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용인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100_1108.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100_3532.pn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용인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용인시 직행좌석버스 8100번}}} || ||<-6>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용인 8100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단국대학교) ||<-2>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2가(서울역환승센터) || ||<|2> 종점행 || 첫차 || 05:00 ||<|2> 기점행 || 첫차 || 05:55 || || 막차 || 23:00 || 막차 || 23:55 || ||<-2> 평일배차 || 5~13분 ||<-2> 주말배차 || 8~15분 || ||<-2> 운수사명 || [[경기고속]] ||<-2> 인가대수 || 26대[* 이 중 2대가 07:00 07:30 출발 예약버스 고정차량으로 활용된다.] || ||<-3> {{{#ffffff 경유정류장}}} || || '''단국대, 분당''' ||<|11> ↔ || '''서울(도심)''' || || - || 순천향대학병원 || || 단국대영업소[* 지도상에는 '단국대.치과병원' 정류장으로 나와 있으나, 실제로는 차고지 내부에 있는 정류장에서 승차한다. 2013년에 현 위치로 정류장을 이전하였다. 탑승 버스별로 줄을 서서 기다릴 수 있게 표지판에 버스 번호가 적혀 있다.] || 남대문세무서 || || 단국대정문 || 종로2가사거리(중) || || 꽃메마을.새에덴교회 || 을지로입구역.광교 || || 보정동주민센터 || 북창동.남대문시장 || || 오리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5번 승강장) || || 미금역.청솔마을.2001아울렛 || 숭례문 || || 정자역 || 명동국민은행앞 || || 분당구청입구.수내교 || 남대문세무서.서울백병원 || || 판교역.낙생육교.현대백화점 || 순천향대학병원 || == 개요 ==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70km이다. [[http://naver.me/xnat08Ef|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08년 9월 20일 [[간선급행버스]]가 처음 도입되었을 때 생긴 노선이다. 초기 계획은 [[오리역]]에서 출발하는 노선이었으나[[https://imgnews.pstatic.net/image/014/2008/09/20/080919205416.jpg?type=w430|#]][* 이로 인해 용인시 번호(2)가 아닌 성남시 번호(1)을 받게된다. 자세한 내용은 [[간선급행버스]]항목 참고] [[단국대학교]]가 [[단국대학교/서울캠퍼스|서울캠퍼스]]에서 [[단국대학교/죽전캠퍼스|죽전캠퍼스]]로 이전한 후 대중교통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D운송그룹에 차고지 부지를 제공하는 조건으로 연장을 요청하여 단국대 출발 노선으로 개통을 하게 되었다. 다만 개통 초창기에는 단국대학교에서 오리역까지 논스톱으로 운행하였다.[* 이는 동시에 개통한 [[경기광주 버스 1101|8101번]]에도 해당하는 내용이다.] * 2010년 7월 29일 종로2가(01-193) 가변 정류장에서 종로2가사거리(01-001) 중앙차로 정류장에 정차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011년 10월 29일 신분당선 개통에 따른 [[직행좌석버스]]/[[간선급행버스]] 노선 개편 때 꽃메마을과 죽현마을에 추가로 정차하게 되었다. [[https://www.yongin.go.kr/user/bbs/BD_selectBbs.do?q_bbsCode=1001&q_clCode=1&q_bbscttSn=01_5306|용인시 시정소식]] * 2017년 말 ~ 2018년 초에 종로 버스중앙차로공사로 인해 서울 도심구간의 회차가 '서울백병원.평화방송 → 종로2가사거리 → 을지로입구역.광교 → 북창동 → 서울역환승센터 → 숭례문.YTN → 명동국민은행 → 중앙시네마.백병원' 경로에서 M5107번과 9401번을 섞어놓은듯한 경로로 변경되었다. 동시에 서울 구간에서 중앙차로를 이용하던 구간의 정차 위치가 가로변 차로로 변경되었다. * 이후 기존에 운행하였던 '서울백병원.평화방송 → 종로2가사거리 → 을지로입구역.광교 → 북창동 → 서울역환승센터 → 숭례문.YTN → 명동국민은행 → 중앙시네마.백병원' 경로로 환원되었다. 다만 정류장은 가변차로 정류장을 그대로 이용한다. * 2017년 12월 31일부터 삼일대로 중앙차로 대신에 가변차로 정류소를 이용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2018년 12월 7일부터 가로변 정류장인 청계2가교차로 대신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장인 종로2가사거리(01-001)에 정차하는 것으로 바뀌었으며 남대문세무서에서는 그대로 가변차로에 정차한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103021|관련 게시물]] * 2020년 7월 9일~2020년 9월 6일까지 서울역버스환승센터 5번 승강장 공사로 인해 6번 승강장에 정차했었다. * 2020년 11월 2일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면서 인면허기관이 [[광주시]]에서 [[용인시]]로 변경되었다. * 2022년 11월 7일부터 [[판교역(성남)|판교역]].