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82828 0%, #333 20%, #333 80%, #282828)" '''요아힘 뢰프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둘러보기 틀 모음''' || ||<-4> '''대표팀''' || || [[틀: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파일: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f; font-size: 0.9em" [[틀: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333 '''독일'''}}}]]}}}[br]{{{-2 10대}}} || || || || ||<-4> '''클럽''' || ||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82828 0%, #333 20%, #333 80%, #282828)" '''요아힘 뢰프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둘러보기 틀 모음''' || ||<-4> '''개인 수상''' || || [[틀:FIFA 올해의 감독(2010년대)|[[파일:FIFA 로고.svg|height=3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31A3C; font-size: 0.9em" [[틀:FIFA 올해의 감독(2010년대)|{{{#fff '''2014 FIFA 올해의 감독'''}}}]]}}} || [[틀:월드 사커 올해의 감독(2010년대)|[[파일:월드사커 로고.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D1C35; font-size: 0.9em" [[틀:월드 사커 올해의 감독(2010년대)|{{{#fff '''2014 월드 사커 올해의 감독'''}}}]]}}} || || || ||<-4> '''베스트팀''' || || [[틀: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드림팀|[[파일: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심볼.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BCC00; font-size: 0.9em" [[틀: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드림팀|{{{#00296d '''2014 FIFA 월드컵'''}}}]]}}} || || || || ---- ||<-5> '''{{{#e0c9a5 2014 독일 올해의 축구 감독}}}''' || || [[유프 하인케스]] [br] ([[FC 바이에른 뮌헨]]) || {{{+1 →}}} || '''{{{#fff 요아힘 뢰프 [br](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 {{{+1 →}}} || [[디터 헤킹]] [br]([[VfL 볼프스부르크]])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독일의 축구 감독'''}}}}}}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요아힘_뢰프.jpg|width=100%]]}}} || ||<-2> '''이름''' || {{{+1 '''요아힘 뢰프'''}}} [br]'''Joachim Löw'''[* [joːaxɪm ˈløːf\].] || ||<|2><-2> '''출생''' ||[[1960년]] [[2월 3일]] ([age(1960-02-03)]세) || ||{{{-1 [[서독|독일연방공화국]] [[바덴-뷔르템베르크|바덴-뷔르템베르크주]] [[프라이부르크|프라이부르크현]] 뢰어라흐군 쇠나우임슈바르츠발트}}}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2> '''신체''' ||[[키(신체)|키]] 181cm || ||<-2> '''직업''' ||[[축구 선수]] ([[미드필더]] / ^^은퇴^^)[br][[축구 감독]] || ||<|2> '''소속''' || '''선수''' ||[[SC 프라이부르크]] (1978~1980)[br][[VfB 슈투트가르트]] (1980~1981)[br][[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E. 프랑크푸르트]] (1981~1982)[br][[SC 프라이부르크]] (1982~1984)[br][[카를스루어 SC]] (1984~1985)[br][[SC 프라이부르크]] (1985~1989)[br][[FC 샤프하우젠]] (1989~1992)[br][[FC 빈터투어]] (1992~1994)[br]FC 프라우엔펠트 (1994~1995) || || '''감독''' ||[[FC 빈터투어]] 유스 (1992~1994 / ^^코치^^)[br]FC 프라우엔펠트 (1994~1995)[br][[VfB 슈투트가르트]] (1995~1996 / ^^수석코치^^)[br][[VfB 슈투트가르트]] (1996~1998)[br][[페네르바흐체 SK]] (1998~1999)[br][[카를스루어 SC]] (1999~2000)[br]아다나스포르 (2001)[br][[FC 티롤 