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왕 게임(소설))] [목차] [clearfix] == 출판 소설 == 소설판의 경우 휴대폰 소설을 직접 쓴 [[카나자와 노부아키]]가 집필하여 책으로 출판하였고 현재 1권부터 11권과 외전인 기원까지 합해 12권이 발매된 상황이다. 한국에선 ~~석유왕~~[[AK커뮤니케이션즈]]에서 정발. 9800원에 판매중이다. 현재 한국에는 1권부터 11권까지 나와 있다. 역자는 소설, 만화 모두 [[천선필]]. 많은 사람들이 잘 모르는 사실이 하나 있는데, '''왕게임은 단편이 아니다.''' 인터넷의 번역본으로 먼저 왕게임을 접해보고 나서 이후의 전개를 알기 위해 소설을 읽어보고 나서 아리송한 기분이 드는 것은 이 때문. 이렇기에 소개항목에서 '시리즈 누계'라는 말을 사용하였다. == 만화 == * '왕 게임' : 원작 소설 1권의 내용의 코믹스판으로 작화는 [[렌다 히토리]].[* 참고로 이게 렌다 히토리의 첫 데뷔작이다.] 소설과는 결말 부분이 조금 다르다,[* 소설과 같이, 마지막에 치에미와 노부아키 두 명이 살아남았고 명령내용도 똑같았지만 살고 싶다는 의지가 같으면 왕을 이길 수 있다는 것을 알게돼 두 명 다 살지만 치에미는 아베 토시유키의 칼에 찔렸던 상처로 인해 결국 죽게 된다,] 2011년 1월 28일부터 2012년 6월 22일까지 발매 * '왕 게임 - 종극' : 원작 소설 2권의 내용의 코믹스판. 작화는 쿠리야마 렌지. 작화가가 달라서 1권의 코믹스판이랑 그림체가 다르다. 1권 이후의 시간대를 그리고 있으며, 2권 코믹스판의 시작 부분은 1권 코믹스판의 엔딩이 아닌 1권 소설 원작의 엔딩을 따른다. 1권은 결말이 조금 달랐던 것과 달리 2권은 그대로 소설과 같은 시궁창 엔딩. 2권 코믹스판 엔딩이 소설 4부 시작과 이어지면서 끝난다. 2012년 11월 28일부터 2014년 7월 22일까지 발매. * '왕 게임 - 기원' : 원작 소설 '왕 게임 기원'의 코믹스판, 작화는 야마다 J타. 옛날 요나키 마을에서 있었던 왕 게임을 다루는 프리퀄 코믹스. 2014년 1월 10일부터 2015년 10월 10일까지 발매 * '왕 게임 - 임장' :원작 소설 '왕 게임 임장'의 코믹스판. 작화는 쿠리야마 렌지. 2015년 1월 22일부터 2016년 11월 11일까지 발매. 번역기로 돌리면 臨場이 실제로 번역된다. 소설판 정발을 맡았던 AK커뮤니케이션즈에 의해 코믹스판도 모두 정발되였다. 한글 번역은 모두 천선필이 담당. 참고로 [[렌다 히토리]]의 경우 맨 첫번째 작품인 '왕 게임'만 맡았고 그 이후 작품은 전부 다른 작화가가 그렸다. 이는 본래 렌다 히토리가 그린 '왕 게임'은 소설이나 만화 시리즈와는 무관한 별개의 독립적인 작품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렌다 히토리 코믹스는 왕 게임 - 종극 이후나 원작 소설과는 다른 스토리 라인으로 결말이 났다. 따라서 코믹스판은 같은 시리즈로 나온게 아니다. 참고로 한국 일부 스트리밍 서비스~~리디~~에서는 어째서인지 '왕 게임, 왕 게임 - 종극, 왕 게임 - 기원' 이 3개를 한데 묶어 같은 '왕 게임'이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되고있다[* 이런 경우 1~5권까지는 왕 게임, 6~10권까지 왕 게임 - 종극, 11권~16권까지 왕 게임 - 기원에 해당한다. 각 권 표지에는 표시되어있으니 표지 보고 확인할 것.]. 거기다 각 작품마다 모두 작화가가 다른데 작화가 이름은 렌다 히토리 하나로만 표기되어 있다.[* 다만 앞서 언급했다 싶이 렌다 히토리의 '왕 게임'은 독립 개별 세계관이고 그 이후에 나온 코믹스는 원작 세계관을 따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세계관'''이다. 그래서 같은 시리즈 코믹스라고 착각하고 본 사람은 일부 스토리 라인을 이해하기 힘들 것이다.] 그림체 작화 자체는 렌다 히토리의 '왕 게임'이 크게 호평받고 있는 반면 쿠리야마 렌지의 '왕 게임 - 종극'은 그림체 면에서 꽤나 혹평받고 있다. 무섭지 않고 그냥 야망가 같다는 평. 거기다 스토리 역시 왕 게임 - 종극은 그냥 막장이다. 이는 원작 소설 스토리 문제라 작화가들의 잘못은 아니지만. 여담이지만 코믹스를 [[오바타 타케시]]가 그렸다고 착각하는 사람도 종종 있다. 