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국회의원 선거구를 다루고 있습니다. 자치구, rd1=용산구)]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용산구/정치)] [include(틀:제22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용산구}}}}}}'''[br]{{{-1 {{{#fff 용산구 일원[br]龍山區[br]Yongsan}}}}}}}}}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용산구.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188,998명 (2024) || ||<-2> '''상위 행정구역''' ||<-2> [[서울특별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용산구|{{{#373a3c,#ddd 용산구}}}]] 전역''' 후암동, 남영동, 청파동, 효창동, 용문동, 한남동, 보광동, 한강로동, 서빙고동, 이촌1동, 이촌2동, 원효로1동, 원효로2동, 이태원1동, 이태원2동, 용산2가동}}} || ||<-2> '''신설년도''' ||<-2> [[제13대 국회의원 선거|1988년]] || ||<-2>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권영세]]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용산구]] 전 지역을 포함하는 선거구다. [[서울역]]과 [[용산역]]이 관내에 있기 때문에 [[서울특별시]]의 관문으로 불리는 선거구이다. 현재 국회의원은 [[주중대사]]와 [[통일부장관]]을 역임한 [[국민의힘]] 소속의 [[권영세]] 의원이다. 25개 구 중에서 [[종로구(선거구)|종로구]], [[금천구(선거구)|금천구]]와 함께 선거구가 통합도 분구도 되지 않은 곳[* 물론 종로구와 용산구는 현행 선거제 이전에는 갑/을로 나눈 적이 있었다.]이다. 2022년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대통령실]]과 [[대한민국 대통령 관저]]가 용산구에 소재하게 되면서 '''[[종로구(선거구)|종로구]]의 뒤를 이을 새로운 대한민국 정치 1번지'''가 된 상황이다. 21세기 기준 보수 경합우세 정도 지역으로, 후술되어있듯 민주당계 당선자도 종종 나오고 떨어져도 표 갈림으로 떨어지는 경우도 있는 등 접전 양상이 생각보단 제법 펼쳐진다. 여기도 [[종로구(선거구)|종로구]]와 비슷하게 관할 구역 내 정치적 성향 차이가 강한 편이다.[* 사실상 [[송파구 을]]과 함께 그나마 서울 내 보수세 2티어 정도로 자웅을 겨루는 중이다. 그 외 송파구 병을 제외한 강남3구쪽은 서울 내 보수세 1티어격에 해당되고, [[마포구 갑]], [[양천구 갑]], [[영등포구 을]], [[강동구 갑]]이 보수세 3티어, [[중구·성동구 갑]], [[중구·성동구 을]], [[광진구 을]], [[동작구 을]], [[송파구 병]]이 보수세 3.5티어라고 보면 된다.] [[한강철교]]에서 [[용산역]] - [[서울역]]까지 이어지는 [[경부선]] 선로를 중심으로 선로 서쪽과 북쪽으로 갈수록 서민층 주거지가 많아 상대적으로 진보 성향이 강한 편이고, 동쪽과 남쪽은 부촌이 많아 보수 성향이 강한 편이다.[* 그래서인지 매 총선마다 개표현황을 보면 청파동과 효창동쪽 투표함이 먼저 열리며 민주당 후보가 한참 앞서나가다가 보수세가 강한 이태원동, 서빙고동, 이촌동의 투표함이 처례로 열리고 화룡점정으로 한남동에서 보수표가 쏟아져나와 민주당 후보가 물을 먹고 낙선하는 식으로 전개가 된다.] 특히 [[경부선]] 철도 기준으로 북서쪽 지역인 청파동과 [[남산(서울)|남산]], [[서울역]]과 가까운 북부 지역인 후암동과 남영동은 용산구 내에서도 진보 성향이 자주 표출되는 편인 동네들이다. 이와 달리 경부선 선로의 동쪽, 남쪽 지역이자 [[한강]]변 지역인 한강로동[* 용산파크자이, 용산시티파크, [[용산 푸르지오 써밋]], [[래미안 용산 더 센트럴]], [[용산 센트럴파크]] 등 [[용산역]] 인근에 개발된 고가의 주상복합 아파트 단지들의 영향이 크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예정지인 용산정비창 부지도 행정구역상 이곳에 속한다.], 동부이촌동[* [[래미안 첼리투스]], [[LG 한강자이]] 등 중대형 평수 위주의 고가 아파트 단지들로만 구성되어 있는 동네다.], 서빙고동[* [[서빙고 신동아아파트]]와 군 고위급 장성, 장교 및 그 가족들이 거주하는 용산 푸르지오 파크타운이 있다.], [[이태원동]][* 고가의 단독주택들이 밀집해 있다. 인근에 [[외교공관|대사관]]과 미군부대가 위치해 있어 [[외교관]] 및 미군 장성들이 거주하기도 한다.] 등의 [[부촌]] 지역들은 보수 성향이 강하다. 특히 [[한남동]]은 [[성북동]] 및 [[평창동]]과 함께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부촌을 보유한 곳으로 대한민국 4대 재벌 총수([[이재용]], [[정의선]], [[구광모]], [[최태원]])가 거주하고 있으며, [[한남더힐]]과 유엔빌리지, [[나인원 한남]] 등이 소재한 곳이기도 하다.[* 한남동은 재벌총수 뿐만 아니라 GD나 BTS 멤버 등 유명 연예인을 비롯해 한남대교를 통해 서초구와도 연결되어 있어서 대법관, 검사장 등 법조계에서 고관대작을 지낸 사람들, 그리고 인근 자치구에 대형교회가 밀집하여 대형교회 소속 사역자들도 많이 살고 있는데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듯이 이들은 대부분 상위 1% 수준의 고소득층이라 상대적으로 보수정당을 지지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대사관이 밀집해있어 외교부 소속의 고위공직자들도 많이 살고 있으며 국방부와 합참이 용산에 있어서 중장급 이상의 고위 장성들도 한남동에 많이 거주하기도 한다. 당장 국방부장관과 합참의장의 공관도 한남동에 있다.] 한 예로 21대 총선 당시에 미래통합당 [[권영세]] 후보가 대부분의 동네에서 열세를 보이며 민주당 [[강태웅]] 후보에게 크게 밀리다가, 위에서 언급된 한강변 지역의 몰표로 사전투표에서의 열세까지 전부 상쇄하면서 간발의 차이로 당선된 적이 있었다. 특히 한강로동, 동부이촌동, 서빙고동은 보수 성향이 강남3구 수준이다.[* 이태원동은 1동과 2동의 우세 정당이 다르며, 이 중 2동의 경우 근래 들어 더불어민주당의 지지도가 높아졌다. 한남동은 20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으로 이적해 출마했던 [[진영(정치인)|진영]] 의원이 승리한 적이 있어서 한강로동, 동부이촌동, 서빙고동에 비해서는 보수 성향이 강하지 않다. 즉, 이태원동과 한남동은 보수 성향이 강하지만 [[종합부동산세|종부세]] 영향 등에 따라 선거 결과가 좌우되는 곳이라고 볼 수 있다.] 서부이촌동과 보광동은 비교적 집값이 낮은 서민층 동네가 있기에 경합에 가깝지만, 서부이촌동은 21대 총선 이전에도 보수정당이 승리한 적이 많아[* 그 예로 [[진영(정치인)|진영]] 전 행정안전부 장관이 [[더불어민주당]]으로 당적을 바꿔 출마했던 20대 총선 당시에도 서부이촌동에서는 [[새누리당]] [[황춘자]] 후보가 승리했다.] 정확히는 보수정당 경합 우세라고 볼 수 있다. 여담으로 13대 총선 이래 16대 의원 [[설송웅]]을[* 역사 강사 출신 작가인 [[설민석]]의 부친이다.] 제외한 역대 국회의원들은 모두 이곳에서 당선된 후 장관을 역임했는데 그 중 14·15대 의원 [[서정화(1933)|서정화]]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장인이다.] [[문민정부]]에서 [[행정안전부장관|내무부장관]], 17·18·19·20대 의원 [[진영(정치인)|진영]]은 [[박근혜 정부]]에서 [[보건복지부장관]]과 [[문재인 정부]]에서 [[행정안전부장관]]을 역임했고, 21대 의원 [[권영세]]는 [[윤석열 정부]]에서 [[통일부장관]]을 역임했다. 