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용인시,top2=용인시/정치)] [include(틀:경기도의 기초자치의회)] [include(틀:용인시의회의 원내 구성)] [[파일:ycc.jpg]] [[파일:ycc2.jpg]] [[파일:ycc3.jpg]] [[파일:ycclogo.gif]] [[https://council.yongin.go.kr/|용인시의회 홈페이지]] {{{+1 龍仁市議會 / Yongin City Council}}} [목차] == 개요 == [[경기도]] [[용인시]]의 [[지방의회]]. 용인시의회 의사당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99(舊 [[삼가동]] 556)에 있다. [[파일:제1회 용인군의회 선서.jpg]] 초대 용인군의회는 1991년 3월 26일에 있었던 [[1991년 지방선거]]에 따라 선출되었다. 이 해 4월 15일 14시 30분 ~ 15시 동안 제1회 용인군의회가 개원식을 가졌다.[* 제1회 용인군의회 출석공무원 용인군수 진용관, 국회의원 [[이웅희(정치인)|이웅희]], 용인경찰서장 이성춘(1991.01.03 ~ 1992.07.28.), 용인군교육장 신종순(1991.03.26 ~ 1991.08.31), 용인군 농협지부장 이용구 외 91명.] 1994년 6월 13일 처음으로 일본 [[메구로구]] 의회를 방문해 교류 협력을 맺었다. 1996년 3월 1일, [[용인군]]이 [[용인시]]로 승격되면서 용인군의회가 용인시의회로 개원됐다. == 기능 == * 주민대표기능: 지방의회는 주민이 선출한 의원으로 구성되며, 자치단체의 중요의사를 심의 · 결정하는 주민대표의 기능을 한다. * 자치입법기능: 법령의 범위안에서 지방 조례를 제·개정한 기능을 한다. * 행정감시기능: 행정사무감사 및 조사 · 동의 · 승인과 시 관계 공무원의 출석 요구등을 통해 행정을 감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지방 의회에서 진행하는 행정사무감사는 각각의 상임위원회별로 주요사업 추 진 현장을 방문해 추진실태를 점검·문제점을 파악하고 [[용인시청]] 본청, 직속기관, 사업소, 구청, 읍·면·동 주민센터, 산하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시정전반에 대한 주요 시책사업, 전년도 주요 감사 지적에 따른 조치 결과, 각종 민원들에 대한 처리·조치 결과를 점검하는 것이다. 감사는 매년 제2차 정례회 기간 중 9일 이내로 실시한다.([[https://www.law.go.kr/LSW/ordinInfoP.do?ordinSeq=1359976|용인시 조례]]) == 시의회 구성 현황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 소속 시장이 선출되었지만 시의회는 현재 더불어민주당이 다수당이다. * 의장: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윤원균]] ,,(사 선거구),, * 부의장: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김운봉(1966)|김운봉]] ,,(바 선거구),, 상임위원장 -의회운영위원장: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남홍숙]] -자치행정위원장: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장정순]] -문화복지위원장: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황재욱]] -경제환경위원장: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신민석]] -도시건설위원장: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이진규]] -예산결산특별위원장: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김상수(1959)|김상수]] == 상세 == 1991년 제1대 지방의회 의원선거에 따라 용인군의회가 개원하였으며, 1996년 [[3월 11일]] [[도농복합시|도농복합]]으로 용인군이 [[용인시]]로 승격되면서 용인시의회로 개편되었다. 용인시의사당은 1991년 개원때부터 2005년까지 현재 [[용인도시공사]]가 사용하고 있는 건물을 사용했다. 2005년에 [[용인시|문화복지행정타운]]이 건설되면서 이전하였다. == 사건사고 == === 더불어민주당 소속 시의원들 주류 공항 무단 반입 시도 적발 사건 === 2023년 8월 15일, 더불어민주당 소속 시의원 8명은 4박 6일 일정으로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시로 해외연수로 떠났는데, 이 과정에서 소주를 포함해서 주류 수십 병을 들고서 몰래 반입하려다 현지 세관에 적발됐다. 이들은 공항에 곧바로 억류됐다가 관세를 내고서야 풀려날 수 있었다. 말레이시아는 주류 반입을 1인 1병으로 제한하고 있는 상태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786351?sid=102|#]] == 관련 문서 == * [[경기도]] * [[용인시]] * [[의회]] [[분류:용인시]][[분류:관공서]][[분류:경기도의 기초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