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 [[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LeftArmOffering-OW.png]] || 한글판 명칭 ||'''왼팔의 대상''' (원작)[br]'''왼팔의 대가'''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일어판 명칭 ||'''[ruby(左腕, ruby=ひだりうで)]の[ruby(代償, ruby=だいしょう)]'''|| || 영어판 명칭 ||'''Left Arm Offering'''|| ||<-2> 일반 마법[*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함정 카드.] || ||<-2>패를 전부 묘지에 둔다. 덱에서 마법 카드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결선 편|배틀 시티 결선 편]]에서 [[어둠의 마리크]]가 [[어둠의 유우기]]와의 결승 듀얼 중 사용. 유우기한테 턴을 넘긴 뒤 [[죽은 자의 소생]]을 노리고 드로우 페이즈에 발동하였지만, 유우기가 발동한 [[익스체인지]]의 효과로 기껏 뽑은 죽은 자의 소생을 빼앗긴다. 작중에서는 후술할 OCG판과 효과가 조금 달랐는데 그냥 심플하게 "자신의 패를 전부 버리고 덱에서 마법 카드 1장을 서치한다."라는 효과였다. 즉 발동 제약도 없고 패도 제외가 아닌 버리는 것. 당연 이렇게 나오면 희대의 사기카드니 코스트를 제외로 조정한 것. === [[유희왕/OCG|OCG]] === [[파일:左腕の代償.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명칭=왼팔의 대가, 일어판명칭=左腕(ひだりうで)代償(だいしょう), 영어판명칭=Left Arm Offering, 효과외1=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마법 / 함정 카드를 세트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 이외의 자신의 패가 2장 이상일 경우\, 그 패를 전부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현존하는 카드 중 가장 쉽게 덱에서 마법 카드를 서치할 수 있는 유일한 범용 카드. 패 2장 이상을 제외하는 코스트는 무겁지만 마법 카드 1장만으로 역전의 발판이나 많은 어드밴티지를 마련할 수 있는 덱에서는 감수할 만하다. 이 카드를 제외한 마법 카드 샐비지 방법이 대게 덱 테마에서만 사용 가능한 전용 카드라던가, 그것도 없다면 차선책으로 [[피안(유희왕)#s-3.5.1|선악의 피안]]처럼 묘지에 묻어도 발동할 수 있는 카드들을 대상으로 [[어리석은 부장]]을 쓰거나 [[마법돌의 채굴]]처럼 묘지에서 패로 가져와 재활용하는 식의 다소 느리고 불확정적이거나 동선이 꼬이는 방법이라는 것을 감안했을때 덱에서 아무 마법이나 쉽게 가져올수 있는 이 카드의 효과는 매우 파격적이라고 할 수 있다. 거기다 보통 이런 카드에는 가져온 카드를 그 턴 발동할 수 없단 제약이 있는데 이 카드는 그런 게 없다. 즉 '''가져온 마법 카드를 바로바로 사용해 상황을 역전'''시킬 수 있단 것. [[죽은 자의 소생]], [[블랙홀(유희왕)|블랙홀]], [[해피의 깃털]], [[소울 차지]] 등 범용성 높은 일반 마법은 물론 지속, 속공, 장착, 필드, 심지어 의식 마법까지 종류를 따지지 않고 가져오기에 활용도는 무궁무진하다.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엔 마법 / 함정 카드를 세트할 수 없다는 점 외에는 아무런 디메리트가 없으니 다른 카드의 발동이나 몬스터의 소환 등이 막혀버릴 일도 없다. 대표적으로는 묘지가 쌓이고 나면 패고 세트고 필요없고 [[진염의 폭발]]이 가장 중요한 [[라바르]]에서 눈여겨 볼 만 하며, [[인페르노이드]] 덱에서도 패 제외를 감수하고 [[추리게이트]]를 가져와서 잘 갈리기만 하면 제외된 2~4장 정도의 코스트는 아무것도 아닐 아드 확보가 가능하다. 실제로 밀레니엄 팩이 정발된 다음 대부분의 인페르노이드 입상 덱이 이 카드를 투입하게 되어 가격이 크게 올랐다. 이후 발매된 '''[[이웃집 잔디깎기]]'''와는 최상의 궁합을 자랑하는데, 인페르노이드를 비롯한 잔디덱은 덱을 60장으로 꽉 채우기 때문에 이웃집 잔디깎기 3장을 첫패에 잡기가 어렵다는 단점을 이 카드로 서치한다면 커버할 수 있다. 