인스브루크]] (2001~2002)[br][[FK 아우스트리아 빈]] (2003~2004)[br]'''[[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대표팀]] (2004~2006 / ^^수석코치^^)[br][[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대표팀]] (2006~2021)''' || ||<-2> '''국가대표''' ||없음[* 1979년 ~ 1980년 동안 독일 U-21대표팀에 네 번 출전했었다.] || ||<^|1><-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종교''' ||[[가톨릭]] || }}}}}}}}}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B_IMG_1643955121666.jpg|width=100%]]}}} || [[독일]]의 [[축구 선수]] 출신 [[축구 감독]]. 선수 시절 포지션은 [[미드필더]]로, 흔한 [[저니맨]] 유형의 무명 선수였다.[* 선수 시절 팀 동료가 '''차범근'''이었다. 정확히는 그의 교체선수가 요아힘 뢰프였다.] 선수 은퇴 후, 지도자 커리어를 시작해 2006년부터[* [[2006 독일 월드컵]]때는 [[클린스만]] 감독하에 수석코치로 참여해 3위의 성적을 거두었다. 이 대회 직후 클린스만으로부터 감독직을 이어받고 2021년까지 오랜기간 독일을 지휘한다.]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지휘봉을 잡아 2021년까지 무려 15년 동안 감독직에 재임했다.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2014 월드컵]]에서 조국의 4번째 우승을[* 32강 조별 리그에서 [[호날두]]의 포르투갈을 4:0으로 대파하고, 4강에서는 브라질을 무려 [[미네이랑의 비극|7:1]]이라는 희대의 점수차로 침몰시켰다. 또한 결승에서는 [[메시]]의 아르헨티나와 연장 접전 끝에 [[마리오 괴체]]의 결승골로 1:0으로 승리, 독일은 24년 만의 월드컵 우승을 차지한다.], [[2017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러시아|2017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선 사상 첫 우승을 이끈[* 이듬해 2018 러시아 월드컵에 대비하고자 당시 주전 거의 모두를 선발조차 하지 않고 유망주 및 2군으로만 스쿼드를 꾸려 우승을 차지했다. 때문에 독일은 피파 랭킹 1위를 굳건히 함은 물론 2018 러시아 월드컵 부동의 우승후보 1순위로 평가받았다.] 감독으로 2018년 이전까지 출전한 국제 대회에서 전부 4강 이상[* [[유로 2008]] 준우승,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2010 월드컵]] 3위, [[유로 2012]] 4강(3위), [[유로 2016]] 4강(4위)] 올려 보낸 감독이었다. 그러나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8 월드컵]]에서는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멕시코]]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에 패하며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1938 월드컵]] 이후 최초로 1라운드 탈락[*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1938 월드컵]]때 1라운드 15강전에서 탈락(10위) 이후 1라운드 탈락은 최초의 일이다. 또한 역대 월드컵 최저 순위(22위)라는 불명예 기록도 세웠다.]이라는 흑역사를 썼고, [[유로 2020]]에서도 16강 탈락[* 잉글랜드에 0:2 패, 15위(유로 역대 최저 순위)]하는 등 암흑기를 동시에 만들어 준 감독이기도 한다. 결국 유로 2020을 끝으로 [[한지 플릭]]에게 감독직을 넘기고 물러났다. 비록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의 전성시대를 이끈 [[델 보스케]]의 전철을 그대로 밟아버렸지만, 국제 대회에서의 좋은 성적에 월드컵 트로피까지 안겨줬으니 독일 축구 발전에 크게 기여한 감독임은 틀림없다. == 축구인 경력 == === 선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wikitree.co.kr/img_20100701161858_b65842d4.jpg|width=100%]]}}} || || {{{#000,#ddd 선수 시절 [[차범근]]과 함께 찍은 사진[*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을 앞두고 [[차범근]]과 뢰프가 재회하여 이 사진을 찾아보며 과거를 회상하기도. 뢰프는 당시 [[분데스리가]]에서 손꼽히는 스타플레이어인 [[차범근]]이 무명의 교체 선수에 불과한 자신을 따뜻하게 대해 줬기에 [[차범근]]에게 매우 호의적이라고 한다. 그래서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조 추첨 때 "[[대한민국]] 축구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많이 알지 못한다. 