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의 배향공신)] [include(틀:고려 삼한공신)] ||<-2> '''[[고려|{{{#670000,#fedc89 고려}}}]] [[공신#s-1.1.1|{{{#670000,#fedc89 삼한공신}}}]][br]개국공(開國公) 위정공(威靜公)[br]{{{+1 왕식렴}}}[br]王式廉''' || || '''[[시호|{{{#670000,#fedc89 시호}}}]]''' ||위정(威靜) || || '''생몰년''' ||?[* 왕건의 사촌동생인 점을 고려하면 빨라도 [[878년]] 이후에 출생했을 것으로 보인다.] ~ [[949년]] 2월 7일(음력 1월 7일)[br]([[정종(고려 3대)|정종]] 4) || || '''가족''' ||{{{-2 아버지}}} [[왕평달]](王平達)[* [[세조(고려)|세조 왕륭]]의 남동생. 1품 1등위 삼중대광 품계를 가졌다.][br]{{{-2 아들}}} 왕함윤(王含允), 왕함순(王含順)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려]] 왕조의 [[왕족]]이자 무장. 고려 [[세조(고려)|세조 왕륭]]의 동생 [[왕평달]]의 아들이었으며, 고려 [[태조(고려)|태조 왕건]]의 사촌동생이었다. 왕건은 형제자매는 물론 이복형제조차 없는 [[외아들]]이었기에 사촌 동생들을 친형제처럼 대하였을 것이고, 실제 기록에서도 그렇게 추정된다. 왕식렴은 그 사촌들 중 왕건 다음인 둘째였다. == 약력 == ||<-3> '''역임 관작''' || || '''[[산계#후삼국시대|{{{#670000,#fedc89 향직}}}]]''' ||<-2>좌승(佐丞)[br]대승(大丞)[br]삼중대광(三重大匡)^^추증^^ || || '''[[삼사(관직)|{{{#670000,#fedc89 삼사}}}]]''' ||<-2>태사(太師)^^추증^^ || || '''직위''' ||군부서사(軍部書史)[br]호기위(虎騎尉) ||[[유금필]]은 제5호기위였다. || || '''공신호''' ||<-2>광국익찬공신(匡國翊贊功臣) || || '''작위''' ||<-2>개국공(開國公) || || '''시호''' ||<-2>위정(威靜) || == 생애 == 언제부터인지는 몰라도 [[궁예]]의 [[태봉]] 시절 때부터 관직 생활을 해왔던 것으로 보인다. 왕식렴 열전에서 그가 군부서사(軍部書史)를 지냈다고 하는데, 평양으로 파견된 시기가 고려 건국 직후인 점을 감안하면 군부서사는 태봉 때 지낸 관직명으로 보인다. [[918년]] 고려가 건국된 후, 변방의 안위가 걱정된 왕건은 평양을 대도호(大都護)로 삼고 왕식렴과 광평시랑 열평에게 평양을 수비하게 했다. 이를 통해 사촌 형인 왕건으로부터 상당한 신임을 받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서경을 맡게 된 이후 청천강 쪽으로 영토를 넓혀 안수진, 흥덕진을 쌓는 등 고려의 북진에 공을 세웠다. 이후 태조 왕건이 붕어하고 그 뒤로 [[혜종(고려)|혜종]]이 등극한 후에는 왕실의 어른 대접을 받게 되었는데 혜종 붕어 시점과 맞물려 [[왕규]]가 반란을 일으키자 왕건의 두 아들이자 자신에게는 조카가 되는 요, 소 두 왕자와 함께 난을 진압하여 왕규와 그 무리 300여명을 처형한 후 요를 임금 자리에 올리니 그가 바로 [[정종(고려 3대)|정종]]이 되었다. 다만 이 왕규의 난에 대해서는 다소 논란이 있다. 이미 권력에서 배제된 채 유배를 떠난 [[박술희]]를 왕규가 굳이 암살할 이유가 있었는가라는 의문이 제기되기 때문. 왕식렴이 서경에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했던 걸로 볼 때 왕규를 제거하고 왕자 요를 임금으로 세우기 위해 박술희와 왕규를 죽이고는 기록을 조작한 것이 아니냐는 추정도 있다. 우리가 왕규의 난이라 알고 있는 그 사건이 사실은 왕식렴의 난이 아닌가라는 추측이 바로 그것. [[조선시대]]에 [[서거정]]이 편찬한 《[[동문선]]》에 정종이 왕규의 난 진압 후 왕식렴에게 광국익찬공신 공신호와 대승 품계를 내리는 [[조서(명령)|조서(詔書)]]가 남아있다. 조서에서는 정종이 왕식렴을 매우 아꼈다는 것이 드러난다. 어쨌든 정종의 등극에 기여한 왕식렴의 입김 때문인지 정종은 서경 천도를 천명하며 이를 실행에 옮겼고 이 정종의 치세 때 왕식렴의 권력은 더욱 강화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무리한 서경 천도 공사에 일반 백성은 물론 개경 호족들까지 거세게 반발하는 데다 왕자 소마저도 서경 천도를 반대하는 등 정종의 치세가 혼란해진 가운데 949년 사망했다. 