렌다 히토리의 그림체와 오바타 타케시 그림체가 살짝 비슷해서 착각한 사람이 꽤 있는 모양 그나마 코믹스 중에선 '왕 게임 - 기원'이 제일 좋게 평가받고 있다. 스토리 자체도 크게 막장도 아니고 작화도 준수한 편.[* 아무래도 다른 코믹스는 '휴대폰을 통해 바이러스가 퍼진다'는 막장 설정을 사용한 현대 배경이라지만 '왕 게임 - 기원'은 휴대폰이 아닌 마을에 퍼진 바이러스고, 이 바이러스가 사람을 조종해 편지로 왕 게임을 진행한다는 설정이라 설정 자체도 크게 막장이 아니여서 괜찮은 편.] == 영화 == [[파일:157190_01.jpg]] 2011년, 1권 소설을 기반으로 영화화되었다. 츠루타 노리오 감독에 [[하로프로젝트]]의 아이돌이 대거 투입되었다. [[카나자와 노부아키]]역에 [[사쿠라다 도리]]. [[혼다 치에미]]역에 [[쿠마이 유리나]]가 캐스팅되었고, [[이와무라 리아]] 역은 [[스즈키 아이리]]가 열연하였다. 그 외, [[베리즈코보]] 의 [[츠구나가 모모코]], [[스가야 리사코]] 등과 하로프로젝트 에그의 멤버 등이 대거 투입. 원작의 경우, 특별한 전개나 내용보다 자극적인 미션과 잔인하게 제거되는 친구들의 모습이 주요했다. 그런데 아이돌들을 대거 캐스팅하고, 연령대를 낮춰야 되었기 때문에 잔인한 장면이 전혀 없다. 친구들이 죽는 모습은 죽는 것이 아니라 투명해지며 존재가 말소되는 것으로 처리. 즉, 명령을 어긴 사람은 게임 참가자 이외의 사람의 기억에서 없어지는 것, [[존재의 소멸|쉽게 말해서 원래부터 없었던 사람이 된다.]] "여배우가 예쁘다", "여배우 얼굴 밖에 기억이 안 난다.", "남주인공 키가 작은게 아니었군", "여주 키 크다" 등의 평들도 있다. 평점은 5점대 이다. 원작소설이나 만화를 망쳤다는 댓글도 있다. == 모바일 게임 == 모바일 [[트레이딩 카드 게임]]. 왕게임 소설 1권의 배경에서 원작에서는 등장하지 않는 신문부원들이 왕 게임에 엮이는 내용이다. 스토리는 원작자가 감수했다고. 2015년 12월 16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애니메이션 == ||<-2>
{{{#373a3c,#dddddd '''{{{+1 왕 게임 The Animation}}}''' (2017)[br]王様ゲーム The Animation[br]King's Gam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왕_게임_애니_키비주얼.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373a3c,#dddddd 원작}}}''' ||[[렌다 히토리]][br]쿠리야마 렌지(栗山廉士)[br][[카나자와 노부아키]] || || '''{{{#373a3c,#dddddd 감독}}}''' ||[[사사키 타다요시]] || || '''{{{#373a3c,#dddddd 조감독}}}''' ||호시노 미스즈(星野美鈴) || || '''{{{#373a3c,#dddddd 시리즈 구성}}}''' ||[[코누타 켄지]]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소라모토 칸(そらもとかん)[br][[이토 요스케]] || || '''{{{#373a3c,#dddddd 총 작화감독}}}''' ||소라모토 칸 || || '''{{{#373a3c,#dddddd 프롭 디자인}}}''' ||노지리 미나미(野尻美波)[br]시미즈 미호(清水美穂)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2>나카하라 히데노리(中原英統) || || '''{{{#373a3c,#dddddd 미술 설정}}}''' || || '''{{{#373a3c,#dddddd 색채 설계}}}''' ||콘도 나오토(近藤直登)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하야시 코지로(林コージロー) || || '''{{{#373a3c,#dddddd 편집}}}''' ||호리카와 카즈토(堀川和人)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오오무로 마사카츠(大室正勝) || || '''{{{#373a3c,#dddddd 음악}}}''' ||오사다 나오유키(長田直之) || || '''{{{#373a3c,#dddddd 음악 제작}}}''' ||SPACEY MUSIC ENTERTAINMENT || || '''{{{#373a3c,#dddddd 