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 Urethane}}} ([[요소#s-2|Urea]] + [[에터|Ether]] + [[알케인|Ane]]) 카밤산에스터와 카밤산에틸의 총칭. 영어식 발음은 '유레세인'에 가깝다. == 종류 == === 카밤산에스터 === H^^2^^NCOOR. 카밤산 H^^2^^NCOOH의 -OH기가 -OR기로 치환된 것. [[알코올]] 혹은 [[페놀류]]의 존재 확인 용도로 쓰이나 잘 사용되지는 않는다. === 카밤산에틸 === 대개 우레탄하면 떠올리는 것이다. H^^2^^NCOOC^^2^^H^^5^^. 막대 모양 결정으로 [[녹는점]] 50℃, 끓는점 184℃. 보통 [[최면]]제로 쓰이나 효과가 적어서 [[심장병]]으로 인해 다른 최면약을 써선 안 되는 경우에 쓰인다. == 용도 == 대개 우레탄이라 하면 [[바닥]] 포장, [[방수]] 용도로 쓰이는 걸 떠올리는 사람이 많다. 그 외에도 합성섬유, 페인트, [[보호필름]], [[볼링]]공, [[구체관절인형]], 시계 밴드, 인조가죽에도 쓰이며 [[티볼]] 공이나 배트도 우레탄으로 만드는 등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이것을 발포, 부풀려서 사용하는 [[우레탄폼]]도 매트리스, 충격흡수재, 단열재 등으로 사용되는데, 자세한 내용은 해당항목 참고. == 위험성 == [include(틀:발암물질)] 우레탄은 [[아스팔트]]와 비교해서 비교적 부드럽기 때문에 학교 [[운동장]]의 달리기 계주용 트랙이나 농구장, 테니스장 등의 야외 구기 종목을 하는 경기장에 주로 이용되었다. 과거 다용도로 널리 쓰였으나 동물 실험 결과 [[발암물질]]로 밝혀진 이후 용도가 점차 축소되고 있다. [[학교]]의 경우 발암물질로 인한 안 좋은 인식과 문제점이 크게 확산되어 설치된 우레탄을 다시 뜯어내고 [[인조잔디]]나 [[아스팔트]] 등등의 [[마감재]]를 사용하기도 하며 예전처럼 [[모래]]로 덮어버리는 케이스도 있다. 그 대신, 다수의 우레탄을 중합 과정으로 연결한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은 상대적으로 독성이 낮아 많이 사용되는 중이다. [[담배]]에도 우레탄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 여담 == * 폴리우레탄에 자외선을 쬐면 붉은색을 띠는 퀴노이드라는 물질이 생성되는데, 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진 휴대폰 젤리케이스가 처음에는 투명해보이다가 햇볕(자외선)을 쬐면 점점 때가 탄 것처럼 누렇게 변하는 것도 이 현상 때문이다. 한번 누렇게 변한 우레탄은 씻는다고 다시 원래대로 돌아오지 않기 때문에 이 같은 경우 새 젤리케이스로 바꿔야 되며, 이를 처음부터 막기 위해서는 자외선 방지 필름이 부착된 젤리케이스를 사용해야 되는데, 자외선 방지 필름도 젤리케이스 변색을 완전히 막지는 못하고 변색의 속도만 늦춰준다. 그리고 하필 변색되는 색깔이 손때랑 비슷해서 원인을 모르는 사람은 손때를 제거하려고 갖가지 방법으로 세척을 시도하기도 하는데, 성분 자체가 변한 것이기 때문에 어떤 방법으로 세척해도 소용없다.[[https://youtu.be/Jp9ZgQNcGKs|#]] [[분류: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