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 만화/목록]][[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신에이 동화]][[분류:1984년 애니메이션]] [[파일:external/stat.ameba.jp/o0350034313460236928.jpg]] 주요 등장인물들 : 왼쪽부터 유데타 타마고, 유데타 우즈라, 뚱냥이, 유키야마 몽블랑, 하나노 히나기쿠 [목차] オヨネコぶーにゃん == 개요 == 이치카와 미사코(市川みさこ)의 1973년작 개그만화로 [[쇼가쿠칸]]의 주간 소녀 코믹(현 [[Sho-Comi]])에 연재되었으며, 단행본은 '플라워 코믹스' 레이블로 총 9권으로 나왔다. 극초기 제목은 '시아와세상'(しあわせさん)이지만 애니화를 계기로 '오요네코 부냥(オヨネコぶーにゃん)'이 되었다. 애니메이션판 1984년과 1985년 [[테레비 아사히]]를 통해 각각 1기와 2기가 방영되었다. 제작은 [[신에이 동화]]이며 하청에 [[샤프트(기업)|샤프트]]가 참여하기도 했다. 총감독은 [[사사가와 히로시]], 연출은 쿠즈오카 히로시, 시리즈 구성은 카네코 유타카[* 영화감독 카네코 유우의 부친.], 미술설정은 카와모토 쇼헤이, 작화감독은 스즈키 신이치, 미술감독은 나가후사 신이치, 촬영감독은 타카히시 아키히코, 녹음감독은 우라카미 야스오, 음악은 와타나베 타케오 등이 맡았다. 대한민국에서는 2014년 [[니켈로디언 코리아]]에서 방영한 바가 있으며[* 오프닝은 일본판 2쿨 오프닝인 '오요요 나이트 피버'의 멜로디를 기반으로 가사를 새로 붙였다. 참고로 1쿨 오프닝부터 채택하지 않은 이유는 애들이 따라부르기엔 엔카(트로트) 분위기가 나서이다.] 공식 카페까지 만들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30년 이상된 [[일본 애니메이션]]이어서 그런지 한국 정서와 잘 맞지 않는 부분들이 있다.[* [[파일:external/sw.nago.me/up0356.jpg]] 중반부 에피소드에 애들이 '''[[캬바쿠라]] 놀이'''를 하는 장면도 나온다(일본판 15화 EP2 "서비스 한가득 어른의 학교"). 한국에서는 성인 지향 요소 문제로 인해 해당 에피소드를 통편집했다.]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끌지 못하고 2016년 상반기 이후로 [[흑역사]]가 되 버린 듯 하지만, 그래도 깨알같은 재미는 어느 정도 보장되었는지 닉 코리아 채널 시청자들에게 한 때 인기가 있었다. 실제로도 2014년 니켈로디언 베스트 어워드에서 시청자들이 뽑은 신인왕 수상작으로 당선되기도 하였다. 현재 [[SK브로드밴드]]의 [[B tv]]와 [[KT]]의 [[olleh tv]], 모바일 콘텐츠 어플리케이션인 [[oksusu]]를 통해서 VOD가 서비스되고 있다. SK B tv, olleh tv, oksusu 모두 1화당 2일 동안 500원[* Btv와 올레TV에서는 1화와 2화를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월정액 결제시 부가세 포함 9,900원이다. 한국판 전체 에피소드는 SK B tv기준 37일 동안 9,400원에 시청할 수 있다. 방영 당시 번역은 <[[짱구는 못말려]]>를 맡았던 [[이선희(번역가)|이선희]], 연출은 [[조정란]] PD였다. == 스토리 == [[파일:external/imgc.nxtv.jp/ED00016041.png]] 어느 한 마을공터의 파이프에서 발견되어 타마고에게 버려진 고양이라면서 자신을 키워달라고 부탁하다 거절 당하더니 타마고를 껴안고 기습 뽀뽀(...)로 기절시킨 후 끌고가, 타마고의 집에 갑자기 들이닥친 민폐 고양이 뚱냥이가 치는 온갖 사고로 인해 벌어지는 사건들이 주된 스토리이다. 그렇다고 해서 꼭 뚱냥이가 작중에서 사고만 치고 다니지는 않는다. 어쩔 땐 고맙고 착한 존재, 영웅같은 존재가 되기도 한다. == 등장인물 == * 뚱냥이(오요요 혹은 부냥) - 1화부터 버려진 파이프에서 튀어나온 말 그대로 뚱보 고양이, 지나치게 뚱뚱한 나머지 돼지로 오해당하며,[* 그래서 강조하듯 '''"나는 돼지가 아니라 고양이라고!"