낙생육교.현대백화점에 추가로 정차한다.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556338|관련 게시물]] * 2023년 1월 1일부로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로 이관되었다. [[https://c11.kr/19i93|국토교통부고시 제2022-860호]] * 2023년 8월 14일 22시 부로 수내교가 통제됨에 따라 인근 다리인 서현교로 우회 운행한다. 이때 기존 정류장인 분당구청입구.수내교 정류장은 우회시에도 정상 정차 운행한다. [[https://www.seongnam.go.kr/city/1000052/30001/bbsView.do?idx=345229|성남시 공지사항]] == 특징 == * '''KD 운송그룹 직행좌석버스 수입금 1위,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승차량 4위 노선'''이다.[* 1위는 [[수원 버스 7770]], 2위는 [[고양 버스 1000]]이다.][* 2019년 완행격 노선인 [[경기광주 버스 5500-1|5500-1번]]의 대량감차 및 폐선 이후 이 구간 수요를 싹쓸이하면서 무려 '''15,000명대'''로 올라섰고, 코로나19로 잠시 타격을 입었지만 1년 만에 수요가 80% 수준까지 회복되었다!] * 교통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전 구간 완주 시 서울역 방면은 1시간 15분~1시간 20분, 단국대 방향은 1시간 10분~1시간 15분이 소요된다. * 단국대/죽전/분당구 남부의 미금/정자동에서 에서 서울 도심을 빠르게 이어주는 노선으로 비슷한 구간을 운행하는 [[광역급행버스 M4102|M4102번]], [[성남 버스 G8110|G8110번]]과 같은 도심행 노선들과 달리 서현역, 이매촌한신을 경유하지 않고 수내로를 통해 분당구청 옆에 정차한 후 판교IC로 바로 진입한다는 특징이 강점으로 손꼽힌다. M4102번은 한남동을 정차하지 않고 고가를 타는데다, 판교역에도 정차하지 않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더 빨라 보일수 있지만, 이매촌한신아파트 정류장의 경우 평소에 많이 막히는 도로이고 정차하는 버스노선 수도 매우 많다보니 시간을 너무 잡아먹어서, 결론적으로 더 오래 걸린다고 할 수 있다. 오죽하면 이매촌한신 구간의 경우 정류장 이름은 같아도 노선마다 서는 곳이 약간씩 달라 직접 찾아봐야 할 정도이다. 다만 퇴근시간에 분당으로 향한다면 M4102를 이용하는 게 더 빠르다. 퇴근 시간에는 이매촌보다 한남동이 몇배는 심하게 밀리기에, 남산1호터널에서 나온 이후 순천향대학병원 정류장으로 진입하지 않고 바로 한남 고가차도를 타는 M4102번이 여기서 시간을 훨씬 적게 소모하기 때문이다. * 또 [[광역급행버스 M4102|M4102번]]/[[성남 버스 G8110|G8110번]]은 [[오리역]] 남쪽을 커버하지 못하기에 죽전동/보정동에서 서울 도심으로 가기 위해서는 이 노선밖에 선택지가 없다. 거기에 아무리 M4102와 G8110이 다니고 있다고 해도 분당~서울도심 수요가 워낙에 많으니 8100번 또한 승객이 많은건 당연한 일. 이렇게 되니 성남대로의 도심방향 노선 중에서는 절대적인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성남 버스 G8110|G8110번]]과 [[광역급행버스 M4102|M4102번]] 두 노선은 미금역/정자역 인근에서 8100번 미탑승 승객들을 태우는 8100번의 보조노선 역할을 하고 있다. * 꽃메마을/죽현마을에 정차를 하기 시작한 이후 [[용인 버스 810|마을버스 810번]]을 이용해 [[미금역]]으로 가서 [[광역급행버스 M4102|M4102]]를 타기 위한 수요까지 되려 뺏어오게 되면서, 수요가 더 늘어나 [[오리역]]은 물론이고 그 전 정류장인 죽현마을에서 만석으로 오는 경우가 허다하다. * 퇴근시간에 서울에서 분당으로 갈 경우,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서는 그래도 줄을 서서 자리 잡기가 쉬운 편이나, 명동입구에서는 줄 서서 타도 입석으로 가야하거나 심하면 승차거부까지 일어난다. 백병원과 한남동에서는 거의 무조건 입석으로 가야할 정도. 그리고 이 수요는 심야시간이 될 때까지도 [[:파일:8100-a.jpg|'''줄어들 생각을 안 한다!''']] * 분당 방향도 마찬가지로 분당으로의 역출근 수요와 단국대 통학수요가 겹치면서 (서울 방향만큼은 아닐지라도) 빗자루질이 매일 발생할 정도로 반대 방향도 굉장히 많이 타는, 즉 '''양방향 수요가 모두 많은 것이 압도적인 흑자의 비결이다'''.[* 실제로 학기 중에는 평균 1만 2~3천명을 훌쩍 넘기며, 방학에도 1만 명은 나올 정도로 수요가 꾸준하다. [[인천 버스 9200]] 이나 [[광역급행버스 M5107]] 또한 같은 이유로 상당한 흑자노선이다.][* 8100번보다 높은 승차량을 찍는 [[고양 버스 1000|고양 1000번]]은 출근시간에는 상행 방향만, 퇴근시간에는 하행 방향에만 승객이 몰리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승차량은 크게 차이 안나지만, 운행댓수는 [[고양 버스 1000|1000번]]이 훨씬 많은 편이다.] 