또한 특이사항으로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진영(정치인)|진영]],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권영세]]라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위원장을 2명이나 배출한 선거구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 ||<-5> [[파일:국회휘장.svg|height=25]] '''{{{#580009 용산구의 역대 국회의원}}}''' || || '''대수'''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5> '''용산구''' || || 제헌 || [[김동원(1884)|김동원]] || [include(틀:한국민주당)] || 1948년 5월 31일 ~ 1950년 5월 30일 || || ||<-5> '''용산구 갑/을''' || ||<|2> 2대 || [[황성수]] || [include(틀:무소속)] ||<|2> 1950년 5월 31일 ~ 1954년 5월 30일 || 용산구 갑 || || [[남송학]] || [include(틀:대한국민당(1949년))] || 용산구 을 || ||<|2> 3대 || [[남송학]] ||<|2> [include(틀:자유당(1951년))] ||<|2> 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 || 용산구 갑 || || [[황성수]] || 용산구 을 || ||<|2> 4대 || [[엄상섭]] ||<|4> [include(틀:민주당(1955년))] ||<|2> 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 || 용산구 갑 || || [[김원만]] || 용산구 을 || ||<|2> 5대 || [[장면]] ||<|2>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 용산구 갑 || || [[김원만]] || 용산구 을 || ||<-5> '''용산구''' || ||<|2> 6대 || [[서민호]] || [include(틀:자유민주당(1963년))] || 1963년 12월 27일 ~ 1965년 8월 10일 ||<|2> [* 한일 기본조약 합의 반발로 인한 사퇴 (서민호)[br][[국회 오물 투척 사건]] 으로 인한 사퇴 (김두한).] || || [[김두한]] || [include(틀:한국독립당(1963년))] || 1965년 11월 10일 ~ 1966년 9월 23일 || || 7대 ||<|2> [[김원만]] ||<|2> [include(틀:신민당(1967년))] ||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 || || 8대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 || ||<-5> '''마포구·용산구''' || ||<|2> 9대 || [[김원만]] ||<|2> [include(틀:신민당(1967년))] ||<|2>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8> || || [[노승환]] || ||<|2> 10대 || [[박경원(1923)|박경원]] || [include(틀:민주공화당)] ||<|2>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 || [[노승환]]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2> 11대 || [[봉두완]] || [include(틀:민주정의당(1981~1987))] ||<|2>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 || [[김재영(1934)|김재영]] || [include(틀:민주한국당)] || ||<|2> 12대 || [[노승환]] || [include(틀:신한민주당)] ||<|2>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 || [[봉두완]] || [include(틀:민주정의당(1981~1987))] || ||<-5> '''용산구''' || || 13대 ||<|3> [[서정화(1933)|서정화]] || [include(틀:민주정의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3> || || 14대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 15대 || [include(틀:신한국당)]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 16대 || [[설송웅]]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 2003년 새천년민주당 탈당. [[열린우리당]] 합류.] || || 17대 ||<|4> [[진영(정치인)|진영]] ||<|2> [include(틀:한나라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2> || || 18대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19대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2016.3.15. 탈당. 3.20. 더불어민주당 입당.] || || 20대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 || || 21대 ||<|2> [[권영세]] || [include(틀:미래통합당)] ||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 || 22대 || [include(틀:국민의힘)] || 2024년 5월 30일 ~ || === 13대 총선 이전 === 제헌국회에서는 한국민주당 [[김동원(1884)|김동원]] 후보가 당선되었고, 이후 선거구가 갑/을로 나누어진 2대 총선에서는 무소속 [[황성수]] 후보와 대한국민당 [[남송학]]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후 3대 총선에서는 두 의원이 자유당으로 옮겨 당선되며, 보수성향 지역임을 확인했지만 4대 총선에서는 민주당이 [[김원만|두]] [[엄상섭|석]]을 차지했다. 5대 총선에서도 민주당이 [[김원만|두]] [[장면|석]]을 모두 가져갔다. 군사정권 초반기인 6대 총선부터 8대 총선까지도 모두 야당이 이겨 야당 텃밭이 되었고[* 6대 국회 임기 도중 이 지역의 의원이던 [[민중당(1965년)|민중당]] [[서민호]] 의원이 [[한일기본조약]]에 대한 반대의 뜻을 내세워 사퇴하면서 그 해 11월 재보궐선거가 열리게 됐는데 이때 [[한국독립당(1963년)|한국독립당]] 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됐던 사람이 바로 [[김두한]]이다. 물론 [[서민호]]와 [[김두한]] 모두 야당 정치인이었다.] 중선거구제가 실시된 9대 총선도 1,2등 모두 야당인 신민당이 차지했다. 그러나 10대 총선에서 1위를 차지한 민주공화당 [[박경원(1923)|박경원]] 후보가 당선되며 다시 보수화된다. 당시 용산의 개발과 군사관련시설 건설, 외국인 유입으로 용산이 보수화된 것이다. 이후 11대 총선에서 민주정의당 [[봉두완]] 후보의 1위 당선, 12대 총선의 2위 당선으로 보수화된다.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용산구(선거구)|{{{#fff {{{+1 '''용산구'''}}}}}}]][br]{{{#fff 용산구 일원[*용산 후암동, 남영동, 청파동, 효창동, 용문동, 한남동, 보광동, 한강로동, 서빙고동, 이촌1동, 이촌2동, 원효로1동, 원효로2동, 이태원1동, 이태원2동, 용산2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서정화(1933)|{{{#373a3c,#ddd 서정화}}}]](徐廷和)''' || '''48,103''' || '''1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32.88%''' || '''당선''' || ||<|2> {{{#fff {{{+5 '''2'''}}}}}} || [[김재영(1934)|{{{#373a3c,#ddd 김재영}}}]](金在暎) || 33,691 || 3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23.03% || 낙선 || ||<|2> {{{#324a70 {{{+5 '''3'''}}}}}} || [[한영애(1941)|{{{#373a3c,#ddd 한영애}}}]](韓英愛) || 34,364 || 2위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23.49% || 낙선 || ||<|2> {{{#fff {{{+5 '''4'''}}}}}} || [[설송웅|{{{#373a3c,#ddd 설송웅}}}]](楔松雄) || 25,721 || 4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17.58% || 낙선 || ||<|2> {{{#fff {{{+5 '''5'''}}}}}} || 정무형(鄭茂亨) || 3,779 || 5위 || || [include(틀:한겨레민주당)] || 2.58% || 낙선 || ||<|2> {{{#fff {{{+5 '''6'''}}}}}} || 이부규(李富圭) || 599 || 6위 || || [include(틀:우리정의당)] || 0.4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14,226 ||<|3> '''투표율'''[br]68.97% || || '''투표 수''' || 147,750 || || '''무효표 수''' || 1,493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용산구(선거구)|{{{#fff {{{+1 '''용산구'''}}}}}}]][br]{{{#fff 용산구 일원[*용산 후암동, 남영동, 청파동, 