP4_65qgM)] [youtube(c27ExWPPFBY)]아르메니아 공화국 독립 25주년 기념 열병식 국가 연주 [youtube(orHjX3rDqG4)]2022년 3월 13일 바하근 하차투랸 5대 대통령 취임식에서 [youtube(fqr-eQPa_Iw,start=92)]2023년 1월 1일 새해 기념 국가 연주 ||{{{+1 '''Մեր Հայրենիք, ազատ անկախ,'''}}} /Mer Hayrenik’, azat ankakh,/ 자유롭고 독립된 우리의 조국은 (메르 하이레니크, 아잣 안까흐) {{{+1 '''Որ ապրել է դարե դար'''}}} /Vor aprel e dare dar/ 수 세기에 걸쳐 존재해왔노라 (보르 아쁘렐 에 다레 다르) {{{+1 '''Իր որդիքը արդ կանչում է'''}}} /Yur vordik’ə ard kanch’um e/ 이제 우리의 자손들이 모이네 (유르 보르디크 아르드 깐춤 에) {{{+1 '''Ազատ, անկախ Հայաստան։'''}}} /Azat, ankakh Hayastan./ "자유로운 독립 아르메니아를 향하여" (아잣 안까흐 하야스딴) {{{+1 '''Ահա եղբայր քեզ մի դրոշ,'''}}} /Aha yeghbayr k’ez mi dərosh,/ 여기, 그대의 깃발이 있노라. (아하 예그바이르 케즈 미 드로시) {{{+1 '''Զոր իմ ձեռքով գործեցի'''}}} /Zor im dzerrk’ov gortsets’i/ 우리 형제가 만들었노라. (조르 임 제르코브 고르쩨치) {{{+1 '''Գիշերները ես քուն չեղա,'''}}} /Gishernerə yes k’un ch’egha,/ 잠 못 드는 밤을 새워 (기셰르네르 예스 쿤 체가) {{{+1 '''Արտասուքով լվացի։'''}}} /Artasuk’ov ləvats’i./ 눈물로 만들었나니. (아르따수코브 르바치) {{{+1 '''Նայիր նրան երեք գույնով,'''}}} /Nayir nəran yerek’ guynov,/ 삼색기를 보라. (나이르 느란 예레크 구이노브) {{{+1 '''Նվիրական մեկ նշան'''}}} /Nəvirakan mek’ nəshan/ 하나의 가치 있는 상징이라. (느비라깐 메크 느샨) {{{+1 '''Թող փողփողի թշնամու դեմ'''}}} /T’ogh p’oghp’oghi t’əshnamu dem/ 적을 향해 비추어라. (토그 포그포기 트슈나무 뎀) {{{+1 '''Թող միշտ պանծա Հայաստան։'''}}} /T’ogh misht pantsa Hayastan./ 그대, 아르메니아는 영원토록 영광스러우리. (토그 미슈뜨 빤짜 하야스딴) {{{+1 '''Ամենայն տեղ մահը մի է'''}}} /Amenayn tegh mahə mi e/ 죽음은 어디에서나 같고 (아메나인 떼그 마흐 미 에) {{{+1 '''Մարդ մի անգամ պիտ մեռնի,'''}}} /Mard mi angam pit merrni,/ 사람은 한 번만 죽으니 (마르드 미 안감 삣 메르니) {{{+1 '''Բայց երանի՝ որ յուր ազգի'''}}} /Bayts’ yerani, vor yur azgi/ 죽은 이에게 축복을 받으리라. (바이츠 예라니 보르 유르 아즈기) {{{+1 '''Ազատության կզոհվի։'''}}} /Azatut’yan kəzohvi./ 그의 조국의 자유를 위하여. (아자뚜탼 끄조비)|| [각주] [[분류:아르메니아]][[분류:국가(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