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 우랄바곤자보드}}}'''[br]Уралвагонзавод[br]Uralvagonzavo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우랄바곤자보드 로고.svg|width=100%]]}}} || ||<|3> '''정식 명칭''' ||[[러시아어]]: А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br]"Уралвагонзавод" имени Ф. Э. Дзержинского» || ||[[영어]]: JSC Research and Production Corporation[br]"Uralvagonzavod" named after F. E. Dzerzhinsky || ||[[한국어]]: F. E. 제르진스키의 이름을 딴[br]우랄바곤자보드 연구-생산 주식회사 || || '''형태''' ||대규모 기업집단 || || '''산업 분야''' ||복합 || || '''창립''' ||[[1936년]] [[3월 2일]][* 정확히는 사명이 정해진 때다.]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 '''본사''' ||[[스베르들롭스크 주]] 니즈니타길 || || '''모회사''' ||[[로스텍]] || || '''자회사''' ||[[첼랴빈스크 트랙터 공장]] || || '''웹사이트''' ||[[http://www.uvz.ru|[[파일:attachment/UVZlogo.png|width=50px]]]] || [목차] [clearfix]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ralvagonzavod_building.jpg|width=100%]]}}} || || 회사 건물. 앞에 [[독소전쟁]] 당시 주력 생산 [[전차]]였던 [[T-34-85]]가 세워진 것이 인상적이다. || == 개요 == 우랄바곤자보드는 [[방위산업체]], [[철도차량]] 제작을 주력으로 하는 [[러시아]]의 대규모 연구-생산기업 집단(대기업)으로 [[예카테린부르크]] 주 니즈니 타길에 위치해 있다. 사명인 우랄바곤자보드는 지명인 [[우랄산맥|우랄]](Урал)과 철도차량을 뜻하는 바곤, 왜건(Вагон[* [[러시아어]]에는 W와 대응하는 [[키릴 문자]]가 없기에 베 발음이 나는 В를 이용해 표기한다. 그래서 왜건이 바곤이 된 것.]), 공장을 뜻하는 자보드(Завод)를 합친 것으로 이를 그대로 번역하면 우랄열차공장(Ural Wagon Factory)이 된다. == 역사 == 공장의 역사는 [[이오시프 스탈린]]의 제2차 국민경제 5개년 계획이 진행되던 1931년부터 시작된다. 31년부터 공장을 짓기 시작하여 36년 3월에 완공된 뒤 [[펠릭스 제르진스키]]의 이름을 따서 제르진스키 기념 우랄 열차제조 공장(Уральский вагоностроительный завод имени Ф. Э. Дзержинского)이 되어 이듬해 10월부터 열차를 출고했다. 그런데, 1941년 [[독소전쟁]] 발발로 [[우크라이나]]와 동러시아 부분에 있던 공장설비들을 옮기는 작업을 진행했는데, [[하르키우|하리코프]]에 있는 현 우크라이나 유일한 전차 공장인 [[말리셰프 공장]](당시 183번 공장)의 전차 생산설비와 [[하리코프 모로조프 설계국|KMDB]] 설계국이 이곳 니즈니 타길로 옮겨져 183번 우랄전차공장으로 합쳐졌다. 그뒤 [[제2차 세계대전]]을 치루면서 공장은 소련 전역은 물론, 세계에서 가장 많이 전차를 생산한 공장이 된다. 특히 [[T-34 전차|T-34]]가 가장 많이 생산되면서 [[소련군]]의 기갑을 책임졌다. 