결국 두 달 뒤에는 그가 옹립했던 정종도 붕어했고 끝내 왕소가 즉위해 [[광종(고려)|광종]]이 되었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광종이 혜종과 정종의 아들들인 흥화군과 경춘원군을 밀어내고 임금의 자리에 오른 것이 왕식렴과의 대립 덕분이라고 볼 수 있다. 무리한 천도로 개경 호족들이 반발하는 상황에서 대표격으로 반대했던 사람이 왕소였기 때문. 당연히 서경 천도를 반대하는 개경을 기반으로 잡은 호족이 왕소를 지지했을 것이고 이로 인해 왕소가 임금 자리에 오를 수 있었을 것이다. == 대중매체 == === [[태조 왕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왕식렴(태조 왕건))] 2000년 [[KBS]]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배우 정국진이 맡았다. === [[제국의 아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국의 아침/등장인물, 앵커=왕식렴(서경) 세력)] 2002년 [[KBS]] 드라마 <[[제국의 아침]]>에서는 배우 [[김흥기]][* 1996년 [[KBS]]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는 [[정도전(용의 눈물)|정도전]] 역, 2003년 [[KBS]] 드라마 <[[무인시대]]>에서는 [[정중부(무인시대)|정중부]] 역.]가 연기했다. 이때는 제대로 [[흑화]]하여 자신의 야망을 이루기 위해 노련한 야심가로 변신하였다.[* <[[제국의 아침]]>은 실질적으로 <[[태조 왕건]]> 이후를 다룬 격이다보니 전작에서 [[왕신]]을 자기가 죽게 만든 영향과 함께 기어이 흑화한 거 아니냐는 말도 나온다.] 수염 분장도 턱수염이 풍성한 분장에서 가운데로 몰린 턱수염 형태로 바뀌었기에 노회한 정략가의 인상을 물씬 풍긴다.왕요,왕소와 자연히 손을 잡아 [[왕규]] 일당을 견제하고 혜종이 붕어한 이후 서경의 군세를 동원해 패서의 호족들과 합세하여 개경을 점령하였고 왕규를 비롯한 관료들을 도륙내고 [[정종(고려 3대)|정종]]을 등극시킨 후 스스로 집정이라는 관직을 만들어 취임해 완전히 실권을 장악하였다. 이후 [[요나라]]와 싸우려고 북벌을 위한 서경 천도를 자신의 일생일대의 사업으로 생각해 정종을 움직여 추진했는데 점점 권직과 함께 공역을 가혹하게 밀어붙이는 바람에 나중엔 자신이 경계하던 [[광종(고려)|왕소]]와 관계도 멀어지고 공역에 동원된 백성들이 다 반란을 일으켜버렸고 얼마 전까지 난세였던지라 거의 대다수가 전직 군인이었기 때문에 이들은 순식간에 조직된 반군이 되어버려 서경 공역은 실행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게 된다. 이들을 무리하게 진압하려던 아들은 도리어 죽임을 당하게 되고 직접 서경으로 향했다가 아들이 전사했다는 보고를 받게 된다. 이후 서경을 둘러보는 와중 몇 차례 가슴에 통증을 느끼게 되고 유인책에 걸려 서경 공역장이 불바다가 된 모습을 보고 충격을 받아[* 이전까지는 언제나 냉정하고 교활한 면모를 보여온 왕식렴이 말을 더듬는 모습을 보이기까지 했다.] 심장 발작을 일으켜 그대로 낙마해 급사한다.기존에는 간신 [[왕규]]를 물리친 충신으로 묘사되었지만 <[[제국의 아침]]>을 기준으로 점차 권력에 대한 야심이 가득한 권신으로 묘사되는 추세로 기울고 있다. === [[빛나거나 미치거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빛나거나 미치거나, 앵커=주요 인물)] 2015년 [[MBC]] 드라마 <[[빛나거나 미치거나]]>에서는 배우 [[이덕화]]가 연기했다. 권력을 위해 사촌이기도 한 왕건을 음해하려는 모습을 보이는데 실제 기록에는 이러한 사실이 없지만 왕건의 뜻과 달리 혜종을 지지하지 않고 왕요를 지지해 정종으로 만들었다는 점에서 개연성은 어느 정도 있다고 볼 수 있다. ===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등장인물, 앵커=고려 황실 주변인물)] 2016년 [[SBS]] 드라마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에서는 배우 [[박정학(배우)|박정학]][* 2002년 SBS 드라마 <야인시대>에서는 [[도꾸야마]] 역.]이 연기했다. 드라마 내용상 매우 중요한 배역이었으나 대전회의에서 몇번 나오고 언급되고는 거의 나오지 않는다. 제작진의 서사부족이 느껴지는 아쉬운 부분중 하나. == 둘러보기 == [include(틀:고려사)] [각주] [[분류:949년 사망]][[분류:개성 왕씨]][[분류:고려의 배향공신]][[분류:고려 삼한공신]][[분류:고려의 공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