효창동, 용문동, 한남동, 보광동, 한강로동, 서빙고동, 이촌1동, 이촌2동, 원효로1동, 원효로2동, 이태원1동, 이태원2동, 용산2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서정화(1933)|{{{#373a3c,#ddd 서정화}}}]](徐廷和)''' || '''49,977'''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35.65%''' || '''당선''' || ||<|2> {{{#fff {{{+5 '''2'''}}}}}} || [[한영애(1941)|{{{#373a3c,#ddd 한영애}}}]](韓英愛) || 39,556 || 2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28.22% || 낙선 || ||<|2> {{{#fff {{{+5 '''3'''}}}}}} || [[봉두완|{{{#373a3c,#ddd 봉두완}}}]](奉斗玩) || 32,177 || 3위 || || [include(틀:통일국민당)] || 22.95% || 낙선 || ||<|2> {{{#fff {{{+5 '''4'''}}}}}} || 김동주(金東周) || 3,733 || 5위 || || [include(틀:신정치개혁당)] || 2.66% || 낙선 || ||<|2> {{{#fff {{{+5 '''5'''}}}}}} || [[설송웅|{{{#373a3c,#ddd 설송웅}}}]](楔松雄) || 12,802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9.13% || 낙선 || ||<|2> {{{#fff {{{+5 '''6'''}}}}}} || [[엄금자|{{{#373a3c,#ddd 엄금자}}}]](嚴今子) || 996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0.71% || 낙선 || ||<|2> {{{#fff {{{+5 '''7'''}}}}}} || 정한성(鄭漢成) || 927 || 7위 || || [include(틀:무소속)] || 0.6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05,488 ||<|3> '''투표율'''[br]69.01% || || '''투표 수''' || 141,808 || || '''무효표 수''' || 1,640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용산구(선거구)|{{{#fff {{{+1 '''용산구'''}}}}}}]][br]{{{#fff 용산구 일원[*용산 후암동, 남영동, 청파동, 효창동, 용문동, 한남동, 보광동, 한강로동, 서빙고동, 이촌1동, 이촌2동, 원효로1동, 원효로2동, 이태원1동, 이태원2동, 용산2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서정화(1933)|{{{#373a3c,#ddd 서정화}}}]](徐廷和)''' || '''41,092''' || '''1위''' || || [include(틀:신한국당)] || '''36.39%''' || '''당선''' || ||<|2> {{{#fff {{{+5 '''2'''}}}}}} || [[오유방|{{{#373a3c,#ddd 오유방}}}]](吳有邦) || 36,769 || 2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32.56% || 낙선 || ||<|2> {{{#fff {{{+5 '''3'''}}}}}} || [[강창성|{{{#373a3c,#ddd 강창성}}}]](姜昌成) || 24,023 || 3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21.27% || 낙선 || ||<|2> {{{#fff {{{+5 '''4'''}}}}}} || [[김재영(1934)|{{{#373a3c,#ddd 김재영}}}]](金在暎) || 8,496 || 4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7.52% || 낙선 || ||<|2> {{{#fff {{{+5 '''5'''}}}}}} || 정한성(鄭漢成) || 1,436 || 5위 || || [include(틀:무당파국민연합)] || 1.27% || 낙선 || ||<|2> {{{#fff {{{+5 '''6'''}}}}}} || 이천형(李千衡) || 1.081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0.9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9,773 ||<|3> '''투표율'''[br]60.34% || || '''투표 수''' || 114,513 || || '''무효표 수''' || 1,616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용산구(선거구)|{{{#fff {{{+1 '''용산구'''}}}}}}]][br]{{{#fff 용산구 일원[*용산 후암동, 남영동, 청파동, 효창동, 용문동, 한남동, 보광동, 한강로동, 서빙고동, 이촌1동, 이촌2동, 원효로1동, 원효로2동, 이태원1동, 이태원2동, 용산2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진영(정치인)|{{{#373a3c,#ddd 진영}}}]](陳永) || 42,736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44.66% || 낙선 || ||<|2> {{{#fff {{{+5 '''2'''}}}}}} || '''[[설송웅|{{{#373a3c,#ddd 설송웅}}}]](楔松雄)''' || '''42,849''' || '''1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44.78%''' || '''당선''' || ||<|2> {{{#fff {{{+5 '''3'''}}}}}} || [[이길범(1938)|{{{#373a3c,#ddd 이길범}}}]](李佶範) || 4,937 || 3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5.16% || 낙선 || ||<|2> {{{#fff {{{+5 '''4'''}}}}}} || 송재영(宋在榮) || 910 || 6위 || ||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 0.95% || 낙선 || ||<|2> {{{#fff {{{+5 '''5'''}}}}}} || 이호영(李鎬榮) || 2,045 || 5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2.13% || 낙선 || ||<|2> {{{#fff {{{+5 '''6'''}}}}}} || 이광희(李光熙) || 2,201 || 4위 || || [include(틀:청년진보당(1998년))] || 2.3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2,095 ||<|3> '''투표율'''[br]53.03% || || '''투표 수''' || 96,572 || || '''무효표 수''' || 894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0> {{{#fff '''16대 총선 서울 용산구 개표 결과'''}}} || || '''정당''' || [[한나라당|{{{#fff '''한나라당'''}}}]] || [[새천년민주당|{{{#fff '''새천년민주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진영(정치인)|{{{#fff '''진영'''}}}]] || [[설송웅|{{{#fff '''설송웅'''}}}]] || || '''득표수[br](득표율)''' || '''42,736 [br] (44.66%)''' || {{{#fff '''42,849 [br] (44.78%)'''}}} || '''- 113 [br] (▼0.12)''' || '''182,095 [br] (53.03%)''' || || '''후암동''' || 37.74% || {{{#00aa7b 56.60%}}} || ▼18.86 || 63.90 || || '''용산2가동''' || 39.71% || {{{#00aa7b 53.78%}}} || ▼14.07 || 62.17 || || '''남영동''' || 38.47% || {{{#00aa7b 55.03%}}} || △16.56 || {{{#696969 55.81%}}} || || '''청파1동''' || {{{#696969 36.64%}}} || {{{#00aa7b '''56.66%'''}}} || '''▼20.01''' || 59.04 || || '''청파2동''' || {{{#696969 36.64%}}} || {{{#00aa7b '''56.66%'''}}} || '''▼20.01''' || 59.04 || || '''원효로1동''' || 43.29% || {{{#00aa7b 50.88%}}} || ▼7.59 || 67.92 || || '''원효로2동''' || 43.09% || {{{#00aa7b 51.21%}}} || ▼8.12 || 67.89 || || '''효창동''' || 41.61% || {{{#00aa7b 51.93%}}} || ▼10.32 || 71.08 || || '''용문동''' || 40.91% || {{{#00aa7b 52.42%}}} || ▼11.52 || 68.37 || || '''한강로1동''' || {{{#0000a8 57.42%}}} || 38.98% || △18.43 || 64.45 || || '''한강로2동''' || {{{#0000a8 57.42%}}} || 38.98% || △18.43 || 64.45 || || '''한강로3동''' || {{{#0000a8 57.42%}}} || 38.98% || △18.43 || 64.45 || || '''이촌1동''' || {{{#0000a8 '''65.50%'''}}} || {{{#696969 32.04%}}} || {{{#696969 △33.46}}} || '''71.64''' || || '''이촌2동''' || {{{#0000a8 49.79%}}} || 45.68% || △4.11 || 70.18 || || '''이태원1동''' || {{{#0000a8 55.31%}}} || 40.37% || △14.93 || 57.34 || || '''이태원2동''' || 46.46% || {{{#00aa7b 48.78%}}} || ▼2.32 || 60.80 || || '''한남1동''' || {{{#0000a8 55.72%}}} || 39.78% || △15.94 || 57.12 || || '''한남2동''' || {{{#0000a8 55.72%}}} || 39.78% || △15.94 || 57.12 || || '''서빙고동''' || {{{#0000a8 62.83%}}} || 33.20% || △29.63 || 67.68 || || '''보광동''' || 44.32% || {{{#00aa7b 49.49%}}} || ▼5.17 || 58.94 || || '''후보''' || [[진영(정치인)|{{{#fff '''진영'''}}}]] || [[설송웅|{{{#fff '''설송웅'''}}}]] ||<-2> 격차 || || '''부재자투표''' || {{{#0000a8 55.61%}}} || 39.35% ||<-2> △16.26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용산구(선거구)|{{{#fff {{{+1 '''용산구'''}}}}}}]][br]{{{#fff 용산구 일원[*용산 후암동, 남영동, 청파동, 효창동, 용문동, 한남동, 보광동, 한강로동, 서빙고동, 이촌1동, 이촌2동, 원효로1동, 원효로2동, 이태원1동, 이태원2동, 용산2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진영(정치인)|{{{#373a3c,#ddd 진영}}}]](陳永)''' || '''51,025'''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46.04%''' || '''당선''' || ||<|2> {{{#fff {{{+5 '''2'''}}}}}} || [[성장현|{{{#373a3c,#ddd 성장현}}}]](成章鉉) || 9,570 || 3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8.63% || 낙선 || ||<|2> {{{#000 {{{+5 '''3'''}}}}}} || [[김진애|{{{#373a3c,#ddd 김진애}}}]](金鎭愛) || 43,915 || 2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39.62% || 낙선 || ||<|2> {{{#fff {{{+5 '''4'''}}}}}} || 이용주(李龍柱) || 849 || 5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0.76% || 낙선 || ||<|2> {{{#fff {{{+5 '''5'''}}}}}} || [[정연욱(1969)|{{{#373a3c,#ddd 정연욱}}}]](鄭然旭) || 5,467 || 4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4.9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2,403 ||<|3> '''투표율'''[br]60.76% || || '''투표 수''' || 110,826 || || '''무효표 수''' || 770 || 2000년 16대 총선에서 [[한나라당]] [[진영(정치인)|진영]] 후보는 재검표 끝에 [[새천년민주당]] [[설송웅]][* 한국사 강사 [[설민석]]의 부친이다.] 후보에게 107표 차로 석패했고, 2002년 대선에서는 [[노무현]] 후보가 [[이회창]] 후보를 불과 88표 차이로 앞선 격전 지역인만큼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17대 총선에서는 설송웅 의원이 건강악화를 이유로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진영 후보에게 다시 기회가 찾아왔다. [[새천년민주당]]에서는 구청장을 지낸 성장현 후보, [[열린우리당]]에서는 [[산본신도시]], [[인사동길|인사동]] 거리 설계 책임을 맡았던 도시설계 전문가인 [[김진애]] 후보가 나섰다. 경기고, 서울법대를 나온 판사 출신의 엘리트 코스를 밟아온 진영 후보는 [[이명박]] 전 [[서울특별시장|서울시장]]과의 연계를 내세웠고, 김진애 후보는 도시 설계 경험과 전문성을 강조했다. 탄핵 역풍과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선정한 '차세대 리더 100인'에도 꼽힌 바 있는 여성 전문가로 빠르게 지역에 안착했다. [[민주노동당]] 정연욱 후보 역시 지역 복지사업 경력을 내세웠다. 용산기지 개발과 뉴타운 개발 등이 화두로 떠올랐으며, 선거전이 진행될수록 지난 총선과 대선 모두 민주당이 이겼고 탄핵 역풍이 있는 만큼 열린우리당 김진애 후보가 유리하지 않겠냐는 분위기였으나...개표 결과 한나라당 진영 후보가 김진애 후보를 6.42% 차이로 제치고 승리했다. 사실 이 선거에서 김진애 후보는 [[출구조사]]에서 1위로 나타났으나, 개표가 시작되자 단 한 차례도 1위를 하지 못하고 무력하게 진영 후보한테 밀렸다. 이곳에서 용산구청장 성장현 후보가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출마했고, 원외정당이었던 민주노동당 후보까지 같이 나와서 둘이 표를 '''무려 13%'''나 가져간 반면에 진영 후보는 자민련 후보와 표가 1% 이하로 갈렸다. 옆동네 동대문구 을도 용산구처럼 열린우리당 허인회 후보가 여론조사에서 압승 분위기였고 출구조사마저 당선 예측으로 나왔으나, 정작 개표가 시작되니 새천년민주당으로 출마한 전 동대문구청장인 유덕열이 표를 '''10% 이상''' 잠식하면서 [[홍준표]]가 어부지리로 아슬아슬하게 당선된다.[* 참고로 새천년민주당은 탄핵을 주도한 정당이라 사실 열린우리당과 사이가 나쁠 수 밖에 없는 분위기여서 단일화나 표잠식이란 표현도 상당히 애매할 수 있다.] 전직 구청장이 출마해서 표를 갈라먹어서 졌고 출구조사까지 뒤집은것까지 완벽한 데칼코마니.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용산구(선거구)|{{{#fff {{{+1 '''용산구'''}}}}}}]][br]{{{#fff 용산구 일원[*용산 후암동, 남영동, 청파동, 효창동, 용문동, 한남동, 보광동, 한강로동, 서빙고동, 이촌1동, 이촌2동, 원효로1동, 원효로2동, 이태원1동, 이태원2동, 용산2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성장현|{{{#373a3c,#ddd 성장현}}}]](成章鉉) || 24,077 || 2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9.39% || 낙선 || ||<|2> {{{#fff {{{+5 '''2'''}}}}}} || '''[[진영(정치인)|{{{#373a3c,#ddd 진영}}}]](陳永)''' || '''47,533'''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58.03%''' || '''당선''' || ||<|2> {{{#fff {{{+5 '''3'''}}}}}} || 이인숙(李仁淑) || 3,984 || 4위 || || [include(틀:자유선진당)] || 4.86% || 낙선 || ||<|2> {{{#fff {{{+5 '''4'''}}}}}} || [[김종민(1970)|{{{#373a3c,#ddd 김종민}}}]](金鍾珉) || 4,567 || 3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5.57% || 낙선 || ||<|2> {{{#fff {{{+5 '''7'''}}}}}} || 김만호(金萬晧) || 1,737 || 5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2.1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2,033 ||<|3> '''투표율'''[br]43.01% || || '''투표 수''' || 82,598 || || '''무효표 수''' || 700 || 김진애 후보는 비례대표 출마로 옮기고,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했던 성장현 후보가 이번에는 통합민주당 후보로 현역 한나라당 진영 후보와 리턴 매치를 가지게 되었다. 