전쟁이 끝나자, 전차생산수는 감소했고, 전쟁이 끝나자 구 말리셰프 183번 공장설비들과 설계국들은 1945년 ~~고향으로~~ 본국으로 돌아갔고 새로 1951년 하리코프 디젤 75번 공장을 차렸다.[* 원래 하리코프가 가지고 있던 183번 공장과 OKB-520 설계국 명칭, 장비, 설계도등은 그대로 우랄열차공장에 남았다.] 그후 우랄바곤자보드는 다른 기계장비의 생산으로까지 확대했는데, 농기계에서부터 '''[[보스토크]], [[보스호드 계획|보스호드]], [[프로톤]], [[에네르기아]] 로켓'''과 같은 우주[[로켓]]도 개발/생산을 해내었다. 그리고 소련/러시아의 네임드 전차 [[설계국]] 중 하나인 카르체프-베네딕토프 설계국(OKBTM)이 이 니즈니타길의 우랄바곤자보드에 위치해있다. 그 공로를 인정 받아 소련 시절 [[레닌훈장]]을 2회, [[적기훈장]]을 1회, [[10월혁명훈장]]을 1회, [[노력적기훈장]]을 1회, 조국전쟁훈장을 1회 수훈했다. 소련이 붕괴되고 러시아가 되자 이 우랄바곤자보드도 점진적인 [[민영화|사기업화]]가 진행되었다. 최근 프라모델 메이커인 [[즈베즈다(모형 메이커)|즈베즈다]]에 라이센스를 꽤 퍼주고 있다. 혜택을 본 차종은 [[T-90M|T-90MS]], [[T-14|아르마타 전차]], [[T-15|아르마타 보병전투차]], [[BMPT]], [[BMPT|BMPT-72]], [[2S35 칼리챠-SV]]를 포함해 기갑차량 몇 가지. == 사업부문 == === 방위산업체 === [[2차대전]]부터 [[냉전]]기를 거쳐 현 러시아군의 기갑을 책임지는 방위산업체다. 자세한 것은 다음 계열사 문단 참조. ==== UKBTM ==== [[러시아어]]: ОАО «Уральск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УКБТМ) [[영어]]: OJSC Ural Transport Machine Building Design Bureau (UKBTM) [[한국어]]: 우랄운송장비설계국 주식회사 (UKBTM) [[독소전쟁]] 발발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우랄바곤자보드는 스베르들롭스크 주 니즈니타길에 위치한 열차 공장이었다. 그러나 하리코프 공방전의 여파로 하리코프 183번 공장(공장 산하 75번 엔진공장, OKB-520 포함)이 비교적 안전한 러시아 후방에 각지로 피난을 갔다. 183번 공장 전차 공정 및 OKB-520는 니즈니타길 우랄바곤자보드와 병합 및 전차 생산, 75번 공장은 첼랴빈스크 주 ChTZ에 병합 밎 V-2 계열 엔진 생산, 열차 공정은 크라스노야스크 지역으로 대피했다. 183번 공장의 전차 공정과 설계국을 떠안게 된 우랄바곤자보드는 183번 우랄전차공장(UTZ)으로 병합되어 [[T-34-76|T-34]] 양산에 전념했다. 전쟁기간 동안 모로조프 OKB-520 설계국은 니즈니타길에서 [[T-34-85]]와 [[T-44]], [[T-54]] 등을 개발했다. 전후 75번 공장이 하리코프를 복귀했고, 51년 OKB-520에서 설계팀 간의 불화로 모로조프 설계팀이 떨어져나와 하리코프로 복귀 했고 새로 KB-60 설계국을 세웠다. 그리하여 51년부터 OKB-520의 설계국장 및 수석 설계자로 [[레오니트 카르체프]]가 임명되었고, OKB-520 이름으로 만들어졌기에 UVZ소속으로 남은 T-54를 기반으로 카르체프가 [[오비옉트 140]]을 설계해서 50년대 소련군 차기 중형전차 계획에 모로조프의 야심작 [[오비옉트 430]]과 경합하게 된다. 