프로듀서}}}''' ||오누마 토시유키(小沼利行)[br]코바야시 야스히사(小林泰久)[br]하시라야마 타이스케(柱山泰佐)[br]모리타 타케시(森田 剛)[br]이시하라 나오키(石原直樹)[br]아베 나오키(阿部直樹)[br]야스다 spacey 타카유키(安田spacey尊行)[br]이토 타이가(伊藤大河)[br]타케우치 타카마사(竹内崇剛)[br]스즈키 히데아키(鈴木英昭)[br]미츠에다 토시미츠(三枝俊光)[br]요시다 유지(吉田裕二)[br]키쿠치 노리후미(菊島憲文)[br]이소가이 노리토모(礒谷徳知)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주식회사 세븐|세븐]] || || '''{{{#373a3c,#dddddd 제작}}}''' ||왕 게임 The Animation [[제작위원회]]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7년 10월|2017. 10. 05.]] ~ 2017. 12. 21.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AT-X]] / (목) 23: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맥스 코리아]] / (목) 01:00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373a3c,#dddddd 화수}}}''' ||12화 || || '''{{{#373a3c,#dddddd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19세 이상 시청가}}}]][br]{{{-2 {{{#ffffff (선정성, 폭력성, 언어, 주제)}}}}}}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s://kingsgame-anim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ingsgame_pr)] || }}}}}}}}}}}} || 2017년 8월 1일, 애니메이션화가 결정되었다. 감독은 [[사사키 타다요시]],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17년 10월|2017년 10월]]. === 공개 정보 === 주인공은 [[미야노 마모루]]. [[호리에 유이]], [[이치미치 마오|M.A.O]], [[Pile]], [[사사키 유스케]], [[타치바나 신노스케]], [[우에하라 아카리]] 등 신인과 베테랑 성우가 골고루 배정되었다. 애니메이션의 시작 시점은 2부. 1부 내용은 과거 회상으로 나오지만, 그 분량이 2부와 비슷한 정도이기 때문에 사실상 1, 2부가 동시에 애니화 된 것이라 보면 된다. 또한 애니메이션 12화에서는 후속작 관련 떡밥을 내놓았다. 만들 생각인지는 불명이지만 시간을 뒤로 되돌린 것을 보면 임장 편으로 보인다.[* 작중에서 사다케 마이나 야스다 켄타로를 비롯한 임장 편의 애들의 모습이 잠깐 나왔다.] 이와는 별개로 원작에서의 전개를 바꿔놓았는데 1권의 명령 5를 비롯한 일부 명령이 삭제되었고 2권 부분에서도 코믹스에서는 바이러스에 관련된 설명을 미야자와 해주는데 이것도 스킵되었지만 최종적인 결과는 종극 마지막 편과 같다.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JgFQC9Avfhk, width=100%)]}}} || || '''티저 PV''' || === 캐스팅 === * 주역 * [[카나자와 노부아키]] - [[미야노 마모루]] * 현립 타마오카 고등학교 * 아다치 신고 - [[하마조에 신야]] * 아베 토시유키 - [[마츠오카 요시츠구]] * 이시이 사토미 - [[츠지 미유우]] * 이노우에 히로후미 - [[나리사와 스구루]] * [[이와무라 리아]] - [[Pile]] * 우에다 요스케 - [[우치다 유우마]] * 우에다 카나[* 동명의 성우인 [[우에다 카나]]가 있다. 