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요센 고등학교)] ||<-5>
'''{{{+1 {{{#FFFFFF 공식 팬북 능력치 패러미터}}}}}}''' || ||
'''공격력''' || '''방어력''' || '''선수층''' || '''신장''' || '''팀워크''' || || 8 || '''10''' || 8 || '''10''' || 6 || [[파일:요센.png|align=center]] [목차] == 개요 == {{{+1 陽泉}}} (양천) 《[[쿠로코의 농구]]》에 [[가공의 교육기관#s-5|등장하는 고등학교]]. [[아키타현]]에 소재한 [[기독교]]계 미션스쿨이다. 통칭 이지스의 방패. == 상세 == [[파일:external/file2.instiz.net/592fc39b5426bf7ce930f0f9ece2f404.jpg]] 추운 지방에 소재해서 [[농구]]나 [[핸드볼]] 등의 실내 스포츠를 장려하고 있다. 작중에선 그야말로 최고의 신장대를 자랑하는 팀으로, '''208cm'''의 괴물 센터 무라사키바라를 필두로 '''200, 203cm'''의 포워드를 보유한 3빅맨-2가드 구성의 팀이다. 요센을 제외한 네임드 고교들이 대부분 180후반~190초반대의 센터를 기용하는걸 생각하면 어마어마한 장신 숲인 셈. 이 압도적인 높이를 내세운 견고한 수비력과 보드장악력이 강점이며, 윈터컵 본선 첫 경기(대진표 상 2회전)와 두 번째 경기(3회전)에서 '''무실점으로 승리했다'''. 다른 구기 종목도 아닌 '''농구'''에서 무실점 승리를 한 것이다.[* 무실점 경기는 [[테이코 중학교|테이코]] 시절의 [[기적의 세대]]도 못했다.] 거기다 기적의 세대 무라사키바라는 아카시를 제한다면 공수 양면에서 최종보스 급의 포스를 보여주고, 여기에 히무로까지 더해 기적의 세대 급을 사실상 둘이나 보유한 팀이기에 공격적인 측면에서도 굉장히 강하다. 단, 압도적인 골밑 공격력에 비해 외곽지원이 좋은 팀은 아닌 듯. 다른 팀들은 3점 가드가 최소 한 명은 있는데 비해, 요센의 경우 히무로는 미드레인지가 주력이고 후쿠이는 슈팅을 그닥 시도하지 않은 포인트 가드이다. 여기에 약점이 제대로 잡혀 인터하이 준결승전에서 3점을 쓸어담은 라쿠잔에게 패했다.[* 둘 다 기적의 세대가 나오지 않았지만 그러고도 요센에겐 네부야보다 키가 큰 선수가 둘이나 있어 높이로 승부하는 데는 문제가 없고, 라쿠잔도 슈터 미부치는 문제 없이 출장했기에 3점 발동은 정상적이었다.] 별개로 팀 분위기는 [[오카무라 켄이치|주장]]을 [[디스(비판)|디스]]하면서 놀 정도로 --[[막장#s-1.1|막장]]-- 화기애애(?)하다. 작중 타 학교 농구부의 주장의 위상을 생각해보면 정말 특이한 면. [[쿠로코의 농구/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에선 홈 유니폼이 [[라벤더]]와 [[분홍색]]은 섞은 색상인데, 팬들 사이에선 디자인이나 색감 자체는 무난하지만 신체 건장한 [[남성]]이 입기엔 아무래도 너무 '''핑크핑크'''(…)하다는 평. 유니폼 자체 색깔도 특이하지만 바지 부분의 디자인도 좀 이상하다. 교복은 상의가 검정색의 가디건이고 하의는 회색 바탕의 검정 체크 무늬이며 가장 예쁘다는 평이 많다. 학생들이 1년에 몇 시간의 봉사시간을 채워야 한다. Replace 3권에서 공원에 [[눈(날씨)|눈]]으로 동상 만들기 봉사를 하는 요센 농구부원들의 에피소드가 나온다. 부상을 우려해서인지 선수들이 [[길거리 농구]]를 비롯한 아마추어 경기에 나가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길거리 농구를 하려던 [[히무로 타츠야|히무로]]를 [[무라사키바라 아츠시|무라사키바라]]가 말리려다 [[카가미 타이가|카가미]]의 도발에 넘어가 덩달아 참가하려 했지만, [[비(날씨)|비]]가 오는 바람에 중지되었다. 기적의 세대가 속한 학교 중에서는 비중이 낮은 편이다. 초반부터 비중이 있었던 카이조, 슈토쿠, 토오 등과 달리 윈터컵 8강이라는 늦은 시기에 등장했기 때문. 위 세 학교는 비중있는 경기가 서너번씩은 되며, 라쿠잔의 경우 경기가 두 번 치러진 데에다 무엇보다도 [[최종보스]]이다. 반면 이쪽은 비중있는 경기가 딱 세이린전 하나 뿐이고 무라사키바라와 히무로를 제외하면 별다른 네임드 캐릭터도 없다. 그나마 굿즈와 공식 포스터에서 각 학교에서 대표로 3명을 뽑으면 [[후쿠이 켄스케|후쿠이]]가 종종 끼긴 한다. 윈터컵 이후로는 여전히 건재한 요센의 더블 에이스가 타도 [[카가미 타이가|카가미]]를 목표로 연습에 임하고 있다고 한다. ~~근데 라스트 게임에서 카가미는 미국에 가지 않았나?~~ ~~엑스트라 게임에서는 안 갔다~~ 인터넷 상에서 추정하기로는 아키타현 단골 진출교인 노시로 공업 고등학교가 모델일 가능성이 높다. 참고로 이 학교는 [[산왕공고]]의 모티브이기도 하다. 실제 모델 학교도 1990년대에는 절대강자였지만 쿠로코의 농구가 연재될 때인 2009년에는 [[예선깡패]]로 전락했다. == 농구부 구성원 == === 1학년 === * '''[[무라사키바라 아츠시]]''' (紫原敦) - C === 2학년 === * '''[[히무로 타츠야]]''' (氷室辰也) - SG * '''[[류 웨이]]''' (劉偉)[* [[간체자]]로 고치면 刘伟라 쓴다. 발음은 Liú wěi(리우↗ 웨↘이↗).] - SF--사실상 센터-- === 3학년 === * '''[[오카무라 켄이치]]''' (岡村建一) - PF * '''[[후쿠이 켄스케]]''' (福井健介) - PG === 감독 === * '''[[아라키 마사코]]''' (荒木雅子) [[분류:요센 고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