당연히 겉으로 보기엔 많은 기술 진보를 보인 오비옉트 430이 채택되어 경합에서 패배했으나 이에 카르체프는 굴하지 않고 자신들이 T-54를 개량한 [[T-55]]와 미사일 전차로 개발중이었던 [[오비옉트 150]]의 승무원 및 내부 구조를 기반으로 오비옉트 165를 설계했고, 여기에 115mm [[2A20]] 활강포를 주포로 채용한 [[오비옉트 166]]이 개발되어 오비옉트 150[* 처음에는 T-55 기반이었으나 T-62가 채택되고 나중에 T-62를 기반으로 차체가 재설계되었다],165/166이 각각 [[IT-1]], [[T-62]]로 군에 성공적으로 채택됐고 빠른 시일내에 우랄바곤자보드에서 양산되어 배치된다.[* 사실 UVZ가 원래 차기 전차로 밀어주려던 전차는 166의 개수형인 167이었기 때문에 애초에 166을 양산을 할 생각도 없이 곧바로 167의 개발을 시작했었다. 그러나 115mm 활강포를 꼭 보고 싶었던 [[바실리 추이코프]]의 닥달에 설계국으로서는 그냥 완성품인 167을 위해 거쳐가는 시험기 정도로 생각해서 기대도 하지 않았던 166이 반 억지로 T-62 이름을 달고 그냥 양산되어 버린다.] 예전부터 항상 원투톱을 다투던 하리코프의 라이벌 [[하리코프 모로조프 설계국]](KMDB)과 세력을 조금씩 키워나가던 [[옴스크]]의 또 다른 라이벌 [[옴스크트란스마쉬]]가 있었다. [[키로프 공장]]이나 [[첼랴빈스크 트랙터 공장]](ChTZ)은 전형적인 소련 [[중전차]] 설계국으로써 [[T-80]]을 개발하고도 별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소련 해체]]로 KMDB와 말리셰프 공장이 하루 아침에 남의 나라가 된 [[우크라이나]] 국영기업으로 넘어가 나가리가 됐다. 지금도 둘은 우크라이나 방위산업체 우크로보론프롬(Ukroboronprom)의 일원으로 T-64BV 개량, [[T-84]] 개발 등 우크라이나 방위산업체의 톱으로 남아 있다. 반면에 옴스크트란스마쉬는 사실상 단일 방위산업체로서 우랄바곤자보드의 열차, 키로프/ChTZ의 트랙터 생산설비와 같은 다른 돈벌이수단도 없었고, 가뜩이나 휘청거리던 소련군이 망하고 생긴 신생 러시아군에서도 돈이 없어서 더 이상 옴스크의 T-80U를 사줄 수가 없었다. 그 결과 옴스크는 T-80U 수출 계획, 블랙 이글이라 불리는 [[오비옉트 640]]을 개발해냈지만 자금난을 면치못하고 2000년 지금의 사명인 옴스크트란스마쉬로 개명되어 국영기업으로 남아있다가 2007년 운송장비설계국(KBTM)으로 개명되어 지분 99.9%가 인수되어 우랄바곤자보드의 계열사가 됐다. 2014년 다시 원래 사명인 옴스크트란스마쉬로 환원됐다. 하다못해 [[ChTZ]]와 VNII트란스마쉬[* 구 소련운송장비연구소로 VNII-100(100번 연구소)라고도 불렸다. 키로프 공장과 ChTZ 등이 합작해서 [[T-10]]이나 [[PT-76]] 등을 개발했다.]도 계열사로 편입시켰다. 키로프 공장과는 이때도 딱히 마찰이 없었으나, 키로프 공장 스스로 트랙터 생산에만 몰두하다 설계국을 통째로 공중분해시켰다. 그리하여 현 러시아 방산업계상 최고 연구 및 생산 기업이다. 1990~2000년대 러시아에서 설계국 대규모 통폐합이 진행되면서 이때 나가리가 된 구 소련 각 전차 설계국과 공정을 다량이 보유해 최고의 연구력을 자랑하는 러시아 기갑의 메카이기도 하다. 일부에서는 UKBTM에서 직접 설계한 전차가 없고 남의 설계국 전차를 빼앗다시피 가져왔다며 까이기도 한다. 당장 가장 많이 뽑았다고 자랑하는 T-34만 해도 개발 자체는 하리코프에서 개발된 것이고, 이후의 T-54도 하리코프에서 온 모로조프 설계팀이 우랄바곤자보드로 와서 개발한 것이라 까이기도 한다. 물론 이런 의견은 개발자와 회사를 혼동한 일부 몰지각한 자들의 의견에 불과하여 당연한 말이지만 설계안의 소유권은 설계사 개인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당시 설계를 한 회사에게 있는 것이기에 T-54는 누가 설계를 했건 간에 UKBTM에서 설계된 것이 맞으며 T-54를 자체적으로 개량한 T-55, 140과 T-62 역시 자사의 전차를 개량한 UKBTM의 것이 확고하다. 