이번엔 1:1 진검 승부인 것이다. 18대 총선에서도 [[한남뉴타운]]과 [[용산국제업무지구]], 미군기지 이전 등이 여전히 이슈가 되었다. 민선 1, 2기 [[용산구청장]]을 지낸 성장현 후보는 용산 개발이 지연되는 원인은 서울시와 용산구, 국회가 용산 개발에 미온적으로 대처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정부와 진영 후보를 공격했다. 하지만 승부는 싱겁게 끝났다. 진영 후보가 성장현 후보를 더블 스코어로 제치고 재선에 성공했다.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용산구(선거구)|{{{#fff {{{+1 '''용산구'''}}}}}}]][br]{{{#fff 용산구 일원[*용산 후암동, 남영동, 청파동, 효창동, 용문동, 한남동, 보광동, 한강로동, 서빙고동, 이촌1동, 이촌2동, 원효로1동, 원효로2동, 이태원1동, 이태원2동, 용산2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진영(정치인)|{{{#373a3c,#ddd 진영}}}]](陳永)''' || '''56,067'''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2.43%''' || '''당선''' || ||<|2> {{{#3ab34a {{{+5 '''2'''}}}}}} || [[조순용|{{{#373a3c,#ddd 조순용}}}]](趙淳容) || 49,083 || 2위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45.90% || 낙선 || ||<|2> {{{#fff {{{+5 '''6'''}}}}}} || 이희정(李姬正) || 1,776 || 3위 || || [include(틀:국민행복당)] || 1.6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07,240 ||<|3> '''투표율'''[br]51.60% || || '''투표 수''' || 107,681 || || '''무효표 수''' || 755 || 새누리당 진영 전 의원이 이 지역에서 강하다는 것을 18대 총선에서 보여준만큼, 야권에서 누가 진영 후보에 맞설 것인가가 화두가 되었다. [[민주통합당]] 경선에서 [[조순용]] 후보가 승리했고, 진영 후보와 맞붙게 되었다. 이번엔 민주통합당 [[조순용]] 후보가 나섰다. 조순용 후보는 KBS 사건 25시 앵커 출신으로 [[국민의 정부]]에서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냈다. 당내 경선에서 승리하고 [[통합진보당]] 김종민 후보와 야권단일화를 이뤄 진영 후보를 위협했다. 용산은 2009년 [[용산 참사]]가 일어났고, [[용산국제업무지구]]도 개발하지 못하고 있는 만큼 진영 전 의원에게는 악재인 상황이었다. 그러나 이번에도 진영 후보가 6.53%라는 여유있는 차이로 승리를 거둬 3선 의원이 되었다.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용산구(선거구)|{{{#fff {{{+1 '''용산구'''}}}}}}]][br]{{{#fff 용산구 일원[*용산 후암동, 남영동, 청파동, 효창동, 용문동, 한남동, 보광동, 한강로동, 서빙고동, 이촌1동, 이촌2동, 원효로1동, 원효로2동, 이태원1동, 이태원2동, 용산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황춘자|{{{#373a3c,#ddd 황춘자}}}]](黃椿子) || 45,691 || 2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39.91% || 낙선 || ||<|2> {{{#fff {{{+5 '''2'''}}}}}} || '''[[진영(정치인)|{{{#373a3c,#ddd 진영}}}]](陳永)''' || '''48,965'''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 '''42.77%''' || '''당선''' || ||<|2> {{{#fff {{{+5 '''3'''}}}}}} || 곽태원(郭泰元) || 15,805 || 3위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13.80% || 낙선 || ||<|2> {{{#000 {{{+5 '''4'''}}}}}} || [[정연욱(1969)|{{{#373a3c,#ddd 정연욱}}}]](鄭然旭) || 3,161 || 4위 || ||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2.76% || 낙선 || ||<|2> {{{#fff {{{+5 '''5'''}}}}}} || 이소영(李素瑛) || 838 || 5위 || || [include(틀:민중연합당)] || 0.7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00,224 ||<|3> '''투표율'''[br]57.73% || || '''투표 수''' || 115,580 || || '''무효표 수''' || 1,120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6> {{{#fff '''20대 총선 서울 용산구 개표 결과'''}}} || || '''정당''' || [[새누리당|{{{#fff '''새누리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당(2016년)|{{{#fff '''국민의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황춘자|{{{#fff '''황춘자'''}}}]] || [[진영(정치인)|{{{#fff '''진영'''}}}]] || {{{#fff '''곽태원'''}}} || || '''득표수[br](득표율)''' || '''45,691 [br] (39.91%)''' || {{{#fff '''48,965 [br] (42.77%)'''}}} || '''15,805 [br] (13.80%)''' || '''-3,274 [br] (▼2.86)''' || '''57.73%''' || || '''후암동'''[* 남산도서관이 있는 동네.] || 34.00% || {{{#004ea2 '''48.29%'''}}} || 13.94% || ▼14.29 || 55.20 || || '''용산2가동'''[* [[남산서울타워|남산타워]], 해방촌, 후암동108계단이 있는 동네.] || 36.49% || {{{#004ea2 44.20%}}} || 14.92% || ▼7.71 || 56.22 || || '''남영동''' || 37.93% || {{{#004ea2 42.03%}}} || 15.74% || ▼4.10 || 49.67 || || '''청파동'''[* [[서울역]]이 있는 동네.] || 32.23% || {{{#004ea2 46.83%}}} || '''16.32%''' || ▼14.60 || 53.92 || || '''원효로1동'''[* [[서울용산경찰서|용산경찰서]]가 있는 동네.] || 36.04% || {{{#004ea2 46.16%}}} || 14.38% || ▼10.12 || 59.69 || || '''원효로2동'''[* 성심여중고와 [[현대자동차]] 본관이 있는 동네.] || 38.13% || {{{#004ea2 42.42%}}} || 14.39% || ▼4.29 || 61.61 || || '''효창동''' || 35.94% || {{{#004ea2 44.07%}}} || 15.83% || ▼8.13 || 62.05 || || '''용문동''' || 35.11% || {{{#004ea2 45.76%}}} || 15.49% || ▼10.65 || 61.85 || || '''한강로동'''[* [[용산역]], [[아이파크몰]], [[전쟁기념관]]이 있는 동네.] || {{{#c9252b 46.52%}}} || 39.69% || 11.50% || △6.83 || 53.23 || || '''이촌1동''' || {{{#c9252b 48.04%}}} || 38.08% || 12.25% || △9.96 || 62.01 || || '''이촌2동''' || {{{#c9252b 45.20%}}} || 38.83% || 13.40% || △6.37 || 63.20 || || '''이태원1동'''[* 용산구청이 있는 동네.] || {{{#c9252b 45.22%}}} || 40.69% || 11.30% || △4.53 || 49.54 || || '''이태원2동'''[* [[경리단길]]이 있는 동네. ] || 41.59% || {{{#004ea2 43.36%}}} || 11.25% || ▼1.77 || 53.41 || || '''한남동''' || 41.28% || {{{#004ea2 42.00%}}} || 13.42% || ▼0.72 || 45.42 || || '''서빙고동''' || {{{#c9252b '''53.17%'''}}} || 32.52% || 12.30% || △'''20.65''' || 60.01 || || '''보광동''' || {{{#c9252b 40.98%}}} || 40.90% || 14.43% || △{{{#808080 0.08}}} || 51.47 || || '''후보''' || [[황춘자|{{{#fff '''황춘자'''}}}]] || [[진영(정치인)|{{{#fff '''진영'''}}}]] || [[국민의당(2016년)|{{{#fff '''곽태원'''}}}]]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c9252b 42.36%}}} || 36.68% || 14.85% ||<-2> △5.68 || || '''관외사전투표''' || 32.40% || {{{#004ea2 48.61%}}} || 14.28% ||<-2> ▼16.21 || || '''국외부재자투표''' || 27.34% || {{{#004ea2 '''60.25%'''}}} || 7.63% ||<-2> ▼'''32.91''' ||}}}현역 3선 [[새누리당]] [[진영(정치인)|진영]]의원은 [[박근혜]] 대선 캠프 정책위의장을 하면서 [[당선]]에 큰 공헌을 했고, 그 공로로 [[박근혜 정부]] 탄생 후 [[보건복지부장관]]에 내정되었으나, [[청와대]]와 기초연금공약 후퇴에 대한 의견 차이로 6개월 만에 사퇴하였다. 이 과정에서 항명이 일어나 박근혜 전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운 상태였다. 이때 [[황춘자]] 전 도시콘텐츠연구소 대표가 공천을 신청했다. 황춘자 전 대표는 대통령소속 국민대통합위 갈등관리위원을 지낸 친박계 인사기 때문에 공천이 어떻게 될지 주목되는 상황이었다. [[강용석]] 전 의원은 용산에서 출마하겠다고 선언해 새누리당에 입당하려 했으나, 저지당했다. 그리고 모든 이들의 예감은 정확히 맞아, 진영 의원이 공천에서 탈락하고 이 곳을 여성우선추천지역으로 선언해버렸다. 진영은 이에 반발하여 [[3월 20일]],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민주당계 정당]]인 '''[[더불어민주당]]에 입당'''[* [[여당]] 의원이 [[야당]]으로 당적을 옮긴 사례는 [[2000년]], [[새천년민주당]] 소속이던 일부 의원들이 [[자유민주연합]]으로 당적을 옮긴 이래 16년 만의 일이었다.]하는 초강수를 뒀다[* 당시 [[더불어민주당]] 소속이었던 [[김종인]] 전 대표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2년]]에 [[새누리당]]에서 국민행복추진위원회 위원장(김종인)과 부위원장(진영)을 각각 맡았던 적이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야당 의원이 여당으로 당적을 옮기는 경우도 있었는데, [[조경태]]가 2016년 1월, 민주당계 정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서 [[대한민국의 보수정당|보수정당]]인 [[새누리당]]으로 당적을 옮긴 경우였다.]. [[더불어민주당]]은 진 의원이 입당하자마자 진 의원을 이 지역에 전략 공천하였다. 이 지역 [[선거구]]의 관건은 31조원 규모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채무불이행]] 사태에 빠져버린 것이었다. 이에 대해 [[진영(정치인)|진영]]은 '''[[오세훈]] 전 [[서울특별시장|서울시장]]이 무리하게 추진한 탓'''이라고 비판했었다. 그리고 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진영 후보가 42.77%의 득표율로 39.91%의 득표율을 받은 황춘자 후보를 이기고 당선되었다. 이로서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과 [[구청장]] 모두 더불어민주당이 차지하게 되었다. 보수 텃밭을 민주 진영으로 바꿨다 하여 [[SBS 국민의 선택]]에서는 "'''진영 바꾼 진영'''" 이라는 말로 진영 후보자를 소개했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용산구(선거구)|{{{#fff {{{+1 '''용산구'''}}}}}}]][br]{{{#fff 용산구 일원[*용산 후암동, 남영동, 청파동, 효창동, 용문동, 한남동, 보광동, 한강로동, 서빙고동, 이촌1동, 이촌2동, 원효로1동, 원효로2동, 이태원1동, 이태원2동, 용산2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강태웅|{{{#373a3c,#ddd 강태웅}}}]](姜泰雄) || 63,001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 47.14% || 낙선 || ||<|2> {{{#fff {{{+5 '''2'''}}}}}} || '''[[권영세|{{{#373a3c,#ddd 권영세}}}]](權寧世)''' || '''63,891''' || '''1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47.80%''' || '''당선''' || ||<|2> {{{#fff {{{+5 '''3'''}}}}}} || 권혁문(權赫文) || 1,311 || 4위 || || [include(틀:민생당)] || 0.98% || 낙선 || ||<|2> {{{#000 {{{+5 '''6'''}}}}}} || [[정연욱(1969)|{{{#373a3c,#ddd 정연욱}}}]](鄭然旭) || 4,251 || 3위 || ||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3.18% || 낙선 || ||<|2> {{{#fff {{{+5 '''7'''}}}}}} || 김은희(金恩姬) || 648 || 5위 || || [include(틀:민중당)] || 0.48% || 낙선 || ||<|2> {{{#fff {{{+5 '''8'''}}}}}} || 김희전(金喜奠) || 541 || 6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4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03,233 ||<|3> '''투표율'''[br]66.45% || || '''투표 수''' || 135,043 || || '''무효표 수''' || 1,400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5> {{{#fff '''21대 총선 서울 용산구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fff '''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강태웅|{{{#fff '''강태웅'''}}}]] || [[권영세|{{{#fff '''권영세'''}}}]] || || '''득표수[br](득표율)''' || '''63,001[br](47.14%)''' || {{{#fff '''63,891[br](47.80%)'''}}} || '''- 890[br](▼0.67)''' || '''135,043 [br] (66.44%)''' || || '''후암동'''[* 남산도서관이 있는 동네.] || {{{#004ea2 56.60%}}} || 37.74% || △18.86 || 63.90 || || '''용산2가동'''[* 해방촌, 후암동108계단이 있는 동네.] || {{{#004ea2 53.78%}}} || 39.71% || △14.07 || 62.17 || || '''남영동'''[* [[서울역]]이 있는 동네.] || {{{#004ea2 55.03%}}} || 38.47% || △16.56 || {{{#696969 55.81}}} || || '''청파동''' || {{{#004ea2 '''56.66%'''}}} || {{{#696969 36.64%}}} || '''△20.01''' || 59.04 || || '''원효로1동'''[* [[용산경찰서]]가 있는 동네.] || {{{#004ea2 50.88%}}} || 43.29% || △7.59 || 67.92 || || '''원효로2동'''[* 성심여중고와 [[현대자동차]] 본관이 있는 동네.] || {{{#004ea2 51.21%}}} || 43.09% || △8.12 || 67.89 || || '''효창동''' || {{{#004ea2 51.93%}}} || 41.61% || △10.32 || 71.08 || || '''용문동''' || {{{#004ea2 52.42%}}} || 40.91% || △11.52 || 68.37 || || '''한강로동'''[* [[아이파크몰]], [[용산역]], [[신용산역]], [[삼각지역]]이 있는 동네 ] || 38.98% || {{{#ef426f 57.42%}}} || ▼18.43 || 64.45 || || '''이촌1동''' || {{{#696969 32.04%}}} || {{{#ef426f '''65.50%'''}}} || {{{#696969 ▼33.46}}} || '''71.64''' || || '''이촌2동''' || 