그러나 [[차범근|차붐]]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다"고 말할 정도였다.]}}} || 뢰프의 현역 선수 시절은 평범했다.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A대표팀]]에는 단 한 번도 선발되지 못했으며[* 단, 1979년 ~ 1980년 동안 독일 U-21대표팀에 4번 출전했었다.],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서는 [[차범근]]의 백업이었다. 하지만 백업으로도 신통치 않아서 1, 2부리그 팀을 오고가며 계속 [[저니맨]] 생활을 하던, 그저 그런 선수였다.[* [[SC 프라이부르크]]에서 팀 역사상 최다 득점자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 기록 마저 2020년 [[닐스 페테르센]]에게 빼앗기게 되었다.] 1989년부터 1995년까지 [[스위스 슈퍼 리그|스위스 리그]]에서 뛰다가 은퇴했다. 선수 말년에는 선수 겸 유소년팀 코치, 선수 겸 코치 등을 맡으며 지도자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차범근]]이 독일 국가대표팀 경기를 해설할 때 여러 차례 언급했다. [[위르겐 클린스만]]이 감독을 하며 상대적으로 언론을 덜 타던 [[2006 FIFA 월드컵 독일]] 때는 클린스만과 함께 화면에 잡히자 차범근이, '''"아, 저 코치가 예전에 저랑 팀 동료였는데...이름이..."''' 그러자 옆에 있던 [[김성주]] 캐스터가 '''"요아힘 뢰프 코치입니다."'''라고 했다. 그러자 [[차범근]]이 '''"아, 맞습니다. 선수 시절 제 동료였었죠. 좋은 선수에서 이제는 좋은 지도자가 되었군요."'''라고 말했다. 그러자 [[김성주]]가 다시 '''"선수 시절 요아힘 뢰프는 어땠나요?"'''라고 묻자, [[차범근]]은 차갑게 '''"제 교체 선수였습니다."'''라고 한 내용의 플짤이 차붐의 위엄.[* 이것은 인터넷을 통해 과장된 것으로 보인다. 2017년 인터뷰에서 [[http://sports.news.naver.com/amatch/news/read.nhn?oid=469&aid=0000261327|"이 부분은 이번 기회에 꼭 바로잡고 넘어가자"]]고 한 뒤 당시 사정을 얘기했다. 뢰프 감독이 자신의 서브인 것은 사실이나 그 당시 뢰프는 20살의 어린 선수인데다가 팀에 들어온지 얼마 안된 유망주였다는 것. 정리하면, 2006년 중계 당시 '제 교체선수였다'라고 이야기한 것 자체는 틀림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그 때는 중계 중이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자세한 썰을 풀 수 없었기에 간단히 이야기했던 것]]인데, 이것이 글로 옮겨진 뒤 인터넷에 퍼지다보니 차갑게 말한 것 처럼 보이는 것일 뿐이다.] === [[요아힘 뢰프/지도자 경력|코치 및 감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요아힘 뢰프/지도자 경력)] == [[요아힘 뢰프/평가|평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요아힘 뢰프/평가)] == 수상 == === 우승 === * [[VfB 슈투트가르트]] (1996~1998) * [[DFB-포칼]]: 1996-97 * [[FC 티롤 인스브루크]] (2001~2002)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2001-02 * [[FK 아우스트리아 빈]] (2003~2004) * ÖFB-슈퍼컵: 2003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2006~2021) * [[FIFA 월드컵]]: 2014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17 *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준우승: 2008 === 개인 수상 === * [[FIFA 올해의 감독]]: 2014 * [[FIFA 월드컵]] 드림팀: 2014 * [[월드 사커#s-3|월드 사커 올해의 감독]]: 2014 * 독일 올해의 축구 감독: 2014 * 유럽 올해의 축구 감독[* 알프 램지 어워드]: 2014 * 레키프[* 프랑스의 스포츠 일간지] 올해의 스포츠 감독: 2014 * IFFHS 세계 최우수 국가대표 감독: 2014, 2017 * IFFHS 10년의 세계 최고 국가대표 감독 (2011-2020) === 수훈 === * 독일 공로십자장: 2010 * 은월계수잎 훈장: 2010, 2014 == 여담 == === 이름 및 발음 === 한국과 일본 등에서 흔히 ‘'''뢰프'''’라고 표기한다. 하지만 실제 독일에서는 ''''뢰브''''라고 발음하는데, Löw라는 이름은 원래 독일에서 흔히 쓰이는 성인 뢰베(Löwe, [[사자]]라는 뜻)에서 e가 생략된 형태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독일 사람들은 뢰프가 아닌 뢰브로 발음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ZM3BldEwf7o|'뢰브'가 올바른 발음인 이유를 영어로 설명하는 독일인.]] '뢰브'와 같은 발음 규칙이 적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인 경우가 '[[바그너]]'(Wagner)이다. 