또한 원래 UVZ내에서도 그냥 기술 시험기였으나 의외로 양산된 T-62가 아닌 진짜 T-64A의 대항마로 만들고 있던 167부터는 기술과 솔루션에서 모로조프의 방법과 상당히 거리가 멀어졌으며 195역시 다른 설계국의 전차를 참고했다 할 수는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이전의 187 같은 자체 기술로 설계하여 만들어 본 전차에 다른 설계국의 전차에 사용된 기술 일부를 입수하여 만든 것이기에 UKBTM에서 자체 개발한 전차가 없다는 말은 상당히 틀린 말이다. 조금의 공통점이 있다고 남의 것을 빼앗았다 한다면 소련/러시아 전차사에서 크리스티 전차 이후에 독창적인 전차가 있긴 한가? ==== 기타 자회사 ==== * [[옴스크트란스마쉬]] * [[우랄트란스마쉬]] * [[ChTZ]] * [[스페츠마쉬]] * VNII트란스마쉬 === 철도차량 === 사실 우랄바곤자보드 단어의 의미는 '우랄객차공장'이라는 말이다. 이름과 걸맞게 [[열차]]와 [[객차]] 등을 제조한다. ~~방산업과 제조업 투잡~~ 그리고 [[전차]]와 [[철도차량]]은 대중량을 받아내는 [[서스펜션]] 등 기술적으로 유사한 부분이 많다. 그리하여 '''철도차량 제조업체가 방산에, 방산업체가 철도차량 제조업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애시당초 우랄바곤자보드 이전 소련 전차개발의 중심지였던 하르코프의 모로조프 설계국도 하르코프 기관차공장의 전차설계팀이 모태였다. 대한민국의 경우에도 [[현대로템]]이 철도차량과 [[K-1 전차]]를 같이 생산한다. 또한 독일의 [[레오파르트1|레오파르트 전차]]의 제조업체인 크라우스 마파이도 [[ICE 1|철도차량 제조에 참여한 적이 있다]]. [[파일:Sapsan-2-Velaro-RUS-siemens.jpg]] 최근, 러시아 우랄바곤자보드와 [[지멘스]]가 합작하여 삽산2 열차를 개발 중에 있다. 이미 차세대 고속차량에 들어갈 지멘스의 견인전동기가 [[삽산]] 16편성에 장착되어 운행한 적이 있으며, 최대속도는 400km/h, 영업운행속도는 360km/h의 성능과 2023년에 영업운행 시작을 목표로 제작 중이다. 지멘스 벨라로의 방계형 차량이 될 것이며, 예상스펙은 지멘스가 현재 개발 중인 [[벨라로 NOVO]]의 스펙과 비슷한 수준으로 보인다. [[https://railcolornews.com/2020/10/23/ru-siemens-sinara-new-sapsan-2-high-speed-trains-for-rzd/|최근 예상 디자인이 공개되었다]] 그러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여파로, 지멘스가 러시아에서 철수하였으며, 삽산 고속철도 유지보수와 라스토치카 무인전기열차, 삽산2 공동개발에 대한 기존 계약도 사실상 취소되었다고 한다. [[https://press.siemens.com/global/en/pressrelease/siemens-wind-down-russian-business|#]] === 생산 및 활동 === 기업의 주요 생산 목록은 [[기관차]]나 [[화차(철도)|화차]], [[전차]]와 [[자주포]] 같은 기갑차량, 도로 건설장비, 금속제품 등을 제조한다, 2008년에는 [[T-90]]이 20%를 차지했다. 그때는 러시아 국방부의 80대 T-90A, [[인도]]의 60대 T-90S, [[알제리]]의 53대 T-90SA를 공여했다. ~~와 풍년이다~~ 이때가 러시아 시절 가장 전차의 생산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때였다.[* 이렇게 생산되는것은 중국에서도 꽤나 힘든일이다. 