45.68% || {{{#ef426f 49.79%}}} || ▼4.11 || 70.18 || || '''이태원1동'''[* 용산구청이 있는 동네.] || 40.37% || {{{#ef426f 55.31%}}} || ▼14.93 || 57.34 || || '''이태원2동'''[* 경리단길이 있는 동네.] || {{{#004ea2 48.78%}}} || 46.46% || △2.32 || 60.80 || || '''한남동''' || 39.78% || {{{#ef426f 55.72%}}} || ▼15.94 || 57.12 || || '''서빙고동''' || 33.20% || {{{#ef426f 62.83%}}} || ▼29.63 || 67.68 || || '''보광동''' || {{{#004ea2 49.49%}}} || 44.32% || △5.17 || 58.94 || || '''후보''' || [[강태웅|{{{#fff '''강태웅'''}}}]] || [[권영세|{{{#fff '''권영세'''}}}]]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45.06%}}} || 42.91% ||<-2> △2.15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5.61%}}} || 39.35% ||<-2> △16.26 || || '''재외투표''' || 47.54% || {{{#ef426f 48.77%}}} ||<-2> ▼1.23 ||}}}[[진영(정치인)|진영]] 전 의원은 2019년 봄에 [[행정안전부장관]]에 임명됨과 동시에 차기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었다. 이에 민주당은 이 지역을 전략 지역으로 선정했다. 다만 전략 지역이 곧 전략 공천 확정이라는 뜻은 아니다.[* [[https://monthly.chosun.com/client/mdaily/daily_view.asp?Idx=8679&Newsnumb=2020018679|이근형 전략기획위원장은 "전략선거구로 지정되더라도 꼭 전략공천이 된다는 뜻은 아니다. 그 중 예외적으로 경선으로 돌려지는 지역도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민주당에서는 [[권혁기]] 전 [[청와대#s-4.7|춘추관]]장, 선종문 공익변호사, 도천수 희망시민연대 이사장, [[임채원(교육인)|임채원]]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미래세대특별위원회 위원장 등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또한 [[강태웅]] 전 서울 제1행정부시장도 출마 선언을 했고, 최종적으로는 강 전 부시장이 전략공천되었다. [[미래통합당]]에서는 [[권영세]] 전 [[주중대사]], 조상규 법률자문위원, [[황춘자]] 전 당협위원장, [[허용석]] 전 [[관세청장]][* 이 쪽은 서울 [[은평구 을]] 지역으로 차출되었다.], 김기현 책임당원협의회 상임의장[* [[김기현|전 울산시장]]과는 [[동명이인]].]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경선 끝에 권영세 전 주중대사가 공천되었다. [[민생당]]에선 권혁문 혁신성장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정의당]]에서는 [[정연욱(1969)|정연욱]] 지역위원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민중당(2017년)|민중당]]에서는 김은희 작은도서관고래이야기 운영위원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선거 결과 간발의 차이로 [[권영세]] 후보가 '''890표(0.66%)'''앞서 [[당선]]되었다. 이는 이번 선거 서울 49개 지역구 중에 최소 표차 당선이었고, 전국 단위로도 4위였다. 심지어 득표율 차이로는 '''전국 2위'''였다! 아무래도 [[정의당]]의 정연욱 후보와 표가 분산돼서 [[강태웅]] 후보가 아슬아슬한 차이로 [[낙선]]한 듯 하다.[* 실제로 정의당, 민중당 후보의 득표율 합계가 3퍼센트 정도였는데, 그 중에 3분의 1만이라도 강태웅 쪽으로 갔다면 선거 결과가 바뀌는 수준이었다.] 개표 초중반에는 권영세 후보가 꽤 앞서나갔다. 그러나 [[사전투표]]가 개표되면서 강태웅 후보가 미칠듯한 속도로 따라붙었다. 그러나 보수 성향이 강한 동부이촌동[* 여기서는 무려 권영세 후보가 '''5,290표''' 차로 압승했다.], 서빙고동, 한남동 등에서 권영세 후보에 대한 몰표가 나오면서, 강태웅 후보가 사전투표까지 합쳤음에도 890표 차를 넘어서지 못했다.[* 어쩌면 강태웅 후보가 선전했다고 볼 수 있는데, 출마 선언 자체가 전략공천 직후인 선거 한 달 전에야 이루어졌고, [[용산고등학교]] 출신이라는 점 외에는 지역 기반 자체가 아예 없었다. 게다가 용산구는 서울에서 [[강남구]], [[서초구]] 다음으로 미래한국당의 득표율이 높았다.][* 이는 [[권영세]] 후보의 본투표 득표율이 워낙 [[넘사벽]]이라 강태웅 후보가 사전투표까지 합쳤음에도 890표 차를 넘어서지 못한 것이다.] 이로써 4년 만에 보수 텃밭을 되찾는 데 성공했다. 서울에서 [[강남3구]] 외의 지역에서 [[보수정당]] 후보가 당선된 곳은 용산구가 유일하다. 여담으로, 이 곳은 특이하게도 보수정당에 유리한 거소선상투표는 [[더불어민주당]] [[강태웅]] 후보가 승리했으나, 반대로 민주당에 유리한 재외투표에서는 [[미래통합당]] [[권영세]] 후보가 승리했다. 특히 21대 총선에서 재외투표는 민주당이 전국 대부분의 지역구에서 압승한 걸 감안하면[* 전국 단위까지 갈 필요도 없이 서울에서 용산 이외에 미래통합당이 승리한 강남3구 [[지역구]]들 가운데 재외투표 부분에서도 미래통합당이 승리한 지역구는 [[강남구 갑]], [[강남구 병]] 밖에 없을 정도로 재외투표는 민주당이 압승했다.] 의외의 결과인데, 아무래도 권영세 후보의 [[주중대사]] 경력이 재외 투표자들에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용산구(선거구)|{{{#fff {{{+1 '''용산구'''}}}}}}]][br]{{{#fff 용산구 일원[*용산 후암동, 남영동, 청파동, 효창동, 용문동, 한남동, 보광동, 한강로동, 서빙고동, 이촌1동, 이촌2동, 원효로1동, 원효로2동, 이태원1동, 이태원2동, 용산2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강태웅|{{{#373a3c,#dddddd 강태웅}}}]](姜泰雄) || 60,473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7.02% || 낙선 || ||<|2> {{{#fff {{{+5 '''2'''}}}}}} || '''[[권영세|{{{#373a3c,#dddddd 권영세}}}]](權寧世)''' || '''66,583'''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51.77%''' || '''당선''' || ||<|2> {{{#fff {{{+5 --'''7'''--}}}}}} || --[[구산하|{{{#373a3c,#dddddd 구산하}}}]](具山河)-- ||<-2><|2> 사퇴 || || --[include(틀:국민주권당)]-- || ||<|2> {{{#fff {{{+5 '''8'''}}}}}} || [[김정현(1983)|{{{#373a3c,#dddddd 김정현}}}]](金正鉉) || 1,536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1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8,998 ||<|3> '''투표율'''[br]68.91% || || '''투표 수''' || 130,243 || || '''무효표 수''' || 1,651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5> {{{#fff '''22대 총선 서울 용산구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 '''국민의힘'''}}}]]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강태웅|{{{#fff '''강태웅'''}}}]] || [[권영세|{{{#fff '''권영세'''}}}]] || || '''득표수[br](득표율)''' || '''60,473[br](47.02%)''' || {{{#fff '''66,583[br](51.77%)'''}}} || '''-6,110[br](▼4.75)''' || '''130,243 [br] (68.91%)''' || || '''후암동''' || {{{#152484,#003c96 55.90%}}} || 43.01% || △12.89 || 65.91 || || '''용산2가동''' || {{{#152484,#003c96 54.55%}}} || 44.20% || △10.35 || 62.15 || || '''남영동''' || {{{#152484,#003c96 52.24%}}} || 46.16% || △6.08 || 57.77 || || '''청파동''' || {{{#152484,#003c96 '''59.73%'''}}} || {{{#696969 38.93%}}} || '''△20.80''' || 61.23 || || '''원효로1동''' || {{{#152484,#003c96 51.47%}}} || 47.26% || △4.21 || 69.05 || || '''원효로2동''' || {{{#152484,#003c96 49.97%}}} || 48.98% || △0.99 || 68.69 || || '''효창동''' || {{{#152484,#003c96 52.39%}}} || 46.34% || △6.05 || 71.92 || || '''용문동''' || {{{#152484,#003c96 52.66%}}} || 46.13% || △6.53 || 72.19 || || '''한강로동''' || 38.57% || {{{#e61e2b 60.36%}}} || ▼21.79 || 65.46 || || '''이촌1동''' || {{{#696969 30.86%}}} || {{{#e61e2b '''68.26%'''}}} || {{{#696969 ▼37.41}}} || 73.82 || || '''이촌2동''' || 43.69% || {{{#e61e2b 55.34%}}} || ▼11.65 || 72.49 || || '''이태원1동''' || 41.98% || {{{#e61e2b 56.65%}}} || ▼14.67 || 62.71 || || '''이태원2동''' || 46.24% || {{{#e61e2b 52.69%}}} || ▼6.46 || 59.45 || || '''한남동''' || 35.36% || {{{#e61e2b 63.33%}}} || ▼27.97 || 56.08 || || '''서빙고동''' || 33.47% || {{{#e61e2b 65.19%}}} || ▼31.72 || 66.20 || || '''보광동''' || 48.13% || {{{#e61e2b 50.86%}}} || ▼2.74 || 59.83 || || '''후보''' || [[강태웅|{{{#fff '''강태웅'''}}}]] || [[권영세|{{{#fff '''권영세'''}}}]]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4.00% || '''{{{#e61e2b 53.14%}}}''' ||<-2> ▼9.14 || || '''관외사전투표''' || {{{#152484,#003c96 54.82%}}} || 43.81% ||<-2> △11.01 || || '''재외투표''' || {{{#152484,#003c96 '''57.55%'''}}} || 40.83% ||<-2> △16.72 ||}}} ||<-4>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width=200]] || || '''후보''' || [[강태웅|{{{#fff '''강태웅'''}}}]] || [[권영세|{{{#fff '''권영세'''}}}]] || '''격차''' || || 전체 || {{{#152484,#003c96 50.3%}}} || 49.3% || '''1.0%p''' || [[국민의힘]]에서는 [[권영세]] 의원이 단수 공천을 받아 5선 도전에 나선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강태웅]] 전 [[서울특별시]] 행정1부시장, [[권혁기]] 전 춘추관장, [[성장현]] 전 [[용산구청장]]의 출마가 유력하다. 이후 권혁기 전 춘추관장은 의정부시 을로 출마지를 옮겼다. 강태웅 전 서울특별시 행정1부시장과 성장현 전 용산구청장이 경선을 치렀고, 경선에서 강태웅 전 부시장이 승리하여 리턴 매치가 성사되었다. [[우리공화당(2020년)|우리공화당]] 송영진 서울특별시당 위원장이 예비 후보 등록을 마쳤지만 이후 비례대표 출마로 선회하였고, 비례 6번을 받아 출마하였다. [[NL]]계 정당인 [[국민주권당]]에서 구산하 자주민주평화통일민족위원회 선전위원장이 이 지역구 후보로 출마했다가 권영세 낙선을 호소하며 후보직에서 사퇴하였다. 당초 국민의힘 소속이었던 기자 출신 [[김정현(1983)|김정현]] 백서스정책연구소 소장이 탈당 후 무소속 후보로 나섰다. 개표 결과 권영세 후보가 4년 전에 이어 이번에도 당선에 성공했다. 당초 용산 관내인 이태원동에서 [[이태원 압사 사고|대규모 참사]]가 있었고 본인의 측근인 [[박희영]] [[용산구청장]]이 참사와 관련해서 재판을 받고 있는 등[* 권영세 의원의 보좌관 출신이다.] 후보 개인에게 악재가 상당히 많은데다 정권 심판론이 강한 상황에서 윤석열 정부 1기 장관이라는 핸디캡까지 안고 있어 전망이 어두워보였으나 막상 실제로는 4년 전 보다 더 큰 표차로 승리하면서 5선에 성공했다. 세부적으로 놓고 보면 남영동, 청파동, 후암동, 원효로동 등 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강태웅 후보가 승리했고 한강로동, 이촌동, 한남동, 서빙고동 등 한강변에서는 권영세 후보가 승리하면서 승리한 동의 개수가 정확히 8대 8로 동률을 이루었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강태웅 후보가 승리했던 이태원2동, 보광동도 이번엔 권영세 후보가 승리했다. 또한 당초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이 시위를 벌이고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가 이태원 참사와 남북관계 악화 등을 거론하며 권영세 의원을 낙선 운동 대상자로 지목하며 이슈몰이를 했으나 정작 용산구 지역 내의 선거 판세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못했다. 특히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이 '''용산구민의 심판이 있길 바란다'''며 시위 수준을 넘어서 사실상 권영세 낙선 운동을 벌인 것 치고는 효과가 미미했는데 숙명여대가 위치해있어 2030 여성들이 많이 사는 [[청파동]]에서는 이태원 참사가 이슈거리가 되었지만[* 사실 이말도 맞다고 보긴 힘들다. 그냥 2030 여성들 자체가 애초에 민주당을 압도적으로 지지하기에 청파동에서 민주당이 이긴것이라고 보는쪽이 맞다.] 용산은 인구 비율 자체가 이촌동이나 서빙고, 한남동 쪽이 훨씬 높고 이곳에 사는 사람들은 전국적인 이슈보다는 부동산 등 지역 현안에 더 민감하고 윤석열 정부의 감세 정책으로 이득을 본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으니 이게 먹힐리가... 심지어 이태원 참사가 일어난 이태원동에서도 권영세 후보가 압승했다.[* 참사 지점이 있는 이태원1동에서 4년 전보다 격차가 0.26%p 좁혀지긴 했지만, 4년 전에는 정의당, 민생당, 민중당 후보가 출마하여 진보진영의 표가 분산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오히려 보수진영과의 격차가 더 벌어졌다고 볼 수도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경부선-남산 서북쪽에서는 강태웅 후보가 이겼으나 청파동을 제외하면 4년 전 대비 격차가 줄었고, 경부선-남산 남동쪽 부촌에서는 권영세 후보가 4년 전보다 격차를 훨씬 벌렸다. [[동부이촌동]](이촌1동) 한강맨션 [[재건축]] 등 재건축 사업이 많아지고, [[용산역]] 동쪽 [[한강로동]] 일대에 [[재개발]] [[주상복합]] 아파트가 대거 입주할 예정이라 앞으로 용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승리를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특히 [[청파동]], [[서계동]], [[효창동]], [[갈월동]] 일대도 [[서울특별시청]]에서 [[신속통합기획]]으로 대규모 재개발, 재건축 사업을 진행중이라 '''급격하게 경부선 서쪽 지역 자체가 부촌으로 바뀔 예정이기 때문에 사실상 강남3구급의 보수정당 철옹성으로 변모할 예정이다.''' 특히 [[용산국제업무지구]]와 [[용산 전자상가]] 재개발, [[서울역북부역세권개발사업]]으로 인해 대규모 업무지구가 형성되면 설령 이 지역에 있는 단독주택이나 임대주택이라 할 지라도 대규모 업무지구 형성에 따른 '''[[젠트리피케이션|고소득층이 입주해 저소득층을 몰아내므로]]''' 경부선 서쪽도 국민의힘 초강세로 바뀌게 된다.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판교테크노밸리]] 입주에 따른 [[성남시 분당구 갑]]과 [[성남시 분당구 을]]에서 [[판교신도시]] 권역에서의 국민의힘 승리[* 원래 [[분당신도시]]는 [[국민의힘]], [[판교신도시]]는 [[더불어민주당]] 강세였다. 그러나 [[2020년]]부터 판교 일대가 신흥 부촌으로 떠오르면서 더불어민주당은 판교에서도 점차 밀리기 시작했다.]다.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서울특별시의 정치]][[분류:용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