우리가 학교에서 배우는 독일어 발음 규칙에 따르면 '바크너'라고 해야 하지만, 누구나 바그너라고 발음한다. 원래 바그너가 Wagen(마차, 자동차)에 사람을 뜻하는 접미사 er가 결합된 형태로, 마차를 만들던 사람에서 유래한 성이다. 그래서 처음에 Wagener 즉 바게너라는 성이었다가 e가 탈락되면서 Wagner가 된 것이다. 하지만 바크너라고 발음하지 않는 것은 독일 사람들이라면 이것이 Wagen에서 유래된 이름이라는 것을 누구나 다 알고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뢰브 역시 독일어 기본 단어인 뢰베(사자)에서 e가 탈락된 이름이라는 것을 누구나 알기 때문에 뢰프라고 하지 않고 뢰브라고 발음하는 것. 독일어가 발음 규칙이 정확하게 적용된다는 편견이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만도 않으며, 외래어 계열이나 위와 같이 원래 단어에서 변형, 탈락된 형태 등의 이유로 은근히 다양한 예외들이 있다. === 성격 === 냉정하다 못해 초탈하다. 그리고 털털하다. >'''까짓 거 그냥 하면 되지, 뭐. 실력이 없어서 지는 게 아니다. 쫄면 지는 거다.''' 이것이 뢰프의 성격을 표현하는 말이다. 해당 발언은 승부욕이 없는 게 아니라 '''불리한 상황으로 인해 동요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첼시 FC]]에서 감독으로 뢰프의 이름이 물망에 올랐을 때도 끝까지 독일을 지켜야 한다는 이유로 거절한 애국자이기도 하다. 반면에 지나친 애국심으로 인해 전세계적인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산마리노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A매치 대결에 대한 '''[[토마스 뮐러]]의 망언을 옹호하면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 뮐러가 산마리노와의 [[2018 러시아 월드컵]] 유럽 예선 경기를 치른 후, 독일 대표팀 소속인 뮐러가 산마리노같은 팀과 축구 왜 해야하는지 모르겠다라고 [[http://sports.news.naver.com/wfootball/news/read.nhn?oid=139&aid=0002065637|인터뷰]]를 하면서 많은 축구팬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는데, 뢰프는 오히려 뮐러를 옹호하면서 뮐러와 같이 수많은 비판과 비난을 받았다. 심지어 이후에도 사과나 피드백을 전혀 하지 않았다.][* 그 업보인지는 모르겠지만 [[2014 브라질 월드컵|전 월드컵]]에서의 우승이 무색하게 [[2018 러시아 월드컵|이 월드컵]]에서 뮐러와 뢰프 감독은 [[카잔의 치욕|큰 굴욕]]을 맛보고 말았다.] === 지저분한 감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trikorni.com/nos.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Zbn0D101RI, width=100%)]}}} || 요아힘 뢰프는 [[미중년]]스러운 겉모습과는 다르게 '''더러운 행동을 서슴지 않는다.''' 중계 카메라가 뢰프 감독을 잡을 때 [[코딱지]]를 파서 그것을 입으로 가져가거나 [[암내]]를 채취해 냄새를 맡는 광경이 자주 잡혔다.[* 이를 마약 코카인에 빗대 꼬카인, 겨카인이라는 말로 불린다.] 심지어 이 [[https://youtu.be/AD73G5xYvSc|영상에선]] 엉덩이(항문)쪽으로 손을 가져가 한참 작업후 양손으로 소중하게 작업의 결과물을 조물조물 뭉친 후 냄새를 맡는 장면도 포착됐다. 때문에 [[유튜브]]에서 이 사람을 검색하면 관련된 연관어가 'Joachim Loew picks his nose(요아힘 뢰프가 코를 파다)'가 바로 뜨며 위의 행동을 모아놓은 [[https://www.youtube.com/watch?v=QT83XwFpJvU|컴필레이션]]도 있다.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조별예선 포르투갈전에서는 한술 더 떠서 코딱지를 갖다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에게 처리했다. 이어 [[UEFA 유로 2016]]에선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football_new5&no=6404313|아랫부분을 북북 긁고는 그 냄새를 맡는 장면]]도 포착되었고 이 행동이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자[* [[루카스 포돌스키]]는 대부분이 다 그런다면서 뢰브 감독의 행동을 옹호하기도 했다.[[https://www.goal.com/en/news/everyone-does-it-podolski-defends-lows-scratch-and-sniff/1puksoavl27dx120ew29vq1u7w|#]]] "무의식적인 행동이었다"라면서 사과하였다.