(オレ豚違う、猫)'''라 하는 걸 잊지 않는다.] 쥐는 잘 안잡고 고구마를 밝힌다.[* 실제로 고양이과는 일부를 제외하고 식물을 잘 소화시키지는 못한다.] 성우는 [[카미야 아키라]]/[[신용우]] * [[삶은 계란|유데타 타마고]](나사랑) - 약간 [[말괄량이]] 끼가 있는 평범한 초등학생. 뚱냥이와는 당연히 애증의 관계이며, 동생인 우즈라는 그럭저럭인 편. 학교 성적은 중하위권 정도로 어떤 날은 점수가 낮게 나온 시험지를 감추려다 뚱냥이와 엄마한테 걸려서 학원을 억지로 가야 했던 적도 있었다.[* 9화 EP2 "학원은 딱 질색이야"] 성우는 [[카와시마 치요코]]/[[여민정]] * [[메추라기|유데타 우즈라]](나소심)[* 삶은 메추리알이란 뜻이다. 그래서 옷에 히라가나 'う'가 쓰여있는 건데 무슨 일인지 한국판에서도 편집되지 않고 그냥 나왔다.] - 타마고의 동생이며 머리카락이 안 자라서 고민인 아이.[* [[파일:external/blog-imgs-27.fc2.com/20070417021148.jpg]] 애니판 기준으로 자세히 보면 이마와 관자돌이, 뒷목 부분에 털이 살짝 나있긴 하다.] 가끔 이걸 갖고 뚱냥이가 놀려댄다. 그럼에도 은근히 또래 여자아이들에게는 호감을 사는 듯.[* 10화 EP2 "소심이의 첫 사랑"] 한국판 이름처럼 울보에 소심한 성격으로 뚱냥이와 누나가 조금만 괴롭혀도 운다. 일본판에서는 울 때 "지옥이야"(地獄じゃー)라고 하지만 한국판에서는 "뚱냥이 미워~!, 누나 미워~!"등으로 편집되었다. 성우는 [[요코자와 케이코]]/[[양정화]][* 아라레와 중복.] * 엄마- 타마고와 우즈라의 엄마, 성우는 [[스기야마 카즈코]]/[[정미숙]] * 아빠- 타마고와 우즈라의 아빠, 성우는 [[키튼 야마다]]/[[방성준]] * 아레레(어머나) - 타마고, 우즈라 남매네 집 근처에 사는 하얀 고양이. 종류는 [[샴(고양이)|샴 고양이]]에 성별은 암컷으로 늘씬한 몸매에 예쁘고 귀여운 미모를 가졌다. 뚱냥이가 짝사랑하고 있지만 그를 마음에 들어하지 않아 혐오하고, 싸늘하게 외면한다. 성우는 [[요시다 리호코]]/[[양정화]] * 츄파(츄츄) - 꼬리를 다친 쥐로 뚱냥이와 사이가 좋다(...) 성우는 [[타나카 마유미]] * 하나노 히나기쿠(한공주) - 예쁜 외모에 착한 성격을 가진 타마고와 몽블랑의 친구, 그래서인지 뚱냥이가 좋아하는 초등학생이기도 하다. 몽블랑을 둘러싼 타마고는 라이벌 관계[* 라이벌 관계가 시작된건 3화 EP2(일본판:라이벌 히나기쿠)부터다.]에 있으며, 타마고와 둘 만 있을 때는 참한 성격이지만, 몽블랑과 타마고는 함께 있을 때는 질투심이 발동되는지 이중인격성[* 대표적으로 9화 EP2 "학원은 딱 질색이야"의 초반 장면 中]을 보이기도 한다. 성우는 시노하라 사나에 * 유키야마 몽블랑(몽블랑) - 타마고와 히나기쿠가 매우 좋아하는 친구, 외모도 잘 생긴데다 공부도 잘하고, 넓은 마음까지 3박자를 모두 갖추고 있어 여자애들이 안 좋아할 수가 없다. 가끔 우유부단한 성격탓에 타마고와 히나기쿠의 사랑과 전쟁(?)에 휘말리기도 한다. 성우는 [[미즈시마 유]]/[[최승훈(성우)|최승훈]] * 레몬티(몽실이) - 몽블랑 집에서 키우는 하얀 대형견. 성별은 수컷이고, 종류는 [[올드 잉글리쉬 쉽독]]이다. 처음에는 뚱냥이를 동료로 믿었는데, 뚱냥이가 고양이인 것을 눈치체고서 사이가 갈라졌다. 성우는 [[카미야마 타쿠조]]/[[방성준]] == 오프닝 == ||[kakaotv(301887153)]|| || 한국판 오프닝 || ||[youtube(PhxH_Qbm_Ng)]|| || 일본판 오프닝(1기) || ||[youtube(NiNxVsuevFU)]|| || 일본판 오프닝(2기) || == 여담 == 1970~1980년대 일본에서는 특유의 귀여운 외모 때문에 가방이나 필통 등 문방구 팬시 캐릭터로 인기가 있었고 야스다신탁은행(현 미즈호신탁)의 마스코트로 쓰인 적도 있었다. [[파일:external/www.suruga-ya.jp/9780428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