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발렌시아 CF/간략)]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기야몬23-24.png|width=100%]]}}} || ||<-2> '''{{{#000,#e5e5e5 발렌시아 CF No. 6}}}''' || ||<-2> '''{{{#f47920 {{{+1 우고 기야몬}}} [br]Hugo Guillamón}}}''' || || '''{{{#000,#e5e5e5 본명}}}''' ||우고 기야몬 산마르틴 [br]Hugo Guillamón Sanmartín || || '''{{{#000,#e5e5e5 생년월일}}}''' ||[[2000년]] [[1월 31일]] ([age(2000-01-31)]세) || || '''{{{#000,#e5e5e5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 || '''{{{#000,#e5e5e5 출신지}}}''' ||산세바스티안 || || '''{{{#000,#e5e5e5 신체 조건}}}''' ||[[키(신체)|키]] 182cm / [[체중]] 62kg || || '''{{{#000,#e5e5e5 포지션}}}''' ||'''[[수비형 미드필더]]'''[* 21-22시즌 부족한 3선 뎁스로 인해 수미 자리에 뛰고 있으며, 22-23 시즌부터는 아예 정착하였다.], [[센터백]][* 이전의 주 포지션. 카타르 월드컵 명단에서도 수비수로 발탁되었으며, 21-22 시즌까지는 수비형 미드필더에서 주로 뛰면서 센터백들이 줄줄이 이탈하였을 때는 센터백으로 경기를 나섰다.] || || '''{{{#000,#e5e5e5 주발}}}''' ||오른발 || || '''{{{#000,#e5e5e5 등 번호}}}''' ||[[발렌시아 CF]] - 6번 || || '''{{{#000,#e5e5e5 유스 팀}}}''' ||[[발렌시아 CF]] (~2018) || || '''{{{#000,#e5e5e5 소속 팀}}}''' ||[[발렌시아 CF 메스타야]] (2018~2020)[br]'''[[발렌시아 CF]] (2020~ )''' || || '''{{{#000,#e5e5e5 국가대표}}}''' ||3경기 1골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 2021~ )^^ || || '''{{{#000,#e5e5e5 SNS}}}''' ||[[https://www.instagram.com/hugoguillamon3/|[[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8]]]]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HGuillamon, 크기=28)]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페인 국적의 [[발렌시아 CF]] 소속 축구선수다. == 선수 경력 == === [[발렌시아 CF]] === ==== 2021-22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기야몬6.jpg|width=100%]]}}} || 등번호를 6번으로 변경하였다. 21-22 시즌 [[헤타페 CF|헤타페]]와의 개막전에서 [[다니엘 바스]]와 짝을 이뤄 중앙 미드필더로 출전했지만 거친 태클로 [[스티븐 제라드|경기 시작 '''30초'''만에 퇴장당했다.]] 다행히 팀은 [[카를로스 솔레르|솔레르]]의 PK골로 1:0 승리. 2라운드에서 퇴장징계로 결장했다. 3라운드에서 복귀해 왼쪽 윙으로 선발출전 했는데, 아직 미드필더 포지션에 적응이 되지 않은듯 부족한 모습을 보여줬다. 하지만 팀은 3대0 완승을 거뒀다. 4라운드 오사수나 전에선 미드필더 자리에 적응이 된 듯 좋은 탈압박을 보여주며 팀의 완승에 기여했다. 수비형 미드필더 자리에 정착하고 있다. 센터백에 출전할 때보다 훨씬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2라운드 비야레알전에서 어려운 각도에서 골을 넣는다. 코파 델 레이 4강 2차전 빌바오전 팀이 결승에 진출한다. ==== [[발렌시아 CF/2022-23 시즌|2022-23 시즌]] ==== 2022-23 시즌부터는 완전히 수비형 미드필더 자리에 정착하여 주전으로 활약하고 있다. 그러나 시즌 말미로 갈수록 떨어지는 본인의 폼과 결국 본 포지션이 아니라는 한계로 인해 포백 보호나 3선에서의 1차 저지, 중원 장악 등 홀딩이 해야 할 역할은 커녕 마크맨을 놓치거나, 바로 옆에서 주는 기본적인 숏패스를 받을 때조차도 미스를 자주 범하는 등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곧 팀을 강등권으로 떨어뜨린 여러가지 문제점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 [[발렌시아 CF/2023-24 시즌|2023-24 시즌]] ==== 콜업된 [[하비 게라(2003)|하비 게라]]와 새로 영입된 [[페펠루]]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 다만 매 경기 교체로는 투입되며 점점 나은 폼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 위안거리. == 국가대표 경력 == 2021년 6월 A대표팀 주장 세르지오 부스케츠가 코로나 19에 확진되었다.이에 A대표팀이 자가격리를 거치며 친선경기 리투아니아전 일정을 U21 대표팀이 대신하게 되어 여기에서 데뷔했다. 전반 3분만에 데뷔골을 넣었다. 22-23시즌 초중반 공수 양면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스페인 대표팀 명단에 포함되었다. 깜짝 발탁이라는 의견이 많았고,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하면서 첫 월드컵을 마무리했다. == 플레이 스타일 == 주 포지션은 [[센터백]]이었지만, 약한 피지컬로 인해 [[수비형 미드필더]]로 포변 후 성공한 케이스. 특히 라인을 한 번에 깨부수는 양질의 롱패스를 이용한 빌드업 상황에서 뛰어난 면모를 보이며, 딥 라잉 플레이메이커형 수미로 성장 중이다. 미드필더로 뛸 만큼 활동량도 좋은 편. 키가 큰 편은 아니지만, 좋은 위치선정과 점프력을 통한 헤더 능력도 상당하다. 다만, 플레이의 기복이 심하고 수비 스킬이 좋은 편이 아니라 카드 수집도 잦은 편이다. 또한 민첩한 유형의 선수는 아니라 리커버리 능력이 떨어지는 편이고 피지컬이 좋은 편은 아니다 보니, 경합 상황에서는 상당히 무기력하다. == 여담 == * [[이강인]]과 절친한 사이이다. [[페란 토레스]]처럼 이강인과 유스팀, 1군 콜업 경력이 상당히 겹치기 때문으로 보인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발렌시아 CF)] [include(틀: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분류: 2000년 출생]][[분류:2018년 데뷔]][[분류:기푸스코아주 출신 인물]][[분류:스페인의 축구선수]][[분류:바스크의 축구선수]][[분류: 발렌시아 CF/현역]][[분류:스페인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분류:2017 FIFA U-17 월드컵 인도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