[[https://n.news.naver.com/sports/wfootball/article/413/0000035383|#]] [[https://www.youtube.com/watch?v=vYso-ZUwEZ0|유튜브]] 이 때문인지 [[유로 2016]] 16강 슬로바키아전에서 [[제롬 보아텡]]이 후반전에 교체 아웃될 때 뢰프 감독과 [[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20160702_213/bamsuls_14674307804841OTTp_GIF/%25EB%25A2%25B0%25EB%25B8%258C%25EA%25B0%2590%25EB%258F%2585_%25EC%25BD%2594%25EB%2594%25B1%25EC%25A7%2580_%25EC%2582%25AC%25ED%2583%2580%25EA%25B5%25AC%25EB%258B%2588_%25EB%25B3%25B4%25EC%2595%2584%25ED%2585%25A1_(2).gif?type=w800|하이파이브를 하지 않고 포옹으로 대신하는 장면]]이 잡혀 보아텡은 뢰잘알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dailymail.co.uk/article-2690785-1FA0132000000578-35_634x470.jpg|width=100%]]}}} || 이후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때는 모로코의 [[에르베 르나르]] 감독, 세네갈의 [[알리우 시세]] 감독 등 다른 미중년 감독들이 나타나서 그나마 행위를 커버쳐주던 독보적인 미중년 감독의 이미지를 잃게 되었다. 특히 모로코의 르나르 감독은 중후한 신사 같은 멋을 지닌 뢰프와는 달리 좀 더 [[터프가이]] 같은 포스가 나서 남다른 야성미로 최근들어 여성 축구팬들에게 인기가 높다.[* 오죽하면 여성 축구팬들이 르나르 감독을 향해 혹시 [[영화배우]] 아니냐고 할 정도다.][* 게다가 4년 뒤에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C조/아르헨티나 vs 사우디아라비아|누구도 생각지 못한 명경기]]를 보여 주기도 했으니...] 이런 버릇은 죽어도 못 고치는지 [[UEFA 유로 2020]] 잉글랜드와의 16강전에서도 [[https://gall.dcinside.com/football_new7/1182047|코딱지를 파서 입으로 가져가는 장면]]이 또 포착되었다. 마침 0:2로 지고있는 89분의 상황, [[카잔의 치욕]] 이후 계속 침몰해가는 독일 대표팀 감독으로써의 마지막 자리[* 유로 2020을 마지막으로 감독직을 내려놓겠다고 했기 때문에 이 패색이 짙어가던 후반 89분은 그의 독일 감독 경력의 끝을 의미하는 시간이기도 했다.]인지라 [[최후의 만찬]] 드립이 흥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참가 감독)] [include(틀: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참가 감독)] [include(틀: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참가 감독)] [include(틀:UEFA 유로 2008 참가 감독)] [include(틀:UEFA 유로 2012 참가 감독)] [include(틀:UEFA 유로 2016 참가 감독)] [include(틀:UEFA 유로 2020 참가 감독)] [각주] [[분류:1960년 출생]][[분류:바덴-뷔르템베르크 주 출신 인물]][[분류:독일의 축구선수]][[분류:미드필더]][[분류:독일의 축구감독]][[분류: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SC 프라이부르크/은퇴, 이적]][[분류:VfB 슈투트가르트/은퇴, 이적]][[분류: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은퇴, 이적]][[분류:FC 샤프하우젠/은퇴, 이적]][[분류:VfB 슈투트가르트/역대 감독]][[분류:페네르바흐체 SK/역대 감독]][[분류:카를스루어 SC/역대 감독]][[분류:FC 바커 인스브루크/역대 감독]][[분류:FK 아우스트리아 빈/역대 감독]][[분류: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참가 감독]][[분류: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참가 감독]][[분류: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참가 감독]][[분류:2017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러시아 참가 감독]][[분류:UEFA 유로 2008 참가 감독]][[분류:UEFA 유로 2012 참가 감독]][[분류:UEFA 유로 2016 참가 감독]][[분류:UEFA 유로 2020 참가 감독]][[분류:FIFA 월드컵 우승 감독]][[분류: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우승 감독]][[분류:UEFA 유로 준우승 감독]][[분류:독일의 가톨릭 신자]][[분류:1978년 데뷔]][[분류:1995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