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사)] ---- [목차] 王重貴 (? ~ 1369) == 개요 == [[고려]] 말의 인물. == 생애 == 왕중귀는 [[공민왕]] 초에 좌부대언에 올랐는데 공민왕 5년(1356) [[병신정변]] 때 [[기철]]의 사위였기에 외지로 유배된다. 곧 유배에서 풀려 공민왕 13년(1364) 10월 동지밀직사사에 임명되고 [[원나라|원]]에 가서 천추절을 하례한다. 이듬해 왕중귀를 비롯한 여러 대신이 정권을 잡은 [[신돈]]의 뜻을 거슬러 파면된다. 공민왕의 반원 개혁 정책으로 고려와 원 양국의 관계가 악화된 상황에서 왕중귀 등이 국가 기밀 정보를 원에 누설했다는 무고를 당해 또 유배되고, 곧 돌아와 감찰대부에 임명된다. 공민왕 16년(1367)과 18년(1369) 두 차례 원에 사신으로 다녀온다. 마지막으로 원에 다녀온 해에 [[북원]]에서 온 서원군 [[노은]]이 황제 [[혜종(원)|혜종]]의 조서를 소지하고 있다가 발각돼 국문을 받는다. 노은은 죄를 자복하면서 왕중귀를 끌어들여, 정탐을 하려고 했다고 주장한다. 왕중귀 등은 억울하게 연루돼 옥에 갇혔다 죽임을 당하고 저자에서 효수되는데, 사서에서는 당시 사람들이 그가 죄 없이 죽은 것을 안타까워했다고 전한다. == 가족관계 == * 부: [[왕후(고려)|왕후]] * 모: 남양 홍씨 * '''본인: 왕중귀''' * 처: 행주 기씨 * 아들: 왕숙 * 아들: 왕엄 * 아들: 왕도 [[분류:고려의 인물]][[분류:1369년 사망]][[분류:안동 권씨 추밀공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