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코요태)] ||<-2>
'''{{{#ffffff,#ffffff [[원피스(애니메이션)|{{{#fff 원피스}}}]] 한국판 OP[br]우리의 꿈}}}'''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hzVowikkBk, width=100%, height=480)]}}} || ||<-2> '''{{{#ffffff,#ffffff TV ver. ,,(KBS판 초기),,}}}'''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KzO_X8RyPM, width=100%, height=480)]}}} || ||<-2> '''{{{#ffffff,#ffffff TV ver. ,,(KBS판 후기),,}}}'''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Myx2Z0fXlE,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2 (대원판 1000화)}}}}}}'''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kJWnXmJcpQ,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5eFAfq_DSKQ,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2 (20주년 기념 앨범 REborn)}}}}}}''' || || '''노래''' || [[코요태]] || || '''작사''' || [[이원희(PD)|이원희]][* 원피스 KBS 더빙판 연출을 맡았다.] || || '''작곡''' || 박요한[* KBS 더빙판 엔딩도 작곡했다. 자세한 건 [[나를 너에게]] 항목 참조.] || || '''편곡''' || [[이용민]]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만화 [[원피스(만화)|원피스]]의 [[원피스(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버전]] '''[[KBS]]-[[KBS2|2TV]] 한국어 더빙판 1~6기[* 1~219화까지. [[원피스(만화)/워터 세븐 편|워터 세븐 편]]에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직전에 일종의 쉬어가는 에피소드로 진행된 [[폭시 해적단]]과의 대결까지 방영했다고 보면 된다.] 오프닝곡.''' [[대한민국]] 역대 애니메이션 오프닝 곡 중에서도 손에 꼽는 인기를 자랑하는 전설적인 명곡으로, 특히 1980년대 말~2000년대 초반생들 사이에서 매우 높은 인지도를 자랑하고 있다. 조성은 사장조(G Major)이다. == 특징 == 일본 외 국가에서 원피스 애니메이션을 방영할 땐 일본판 1기 오프닝 곡인 [[We are!]]를 번안하는 경우가 절대다수였는데, 한국어 더빙판은 [[질풍가도]]처럼 특이하게 '''순수 창작곡'''을 사용했다. 아직 [[일본 대중문화 개방]]이 100% 완료되지 않은 2003년에 방송을 시작했기 때문에 일본판 노래를 번안하는 데 애로사항이 많아서이며,[* 이 정책은 2004년에 들어서야 완벽히 적용되었다. 물론 공중파 방영이라는 환경상 번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을 것이다.] 결국 창작곡을 사용하는 쪽으로 결정했다고 했다. [[원피스(만화)|원피스]]가 워낙 대히트를 친 만화라[* 어느 정도냐면, [[에이스(원피스)]]가 죽었을 당시 네이버 실검 1위부터 10위가 모두 원피스 관련 검색어로 줄세워지기도 했고, [[기어 5]]가 등장한 날에 온 커뮤니티가 원피스 떡밥으로 가득 차 있었을 정도였다.] 1980년대 말~1990년대생들은 대부분 이 만화를 알고 있으며, 이 만화의 애니메이션판 역시 높은 인지도를 자랑하여 어린 시절 KBS 더빙판 원피스를 보고 자란 세대엔 정말 초월적인 인지도를 자랑한다. 웬만한 당대의 히트곡보다도 인지도가 높은 수준. 때문에 세대가 지나면서 코요태의 노래가 꽤나 잊어진 2020년대 즈음에는 코요태가 불렀던 노래 중에는 거의 독보적인 인기와 인지도를 자랑하는 곡이 되었다. 가수 코요태를 몰라도 이 노래는 아는 사람이 있을 정도. 이렇게 높은 인지도를 자랑하는 노래이지만 노래의 풀버전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은데, TV 오프닝에서는 시간상 신지의 후렴부분을 일부 도려냈기 때문. 