다만, 한자는 다르다.] - [[마키노 유이]] * 오오노 아키라 - [[오치아이 후쿠시]] * 카와카미 유스케 - [[토타니 키미토]] [* [[가면라이더 디케이드]]의 [[2호 라이더]] [[디엔드]] 장착자 --이자 게이-- [[카이토 다이키]] 역을 연기한 배우로 알려져 있다.] * 카와노 치아 - [[후쿠시마 아미]] * 키노시타 아케미 - [[유자키 코노미]] * 시로카와 마미 - [[오오츠보 유카]] * 타사키 다이스케 - [[스가누마 히사요시]] * 토요다 히데키 - [[아카바네 켄지]] * 나카오 미나코 - [[사사키 미코이]] * 나카지마 미사키 - [[유즈키 리사]] * 하시모토 나오야 - [[타치바나 신노스케]] * 히라노 나미 - [[스즈키 미노리]] * 후지오카 토시유키 - [[사카이 코우다이]] * 혼다 치에미 - [[이치미치 마오|M.A.O]] * 마츠모토 마사미 - [[토미타 미유]] * 마루오카 카오리 - [[혼다 마리코]] * 미야자키 에미 - [[스즈키 미사키]] * 야히로 쇼타 - [[모리시마 슈타]] * 야마구치 히로코 - [[아마미야 미야]] * 야마시타 케이타 - [[나가노 유스케]] * 현립 쿠레히로 고등학교 * 아카마츠 켄타 - [[사사키 유스케]] * 오오이 마사토시 - [[사나다 유우]] * 쿠라모토 아야 - [[후지타 사키]] * 쿠로사와 다이키 - [[호리노우치 히토시]] * 코바야시 유나 - [[나카지마 메구미]] * 사카키바라 토시후미 - [[호리우치 하야토]] * 사카모토 타쿠야 - [[히노 사토시]] * 사토 유이치 - [[스즈키 타츠히사]] * 진바 타츠야 - [[토노자키 유스케]] * 스기사와 료 - [[카구라 히로유키]] * 타카다 마코토[* 원작에는 없는 오리지널 캐릭터로 추정.] - [[타카다 마코토(성우)|타카다 마코토]] * 타쿠미 나나미 - [[하나후사 리에]] * 나가타 테루아키 - [[스즈키 료타]] * 후루사와 츠바사 - [[우치다 마사시]] * [[혼다 나츠코]] - [[호리에 유이]] * 마츠오카 아야 - [[오자키 유카]] * 마츠모토 리오나 - [[우에하라 아카리]] * 미나미 리나 - [[유우키 카나]] * 무라즈미 아이미 - [[키도 이부키]] * 모모키 하루카 - [[아라나미 카즈사]] * 유키무라 미즈키 - [[키노시타 스즈나]] === 주제가 === ==== OP ==== ||<-2>
'''{{{#373a3c,#dddddd OP[br]FEED THE FIR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RzlmnDU5VrM,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JdClQz7m1Y,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coldrain]] || || '''작사''' || Masato || || '''작곡''' || Y.K.C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사사키 타다요시]] || || '''연출''' || || '''작화감독''' || 소라모토 칸(そらもとかん) || || '''원화''' || 이마자키 이츠키(いまざきいつき)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Lost Paradise|ED]] ==== ||<-2>
'''{{{#373a3c,#dddddd ED[br][[Lost Paradis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q5kpCZ6DUg,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Pile]] || || '''작사''' || 야스다 타카유키(安田尊行) || || '''작곡''' || 미라이 료(ミライショウ)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사사키 타다요시]] || || '''연출''' || || '''작화감독''' || 소라모토 칸(そらもとかん) || }}}}}}}}} || === 회차 목록 === * 전화 총 작화감독: 소라모토 칸(そらもとかん)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제1화 || 再壊[br]재괴 || [[코누타 켄지]] ||<-2> [[사사키 타다요시]] || 소라모토 칸[br](そらもとかん) || 日: 2017.10.05.[br]韓: 2017.10.12. || || 제2화 || 痕乱[br]흔란 || 타카다 마코토[br](たかだ誠) || [[오가와 유키]] ||<|2> 호시노 미스즈[br](星野美鈴) || [[이토 요스케]][br]한다 다이키[br](半田大貴) || 日: 2017.10.12.