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지속 마법 카드. [목차] == 원작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TempleoftheKings-OW.png]] || 한글판 명칭 ||'''왕가의 신전'''|| || 일어판 명칭 ||'''[ruby(王家, ruby=おうけ)]の[ruby(神殿, ruby=しんでん)]'''|| || 영어판 명칭 ||'''Royal Temple''' (코믹스)[br]'''Temple of the Kings'''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2> 지속 마법[*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필드 마법.] || ||<-2>통상 턴에선 마법·함정 카드를 1장씩밖에 세트할 수 없지만, 왕가의 신전이 필드에 나와있는 한 그 소유주는 함정 카드를 2장씩 꺼내놓을 수 있다.|| ||<-2>'''이곳은 파라오의 유물을 모시는 성역이 된다... 지속 함정[* 지속 마법 카드지만 더빙 실수인지 지속 "함정"이라고 한다.] 발동! 왕가의 신전!''' - 듀얼링크스에서 리시드 전용 대사|| [[배틀 시티(유희왕)|배틀 시티]] 예선전에서 [[리시드]]가 사용한 카드. 여기서는 OCG와는 달리 '''이 카드의 컨트롤러는 1턴에 함정 카드를 2장 필드에 낼 수 있다'''라는 효과였다. 이에 대한 자세한 건 [[배틀 시티(유희왕)|배틀 시티]] 페이지 참조. 왕가의 신전의 또다른 효과로 신전 한가운데에 있는 성궤에 원하는 몬스터를 봉인시킨 뒤[* 애니에서는 필드 마법 존에 세트된 이 카드 위에 뒷면 표시로 겹치는 방식으로 세트한다.]에 셀케트와 자신의 LP 절반을 제물로 바침으로서 소환할 수 있는데,[* 이 소환은 어드벤스 소환으로 취급되는지 제물이 된 셀케트의 공격력이 라의 공격력에 반영되었다. OCG 룰로 끼워맞추면 라이프 절반을 지불해 봉인된 몬스터를 패에 추가하고 셀케트를 [[갓 슬라임|트리플 코스트 몬스터]]로 취급해 어드벤스 소환한 듯하다.] 가짜 마리크 행세를 하던 리시드는 여기에 복제판 [[라의 익신룡]]을 선보임으로서 소환 직후까지는 자신이 진짜 마리크라고 믿게 만들었다. 또한 몬스터 한 장을 봉인하는 동안은 '''데미지를 전혀 안 받고 마법 효과도 안 받는''' 흠좀무한 효과도 있었다. 허나 그걸 공략당해 카드를 잃을 경우 무조건적으로 그 카드를 발동한 플레이어의 패배라고 언급하는 걸 보면 이 카드도 원작 기준으로 효과에 의한 승리가 가능한 카드인 듯. == OCG == === 에라타 전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TempleoftheKings-G6-JP-UR.png|width=400]] [* [[파일:scanned by jaa47.jpg]] [br] 이 카드의 구도는 원작인 24권의 96 페이지 쪽에 있는 구도]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왕가의 신전, 일어판명칭=王家(おうけ)神殿(しんでん), 영어판명칭=Temple of the Kings, 마법=, 지속=, 효과1=이 카드의 컨트롤러는 함정 카드를 세트한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또한\, 자신 필드 위의 이 카드와 "신성한 몬스터 셀케트"를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패 / 덱 / 융합 덱에서 몬스터 카드를 1장 선택하여 특수 소환할 수 있다., )] [[처형인-마큐라]]와 마찬가지로 함정 카드를 마법 카드마냥 쓸 수 있게 만들어주는 카드. 효과를 보면 알겠지만 현 환경에서조차도 사기적으로 강력하다. 그나마 처형인 마큐라는 발동 조건이 수동적인데다 묘지로 보내진 그 턴 종료시까지라는 디메리트 비슷한 것이라도 붙어 있었으나 '''이 카드는 그런 것도 없다'''. 