이런 어마어마한 수요를 기반으로 [[서울 버스 9401|9401]]과 함께 수도권에서 제일 승객 수가 많은 광역버스 노선으로 손에 꼽히지만[* 9401번은 코로나 시국에도 1만 명을 넘는 승차량을 보여, 7770번을 뛰어넘는 '''전국 직행좌석버스 1위''' 노선이다. 9401번을 순위에 포함하면 8100번은 4~6위에 랭크.], 9401이 승객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경기도 버스에 비해 운송원가가 너무 높아서 [* 9401번은 서울 버스 운송원가 기준에 따라 일평균 '''최소 20,000명''' 이상이 승차해야 하는데, 실제 승객 수는 일평균 13,000명 선에 그치고 있다. 반면 8100번은 9401번 차량대수의 반밖에 안 굴리는데다 운송원가 자체가 낮아 수익률이 높다. 다만, 지금은 두 노선 다 준공영제가 적용 중이라 흑자, 적자 여부는 알 수 없으며 무의미하다.] 사실상 8100번의 판정승. * 수요 최상위권 노선답게 KD 직좌에서 신차 투입순위 0순위 노선이라고 봐도 된다. 실제로 준공영제 시행 후 대부분의 차량이 유니버스 프라임으로 교체되었다. 2023년부터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이 됨에 따라 하나 둘씩 재도색을 하고 있다. * 그러다보니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다른 노선들이 감차되는 와중에도 이 노선은 감차 없이 인가대수를 꽉 채워서 운행한다. 그러다 [[화성 버스 4108|4108번]] 신설 때문에 인가대수가 감차될 뻔 했으나, 금세 다른 노선들에서 충당하고선 변경 없이 25대로 운행 중이다. * 2020년 발생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수요 급감의 사유로 한두대씩 감차되더니 평일 기준 16대로만 운행했었다. 이후 10월 5일부터 별도의 사유를 기반으로 기존 운행댓수로 복귀하여 정상운행을 실시중이다. * [[박문치]]의 데뷔앨범 "울희액이" 자켓에 이 노선이 등장한다. [[박문치/디스코그래피]] 참고. * 2023년 6월 8일부터 07:30분 예약버스시간이 추가되었다. === 일평균 승차량 === * 원 출처는 [[http://gits.gg.go.kr/gtdb/web/trafficDb/bus/TransitBusLinePass.do|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하였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현금 승차량이 생각보다 적을거라 생각하지만, 실제 승차객의 10% 수준은 항상 현금을 내는 것으로 보임] ||<-3> '''평일'''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8,380|| || ||2015년|| 8,680|| {{{#red △ 300}}}|| ||2016년|| 9,106|| {{{#red △ 426}}}|| ||2017년|| 8,297|| {{{#blue ▽ 809}}}|| ||2018년|| 8,387|| {{{#red △ 90}}}|| ||2019년|| 15,493|| {{{#red △ 7,106}}}|| ||2020년|| 8,304|| {{{#blue ▽ 7,189}}}|| ||2021년|| 12,887|| {{{#red △ 4,583}}}|| ||<-3> '''주말'''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5,920|| || ||2015년|| 6,693|| {{{#red △ 773}}}|| ||2016년|| 6,745|| {{{#red △ 52}}}|| ||2017년|| 5,664|| {{{#blue ▽ 1,081}}}|| ||2018년|| 6,513|| {{{#red △ 849}}}|| ||2019년|| 9,538|| {{{#red △ 3,025}}}|| ||2020년|| 5,277|| {{{#blue ▽ 4,261}}}|| ||2021년|| 8,964|| {{{#red △ 3,687}}}||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종각역]], [[서울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오리역]], [[미금역]], [[정자역]], [[수내역]][* 분당구청 하차 후 도보]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미금역, 정자역, [[판교역(성남)|판교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 * [[파일:AREX_icon.svg|width=17]]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광위 준공영제 버스 노선)] [include(틀:분당신도시-서울 도심간 직행좌석버스)] [include(틀:경기도내 대학교 진입버스)] [[분류:용인시의 시내버스]][[분류:2008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경기도의 직행좌석버스]][[분류:성남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용인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