더군다나 2003년 5월 20일 [[원피스(애니메이션)|원피스]] 애니메이션 방영 시작부터 이 곡이 한국어 더빙판의 오프닝 곡으로 사용되었지만 정식 음원으로 발매되지는 않다가 이후 15년 뒤인 2018년에서야 코요태 데뷔 20주년을 맞이해 음원이 정식으로 발매되었기에 풀버전을 들을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았다. 그래서 유튜브에서는 풀버전을 처음으로 듣는다거나 낯설다는 댓글이 종종 달린다. 이후 한국 내 원피스 애니메이션 방영 판권이 [[대원방송]]으로 완전히 넘어간 이후에도 오랜기간 오프닝 곡으로 사용하다가, 16기부터 [[We go!]] 원곡으로 교체되었고 17기부터 We go!의 번안 버전을 사용했다. [[조성]]은 '''G Major(사 장조)'''로 [[파#fa]](F)에 샤프(♯)가 붙어있다. 처음 [[전주(동음이의어)|전주]](前奏) 부분부터 F 코드를 연주해야 하고[* F코드는 하이코드이기 때문에 상당히 어렵다. Cm코드 역시 하이코드이다.] 레♯(Cm), 도♯(A7) 등등의 반음이 섞여 있다. 1000화가 국내에서 방영된 2021년 12월 9일에 대원측에서 우리의 꿈을 공식적으로 사용한 한국어 더빙판만의 오프닝을 송출해 팬들의 니즈를 충족시켜 줬다.[* 방송 심의상 1분 33초 부분에서 상디가 물고 있는 담배를 모자이크 처리하느라 상디의 '''얼굴이 모자이크 처리'''되기도 했다.] == 커버 == [youtube(It_k8ew59U4)] [[공군]] [[군악대]]에서 이 곡을 커버한 적이 있다. [youtube(uFmQcu8HenY)] 근데 신지가 해병대에서 우리의 꿈을 불렀다. 그리고 해병들의 어마어마한 [[떼창]]도 [[모순|덤]]이다. --해적 노래를 떼창하는 MARINE-- [youtube(gderxyAQ8XQ)] 2018년 12월 24일, [[코요태]] 데뷔 20주년 기념 2번째 리메이크 곡으로 <우리의 꿈>이 공개되었다. 코요태의 전성기 히트곡[* Passion, 애련, 불꽃, 느리게 걷기, Like This]을 작사, 작곡했던 작곡가 [[이용민]]이 편곡에 참여하였다. 음원은 4분 13초 풀버전이다. [[Re-born Part.2 우리의 꿈]] 항목으로. [youtube(HItaQ9GXNE8)] 2019년에는 [[김종민]]이 [[뇌피셜(웹예능)|김종민의 뇌피셜]] 구독자 10만 달성 공약으로 혼자서 [[몽키 D. 루피|루피]]를 코스프레하고 전곡을 완창했다. 다만, [[고음]]이 너무 높은데다가 당시 김종민이 성대결절에 걸린 상태라 원키인 G Major(사 장조)가 아닌 G♭ Major(내림 사 장조)로 [[조옮김]]을 하여 불렀고 튠을 넣었다. 노래 들어 보면 성대결절 때문에 목소리가 갈라진 게 느껴진다. 20주년 기념 앨범에서 선보인 음역대를 전곡 소화하면서 가수 김종민의 기량을 오랜만에 제대로 폭발시켰는데, 가장 많은 좋아요가 눌린 댓글도 '아 이형 '''가수'''였지'일 정도. 반응이 상당히 좋아서, 조회수가 무려 694만 회[* 2022년 11월 4일 13:13 기준]를 돌파했다. [youtube(N-TyY-2Zz8s)] 2019년 7월 [[뇌피셜(웹예능)|뇌피셜]] 1주년 기념으로 [[홍대거리]] [[떼창]] [[플래시몹]]을 했다. [[https://youtu.be/q7paFNx7eqM|직캠]] == 가사 == || '''{{{#FFFFFF 우리의 꿈}}}''' || || '''ALL {{{#0074FF 김종민}}} {{{#FF009C 신지}}}''' {{{#0074FF 내 어린 시절 우연히 들었던 믿지 못할 한마디 이 세상을 다 준다는 매혹적인 얘기 내게 꿈을 심어주었어}}} {{{#0074FF 말도 안돼 고개 저어도 내 안의 나 나를 보고 속삭여 세상은 꿈꾸는 자의 것이라고 용기를 내 넌 할 수 있어}}} {{{#FF009C 쉼 없이 흘러가는 시간 이대로 보낼 수는 없잖아 함께 도전하는 거야 너와 나 두 손을 잡고 우리들 모두의 꿈을 모아서}}} {{{#727272 (''외로움과 두려움이'') (''우릴 힘들게 하여도 결코 피하지 않아'') (''끝없이 펼쳐진 드넓은 바다에'') (''희망이 우리를 부르니까'')}}}[* 애니 오프닝에서는 생략된 가사. 풀버전과 음원에 존재한다.] {{{#FF009C 거센 바람 높은 파도가 우리 앞길 막아서도 결코 두렵지 않아 끝없이 펼쳐진 수많은 시련들 밝은 내일 위한거야}}} {{{#FF009C ONE PIECE!!}}} || 최고음은 '''3옥타브 레'''[* 당연히 여자키인 신지 파트에서 나온다. 하지만 여성 기준으로도 남자로 치면 2옥타브 라쯤에 해당하는 고음역대라 여자가 부르기에도 상당히 높다.]로, 일반인 남성 기준으로 혼자 부르기에는 매우 어려운 곡이다. 김종민의 '내 어린 시절 '''우연히'''' 이 부분은 [[https://www.youtube.com/watch?v=junvn7qKikc|'''김나박이라 해도 김종민보다 못할 것이다''']]라는 말이 나올 만큼 많은 사람들이 김종민의 음색을 칭찬하는 부분이다. == 여담 == * 이 노래가 나왔던 2003년에는 [[코요태]]가 [[김종민]]-[[신지(가수)|신지]]에 객원 멤버 [[정명훈(가수)|정명훈]]이 활동했던 시기였다. 