평범한 마법 카드처럼 발동할 수 있는 주제에 지속 마법이라서 파괴되지 않는 한 효과가 계속 지속된다. 가장 큰 문제는 [[처형인-마큐라]]처럼 드로우 함정 카드를 잔뜩 넣고 무한 드로우를 하는 것. 이것과 [[현세와 명계의 역전]]을 이용한 조합이 악랄했다. 이러다보니 이 카드가 금지에서 풀려나는 일은 '''절대 없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었다. 두번째 효과는 셀케트와 왕가의 신전을 묘지로 보내는 것. 묘지와 제외존을 제외하고는 어디에서나 몬스터를 꺼내오는 게 가능하다. 문제는 '''엑스트라 덱에서도 몬스터 소환이 된다'''는 것. 금지라서 별 의미 없지만, [[싱크로 소환|싱크로]] 몬스터, [[엑시즈 소환|엑시즈]] 몬스터도 가리지 않고 꺼내는게 가능한 엄청난 효과이다. 물론 엑시즈 몬스터는 엑시즈 소재를 소모하여 효과를 발동하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을지도. 게다가 이 카드를 발동한 상태로 [[고철의 허수아비]]를 이용하면 둘 중 하나를 파괴하지 않는 한 고철의 허수아비를 무한발동해 상대의 공격을 모조리 막아내는 정신나간 플레이까지 가능해진다. 이렇듯 워낙 사기적인 카드였던지라 금지가 풀릴 가망이 전혀 없어 보였으나... === 에라타 후 === [[파일:王家の神殿2.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왕가의 신전, 일어판명칭=王家(おうけ)神殿(しんでん), 영어판명칭=Temple of the Kings,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은 함정 카드 1장을 세트한 턴에 발동할 수 있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신성한 몬스터 셀케트" 1장과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의 몬스터 1장 또는 엑스트라 덱의 융합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2015년 1월, 그 현명과 함께 에라타를 먹고 제한으로 풀렸다. 세트된 함정 카드는 1턴에 1장만 발동할 수 있게 되어 이 카드가 금지가 되었던 이유인 '''선공에 드로우 함정 카드 다량 발동이 봉인'''되었다. 이름 지정인지라 바운스하고 다시 발동하여 함정 카드를 다시 발동하는 것도 불가능.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하는 몬스터는 --새로운 소환법이 나올 때마다 재정 내려주기 귀찮아서-- 융합 몬스터로 한정되었다. 전체적으로 상당히 심한 너프. 함정카드 1장 발동하자고 넣는것도 뭣하고 패/덱에서 아무 몬스터나 특수 소환하고 엑스트라 덱에서 융합 몬스터를 소환하는 효과 자체는 준수하지만 이 효과를 쓰려면 굳이 [[신성한 몬스터 셀케트]]를 어거지로 집어넣어야 하기 때문에 풀려도 채용되는 일은 거의 없다. 굳이 쓴다면 머티리얼 게이트 덱에서 상대가 대응할 틈을 주지 않기 위해 원턴킬할 용도로 쓰이기는 하지만 이상하게도 머티리얼 게이트조차 이렇게 쓰는 일이 잘 없다. 결국 4월 금제에서 바로 무제한으로 풀렸다. [[유희왕 VRAINS]]에서는 [[하노이의 기사]]의 간부인 [[바이라]]가 이 버전을 사용했다. 사용자가 계속해서 이동하는 스피드 듀얼 특성상 DM 시절과 달리 발동 시 그냥 카드가 빛나기만 하고 다른 신전이 나타나는 등의 다른 연출은 없었다. 당연하지만 라의 익신룡이 OCG 상으로는 특소 불가라 원작 재현은 불가능. == 관련 카드 == === [[신성한 몬스터 셀케트]] === 셀케트를 필드에 유지하려면 이 카드가 필요하다. [[분류:유희왕/OCG/지속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