오히려 제외한다는 것을 이용해 [[이차원의 정찰기]]나 [[네크로페이스]]등 제외되면 효과가 발동되는 카드들과 연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 [[하늘의 선물]]이랑 비교해봐도 굉장히 싼 코스트로 필요한 카드를 패에 넣는 매우 좋은 카드. 아예 제외 계열의 차원덱에서는 거의 노디메리트 카드로 쓸수도 있다. [[영혼 흡수(유희왕)|영혼 흡수]]가 깔려있을 시 [[차원의 틈]]등 필요한 마법을 추가하면서 LP도 1000 이상을 회복 가능. 아님 이 카드로 영혼 흡수를 서치해올수도 있다. 마법 / 함정 카드 세트가 금지되기에 [[고철의 허수아비]] 같이 발동 후 자신을 세트하는 카드는 세트되지 못하고 묘지로 가며, 함정 카드로도 취급하는 몬스터를 효과로 뒤집을 수 없다.(예시; [[전신 아포피스]]에게 [[달의 서]]를 발동할 수 없음. [[팬텀 나이츠 셰이드 브리간딘]]은 함정 카드로 취급하지 않으므로 [[달의 서]]를 발동할 수 있음.) 또한 세트가 금지되는 것은 '''맹세 효과'''이기 때문에 카드를 세트한 턴에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 따라서 마법, 함정 카드의 세트를 통해 패의 손실을 줄이고 발동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물론 묘지에서는 이 카드와 관계없이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북미판에서도 밀레니엄 팩을 통해 나오게 되었다. 그 외 특기할 사항으로는 최근 들어 도검류에 대한 [[탄압]]이 상당히 잦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이 카드는 탄압을 받지 않았다. 그 외에 특기할 사항으로는 '代償'가 제물로 번역된 카드들인 [[희생의 제물]], [[전선부활의 제물]]과는 달리 대가로 번역되었다.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의 등장으로 이 카드는 아무도 안 쓰게 될 줄 알았으나 여전히 쓰는 사람은 쓴다. 심지어 [[인페르노이드]] 우승 덱에는 [[마법돌의 채굴]] 3장을 넣어 인페르노이드 몬스터들을 묘지로 묻으면서 대가를 회수해서 다시 발동해서 쓴다. 그러나 [[포톤 하이퍼노바]]에서 상대 필드에 몬스터만 있으면 상대 몬스터 효과를 트리거로 '''노 코스트로''' 일반 마법/함정이면 아무거나 서치할 수 있는 상위호환격인 [[삼전의 호]]가 등장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밀레니엄 팩|MILLENNIUM PACK]] || MP01-JP018 || 밀레니엄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더 레어리티 컬렉션|RARITY COLLECTION 20th ANNIVERSARY EDITION]] || RC02-JP037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컬렉터즈 레어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 [[매지션의 패왕|-ロード・オブ・マジシャン-]] || SR08-JP033 || [[노멀]] || 일본 || ||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冥闇のデュエリスト編-]] || DP24-JP013 || [[노멀]] || 일본 || || || [[밀레니엄 팩]] || MP01-KR018 || 밀레니엄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더 레어리티 컬렉션|더 레어리티 컬렉션 2020]] || RC02-KR037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매지션의 패왕|-로드 오브 매지션-]] || SR08-KR033 || [[노멀]] || 한국 || || || [[밀레니엄 팩|Millennium Pack]] || MIL1-EN015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왼팔의 제물, version=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