빽가는 1년 뒤인 2004년에서야 합류했고 이 때문에 노래에 랩 가사가 없다. 2021년 리메이크판에서도 빽가의 파트는 없다. * 2015년 12월 5일, [[히든싱어4]]에서 신지의 모창 가수로 나온 [[앤씨아]]가 이 노래를 짧게 불렀다. * [[1박 2일]]에 [[김종민]]이 출연하다보니 가끔 나온다. * 2018년 11월 4일, [[윤시윤]]이 원피스를 좋아해서 김종민한테 이 곡을 부르도록 시켰다. 다만 김종민의 가창력이 불안정한 탓에 [[삑사리]]가 터졌다. * 2022년 9월 18일, [[김종민]]이 이 곡을 불렀다. [[http://www.slist.kr/news/articleView.html?idxno=385636|기사]] * 2019년 2월 24일, [[미운 우리 새끼]]에서 코요태가 노래방에서 불렀다. 그것도 원키로. 순간적으로 지나가긴 했지만 역시 실력이 건재한 걸 증명했다. * 2019년 3월 1일, [[유희열의 스케치북]]에 출연한 코요태 멤버들이 지금의 20대들에게 코요태를 알려준 고마운 곡이라고 언급하며 불렸다. [[https://youtu.be/XV9lVhS3rPY|영상]] * 2021년 6월 16일,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 떼창 유발자 특집에 출연한 신지가 밝히기로는 사실 코요태는 팬들이 우연히 '우리의 꿈'을 불러 달라는 요청에 뭔지 모르고 있다가 자신들이 옛날에 부른 만화 주제곡이라는 사실을 알았다고 한다. [[https://youtu.be/Lo8ML-Tf1Yk|영상]][* 사실 이런 경우는 흔하다. 가수들은 워낙 많은 노래를 부르다 보니 오래전에 불렀던 노래, 특히 마이너 장르인 애니 주제가는 기억하지 못하기도 한다.] 지금은 모두 2030세대가 된 90년대생들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며, 공연마다 종종 부르곤 한다. 공연영상을 보면 엄청난 떼창을 들을 수 있다. [[https://youtu.be/2pXe5MFQcmw|2019년 5월 24일 영상]] [[https://youtu.be/L7H5ihvxXDM|2019년 8월 3일 영상]] [[https://youtu.be/JY72EnErjrE|2019년 10월 26일 영상]] [[https://youtu.be/Wn5evhow_7E|2019년 12월 8일 영상]][[https://www.youtube.com/watch?v=JQcyfCjUwuA|2023년 1월 12일 영상]] * [[잡코리아]]의 광고에 삽입되었다. [[https://youtu.be/_no-MFFaiBY|보러가기]] * 2022-23 시즌 이후 [[서울 우리카드 우리WON]]의 [[장충체육관]] 홈경기에서 '장충노래방'이란 행사를 통해 팬들의 떼창 및 스마트폰 플래시 작동 시간에 활용하고 있다. [[https://youtube.com/shorts/nDncTpEV7aI?feature=share|#]] [[https://youtu.be/P5Ew0tQ_1wo|#]] 잘 이어만 진다면 SSG의 연안부두나 인천 유나이티드의 새벽처럼 스포츠 구단의 클럽송 느낌이 될지도 모를 일. * [[전주 KCC 이지스]]의 [[박경상]]의 22-23시즌 테마곡으로 박경상이 홈경기에 출전하는 날 경기 전 이벤트에서 박경상을 소개할 때 재생했다. * 2023시즌 프로야구 [[롯데 자이언츠]]의 [[한동희]]가 등장곡으로 이 곡을 선택하며 간간히 들렸는데, 그 때문인지 응원단이 가끔 이 노래를 부른다. [[https://youtu.be/6fPp9IJdt9w|4월 30일 키움전]] [[kt wiz]]의 투수 [[손동현]]도 이 곡을 등장곡으로 골라서 사용하고 있다. * 원래 콘서트를 제외한 공연장에서 이 노래를 부르는 건 무반주로 1절 정도 짧게 불렀는데, 2023년 [[경희사이버대학교]] 축제 이후로 페스티벌 등 젊은 연령대가 많은 공연에서는 MR과 함께 완곡을 하기 시작했다. * [[최강야구]]의 2023시즌 독립리그 올스타와의 직관경기에서 비선수출신의 육성선수 [[선성권]]이 등판할때 이 곡이 BGM으로 깔리면서 등장했다. 엘리트교육을 받지 않은 선수의 프로선수를 지망하는 꿈에 부합하여 많은 관중, 시청자들의 심금을 울렸다. 또한 보통 중간만 틀거나 중간에서 끊는것과 달리 이 곡이 나오는 동안 등장, 연습투구, 관중들을 향한 인사를 하는 내내 곡이 끊기질 않았다. [[분류:코요태]][[분류:2003년 노래]][[분류:원피스(만화)/음악]][[분류:애니메이션 음악/한국 창작곡]][[분류:가요]][[분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