[br]韓: 2017.10.19. || || 제3화 || 融情[br]융정 || 오카 아츠시[br](岡 篤志) || 사사키 타다요시[br]토노카츠 히데키[br](殿勝秀樹)[br]한다 다이키 || 바바 류이치[br](馬場竜一)[br]황영식 || 日: 2017.10.19.[br]韓: 2017.10.26. || || 제4화 || 解冥[br]해명 || 이시노 아츠오[br](イシノアツオ) || [[타츠와 나오유키]] || 사토 요지[br](佐藤洋二)[br]안도 타카시[br](安藤貴史) || 토쿠다 유메노스케[br](徳田夢之介) || 日: 2017.10.26.[br]韓: 2017.11.02. || || 제5화 || 業泣[br]업읍 || 타니무라 다이시로[br](谷村大四郎) || 오가와 유키 || 치바 타카유키[br](千葉孝幸) || 오가와 코지[br](小川浩司)[br]요시다 하지메[br](吉田 肇)[br]카라타니 아야코[br](柄谷綾子)[br]츠보타 신타로[br](坪田慎太郎)[br]치바 타카유키 || 日: 2017.11.02.[br]韓: 2017.11.09. || || 제6화 || 反虐 [br]반학 || 코누타 켄지 || 마츠조노 히로시[br](松園 公) || 호시노 미스즈 || 미야 히데아키[br](宮 秀暁)[br]한다 다이키[br]바바 류이치[br]니시무라 모토히데[br](西村元秀)[br]황영식 || 日: 2017.11.09.[br]韓: 2017.11.16. || || 제7화 || 永厭[br]영염 || 타카다 마코토 ||<-2> 미야하라 슈지[br](宮原秀二) || 이토 요스케[br]한다 다이키[br]타니구치 시게노리[br](谷口繁則) || 日: 2017.11.16.[br]韓: 2017.11.23. || || 제8화 || 血断[br]혈단 || 오카 아츠시 ||<-2> 토노카츠 히데키 || 김봉덕 || 日: 2017.11.23.[br]韓: 2017.11.30. || || 제9화 || 楔束[br]설속 || 이시노 아츠오 ||<-2> 아리에 유키[br](有江勇樹) || 이성재[br]김봉덕[br]황영식 || 日: 2017.11.30.[br]韓: 2017.12.07. || || 제10화 || 凶走[br]흉주 || 타니무라 다이시로 || [[니시모리 아키라]] || 사토 요지 || [[핫토리 켄지]][br]코다이라 하지메[br](小平はじめ)[br][[츠지 하츠키]][br]이이즈카 요코[br](飯塚葉子)[br]코야마 료[br](小山りょう)[br]타나카 마사키[br](田中誠輝) || 日: 2017.12.07.[br]韓: 2017.12.14. || || 제11화 || 前侵[br]전우 || 타카다 마코토 || 오가와 유키 || 치바 타카유키 || 오가와 코지[br]요시다 하지메[br]츠보타 신타로 || 日: 2017.12.14.[br]韓: 2017.12.21. || || 제12화 || 終怨[br]종원 || 코누타 켄지 || 사사키 타다요시[br]호시노 미스즈 || 호시노 미스즈 || 이토 요스케[br]한다 다이키[br]황영식 || 日: 2017.12.21.[br]韓: 2017.12.28. || === 평가 ===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37959, user=3.2)] 평가는 한국 내외를 막론하고 '''매우 나쁘다.''' 일본에서는 [[5ch]] 투표에서 2017년 최악의 애니 중 하나라고 평해질 정도고, 한국에서도 애니맥스와 [[Laftel|라프텔]]의 애니 평가란에 대다수 악평이 적혀 있다. 억지로 만든 작위적인 스토리와 일부러 만든 자극의 극치, [[야애니]]를 연상시키는 쓰레기 작화 및 색감, 보기 안쓰러운 연출 등 작품성이 최악이라는 말이 많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왕 게임(소설), version=580)] [[분류:왕 게임(소설)]][[분류:작품별 미디어 믹스]][[분류:일본 만화/목록]][[분류:2011년 만화]][[분류:2014년 모바일 게임]][[분류:소설 원작 게임]][[분류:트레이딩 카드 게임]][[분류:2011년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일본의 스릴러 영화]][[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7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소설 원작 애니메이션]][[분류:코누타 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