더군다나 T-90A 급인 전차들은 전부 3~3.5세대 급 [[주력전차]]인것을 잊지말자.] 하지만 2008년 이후로는 [[러시아군]]은 T-90을 생산하는것 보단 T-72B를 개량하는데 모든 힘을 쏟아붓고 있어서, 회사의 사장마저 울분을 토했다. ~~[[운수 좋은 날|새것이 있는데 왜 사지 못하니]]~~ 그리고 열차와 민간용 총 생산량은 2/3였다. 러시아 기업중에서는 최고의 기계 생산과 연구를 자랑하는 기업이라고 러시아 정부에서 인정했다. 우랄바곤자보드는 니즈니 타길을 먹여살리는 회사로도 알려져 있다. [[월드 오브 탱크]]의 스폰서이며 [[아머드 워페어]]에 고증을 제공한다. 아머드 워페어의 경우 실제 UVZ 전차의 스펙과 명칭 심지어 소리까지 그대로 업데이트 할 예정이라고 하는데 언제 할 지는 아무도 모른다. ~~제작사가 러빠인 이유.~~ 최근 즈베즈다 사의 1:35 스케일 [[T-14]] 모델링 작업에 참여한 바가 있다. 출시된 모형을 모델러들이 만져본 결과는 제일 부정확하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구권에서 경제제재를 가한 결과, 우랄바곤자보드의 공장이 부품 수급문제로 가동 중지되었다는 가짜뉴스가 퍼졌으나 실제로는 계속 공장이 가동중이었고 전차를 납품하고 있는중이다. == 생산/연구제품 == === 군용차량 === * [[T-34 전차|T-34]] * [[T-54]] * [[T-55]] * [[T-62]] - 1961년부터 75년까지 생산. * [[T-72]] - 1996년까지 생산되었으며, 현재는 기존의 T-72를 개수하여 납품한다. * [[T-90]] - 2005년부터 생산되었으며, 2018년 현재까지 T-90S 같은 해외 수출형을 수출하고 T-90M[* 기존 개수형 이외의 신규 생산분]을 러시아군에 납품하고 있다. 이외에도 T-90 기반 BMR-3M(지뢰제거전차), IMR-3M(전투공병전차), MTU-72(교량전차)[* 이상하게도 구난전차인 BREM-72는 빠져있는데, 아마 생산은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특수차량도 생산된다. * [[아르마타|다용도 전투 차체 아르마타]] - 연구하다가 취소했던 위의 [[T-95]]의 기술을 다시금 되살려서 개발을 진행 중인 차세대 전차. * [[2S35 Koalitsiya-SV]]·[[2S35 Koalitsiya-SV-O]]·[[2S35-1 Koalitsiya-SV-Ksh]] - 우랄트란스마쉬와 같이 만들다가 현재 우랄트란스마쉬가 하위회사로 합병됨 * TBS-86 - 전차용 불도저 장치 * [[BMPT]] - 전차지원전투차량. T-72 차대를 사용하여 제작해 전차의 기동이 쉽지 않고 고각 사격이 힘든 시가전을 염두에 두고 생산하고 있고, 2018년 전승기념일 퍼레이드에 등장하는 등 양산이 제개됐다. === 민간용 중장비 === * ET-1 - 굴착기 * EO-5126 - 궤도형 굴착기 * EO-33211A - 차륜 굴착기 그 외 농기계 및 [[컨테이너]] 화물객차 등. === 철도차량 === * 기관차 * NEVZ 2ES5K 영구 2중련 전기기관차 * TEP70BS 디젤 전기기관차 * EP20 전기기관차 * GT-1 2중련형 가스터빈 전기기관차 * 전동차 * ED4 전동차 * ED4M 전동차 * 화차 * 12-196-02 무개차 * 15-5157-04 유조차 * 19-5167 호퍼형 무개차 (비료 수송용) * 객차 * TVZ 형 객차 * 기타 * R1 콘셉트 노면전차 * 18-555 화차용 대차 == 관련 문서 == * [[GABTU 코드명]] == 둘러보기 == [include(틀:소련의 설계국 및 생산공장)] [[분류:우랄바곤자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