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랑천의 교량)] ||<-5> '''[[교량/목록|중랑천의 교량]]''' || || 상류 방면 ||<|3> {{{+1 ←}}}|| 이름 ||<|3> {{{+1 →}}} || 하류 방면 || ||<|2> [[응봉교]] || '''용비교''' ||<|2> [[두모교]] || || 뚝섬로 || ||<-5> [[서울특별시도|{{{#white '''서울특별시도'''}}}]] || ||<-5> [[동부간선도로|{{{#ffffff '''동부간선도로'''}}}]] || || [[응봉교|{{{#gray 의정부}}}]] {{{#gray 방면}}}[br][[응봉교|{{{#000000,#e5e5e5 응봉교}}}]] || {{{+1 ←}}} || {{{#000000,#e5e5e5 '''용비교'''}}} || {{{+1 →}}} || [[복정교차로|{{{#gray 성수/송파}}}]] {{{#gray 방면}}}[br][[성수JC|{{{#000000,#e5e5e5 동부간선도로입구}}}]] || [[파일:용비교.jpg]] 1970년부터 1996년까지 사용된 교량. [[파일:external/cgsh.web4you.or.kr/1888500061_2b3e0b2e_1104-BFEBBAF1B1B3.jpg]] 2003년부터 사용되고 있는 교량.[* 왼쪽 동부간선도로 가장자리에 구 용비교의 교각 흔적이 있다, ] {{{+1 龍飛橋 / Yongbigyo}}} ||<-2> {{{+2 '''용비교'''}}} || ||<-2> '''다국어 표기''' || || [[영어]] || Yongbigyo || || [[한자]] || 龍飛橋 || ||<-2> '''관리기관''' || || 용비교 ||<|2> [[서울특별시]] || || [[동부간선도로]] || || [[동부간선도로]] 개통일 || [[1992년]] || ||<-2> '''접속도로''' || ||<-2> 뚝섬로 || [목차] == 개요 == [[서울특별시]] [[성동구]] 금호동4가에 있는 [[중랑천]]의 교량. 해당 교량에 [[동부간선도로]]의 [[나들목]]도 설치되어 있다. 명칭은 '용이 승천함'을 뜻하는 말로, 소재지 인근에 존재하는 여울목이 용이 승천한 곳이라는 옛 설이 존재해서 그 부분에서 유래했다. 교량 밑으로 [[중앙선]]이 통과한다. 개나리 피는 봄철에는 [[철도 동호인]]들의 출사 포인트로 유명한 곳이다. == 구조 == === [[복정교차로|성수 / 송파]] 방향 === * 진출 가능: 뚝섬로 [[성수대교]] 북단 방향 === [[수락지하차도|의정부]] 방향 === * 진출입 불가 == 진출로 정체 == [[동부간선도로]]에서 용비교로 나가는 램프는 상습 정체 구간인데, 동부간선도로를 타고 강남 방면으로 갈 때 [[성수대교]]를 꼭 건너야 하기 때문이다. [[동호대교]]나 [[한남대교]]는 [[강변북로]]에서 진출이 불가능하며, [[영동대교]]는 너무 동쪽에 있어 신사동, 논현동, 역삼동 일대로 갈 때는 성수대교 이용이 강제된다. 그런데 성수대교를 건너기 위한 용비교 램프가 편도 1차로인데다가 급경사 P자형태의 램프이며 성수대교북단 교차로까지 거리가 길지 않아 수용 능력이 매우 떨어진다. 용비교로 올라온 뒤 성수대교를 건너기 위해서는 우회전만 하면 되므로 신호는 없지만, 성수대교로 가는 길목 직전에 강변북로 진입램프가 있어 용비교를 건너 강변북로로 들어가려는 차량들과 동선이 엉키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직진 신호일 때만 우회전이 가능해 진출이 항상 어렵다. 이 정체는 [[성동교]] 인근까지 이어져 [[내부순환로]]에서 내려오는 차량들과 다시 엉키며 [[군자교]] 방면에서 오는 본선 차량과의 엇갈림까지 발생해 본선에도 영향을 준다. 항상 긴 대기 행렬이 이어져 있으며, 끼어들기 단속 및 블랙박스 신고가 항상 이루어지는 구간이므로 진출 시 주의해야 한다. 반대로 성수대교에서 동부간선도로로 들어갈 땐 용비교를 경유하지 않는다. == 역사 == * [[1970년]] [[12월 23일]]: 개통 * [[1971년]] [[1월 1일]]: 통행료 징수 개시 * [[1975년]] [[5월 1일]]: 통행료 인상 * [[1976년]] [[7월 16일]]: 통행료 인상 * [[1983년]] [[12월 31일]]: 무료화 * [[1996년]]: 용비교 철거 * [[2003년]] [[7월 31일]]: 용비교 재시공 완공 및 개통 * [[2007년]]: 확장공사 착수 * [[2015년]] [[12월]]: 용비교 확장공사 (왕복 4차로→왕복 6차로) 개통 초창기엔 차량만 통행하는 다리로서 유료도로의 기능을 가지고 있었으나, 노후화로 인하여 철거 후 신 교량을 건설해 2003년 7월 31일 개통하였다. 사실 청계고가도로가 폐쇄되면서 차량몰림을 방지하기 위한 우회도로의 역할도 하게 되었다. [[동부간선도로]]와 연결된 P자형 연결도로는 1995년 7월 31일 준공된 교량이다. 2007년 3월 착공한 용비교 확장공사(용비교-행당중간 도로개설공사)가 지난 2015년 11월 11일 임시 개통 이후 응봉산 보도부 목재데크 설치 및 부대공사가 마무리 되어 오는 5월 31일 준공되었다. == 관련 문서 ==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동부간선도로의 구간)] [[분류:서울특별시도]][[분류:대한민국의 나들목]][[분류:중랑천의 교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