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웹툰 엔터테인먼트)] [include(틀:웹소설 매체)]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파일:Wattpad 아이콘.svg|width=60]]||{{{#fe5009 '''{{{+1 왓패드}}}'''[br]Wattpad}}} ||}}} || ||<-2> [[파일:Wattpad 로고.svg|width=100%]] || || '''종류''' ||[[인터넷 소설]]·[[팬픽]] [[창작 사이트|창작]]·[[아카이브]] || || '''국가''' ||[[캐나다]] || || '''언어''' ||[[영어]] || || '''회원가입''' ||선택 || || '''개설''' ||[[2006년]] 12월 || || '''소유''' ||[[웹툰 엔터테인먼트|WEBTOON Entertainment Inc.]] || || '''운영''' ||대표: 알렌 라우, 이반 유엔 || || '''소재지''' ||[[캐나다]] [[토론토]] || || '''업종''' ||자회사 || || '''기업 분류''' ||[[중견기업]] || || '''링크''' ||[[https://www.wattpad.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미권]]의 [[인터넷 소설]], [[팬픽|팬픽션]]의 [[창작 사이트|개제]] 및 [[아카이브|저장처]]. == 역사 == [[2006년]] 12월 [[캐나다]]의 [[토론토]]에서 설립되었다. [[2021년]] [[1월 20일]]에 한국의 기업 [[네이버(기업)|네이버]]가 한화 6000억 원으로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1&aid=0003859886|인수]]하였고, [[5월 11일]]에 [[https://zdnet.co.kr/view/?no=20210511081147|인수]] 완료하였으며 네이버가 단행한 단일 인수 건 중 최대 규모의 금액이라고 한다. 이 인수로 인해 [[네이버 웹툰(기업)|네이버 웹툰]]과의 연계로 일으킬 시너지와 두 플랫폼이 결합함으로서 IP 및 콘텐츠 시장에서 존재감 강력한 경쟁력을 갖춤과 동시에 넓어진 사업 보폭과 시장 점유율 등 회사의 무형가치가 더해져 회사의 몸값이 더 뛸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2022년부터는 [[HYBE]]에서 [[웹툰]] 7FATES: CHAKHO([[방탄소년단]])와 DARK MOON: 달의 제단([[ENHYPEN]])의 [[웹소설]] 버전의 [[영어]]판([[https://www.wattpad.com/story/294965960-7fates-chakho|7FATES: CHAKHO]], [[https://www.wattpad.com/story/294966028-dark-moon-the-blood-altar|DARK MOON: THE BLOOD ALTAR]])과 [[스페인어]]판([[https://www.wattpad.com/story/294966539-7fates-chakho|7FATES: CHAKHO]], [[https://www.wattpad.com/story/294966611-dark-moon-altar-de-la-luna|DARK MOON: Altar de la luna]]) 번역[* 다른 나라 [[웹소설]] 번역판은 해당 [[웹툰]] 번역판이 연재되는 곳에서 연재한다.]을 여기서 연재하기 시작했다. == 서비스 == 사이트에 가입한 작가가 자신의 [[인터넷 소설|오리지널 창작물]]을 업로드할 수 있으며, 오리지널 작 뿐만 아니라 [[2차 창작]] [[팬픽]]들이 기고되기도 한다. 다른 [[팬픽]] 사이트와는 다르게 모바일 중심으로 되어있다. 2016년 기준 [[팬픽]] 사이트 중 [[https://www.fansplaining.com/articles/five-tropes-fanfic-readers-love-and-one-they-hate|6번째의 점유율]]을 가졌지만, 이후 점유율이 늘었는지 월간 이용자가 9000만 명이나 되어, 한때 [[텐센트]]가 노리고 있었던 플랫폼이었다고 한다. 이용자의 80%가 [[여성]]이라 [[여성향]] 작품이 많고, 그 이용자 중 80%는 [[MZ세대|1980년대 ~ 2000년대생]]이다.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1/09/03/IPAY4SG3BVC5LCMEPTFSGI3KYI/|기사]] [[캐나다|본사 위치]]와 달리 이용자 수는 [[필리핀]]이 1위. 그러나 미국, 캐나다, 유럽에서도 접속자가 상당하며 관리도 허접하지 않다.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1/09/03/IPAY4SG3BVC5LCMEPTFSGI3KYI/|주수익원]]은 유료 콘텐츠는 아니며, 광고와 브랜드 파트너십이다. 한국 아마추어 웹툰 작가들이 네이버 도전만화와 카카오웹툰 웹툰리그에 작품을 동시에 올리는 것과 비슷하게, 여기도 사람들이 [[Archive of Our Own]], [[FanFiction]] 등 다른 [[팬픽]] 사이트에 작품을 동시에 올려놓는 경우가 많다. [[Archive of Our Own]]과 [[FanFiction|팬픽션넷(FanFiction)]]과는 다르게 마치 한국의 조아라처럼 표지[* 삽화는 [[Archive of Our Own]]도 올릴 수 있는데 이곳보다는 잘 없다.]를 올릴 수 있다. 단, 표지는 일러스트레이터에게 외주를 주지 않는다면 작가 자신이 직접 표지를 만들어서 올리는데, 본인이 그림을 잘 그리는 게 아니라면 질이 떨어지거나,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사진을 합성해서 만들거나 남의 그림을 훔치는 등 저작권 문제가 있다. 유저들이 캐릭터 프로필을 만들 때 아무런 관계 없는 사진을 올려 놓고는 "뭐 이렇게쯤 생긴 캐릭터다"라고 하는 경향이 있다. [[팬픽]]을 읽는 유저는 자기 이름과 설정을 집어넣도록 표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Y/N"은 "Your name"을 뜻하며 자기 이름이 들어간다. [[Archive of Our Own]]과 [[FanFiction|팬픽션넷]]과는 달리 서비스하는 언어의 수가 적으며, 2021년 [[네이버(기업)|네이버]]가 인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글을 지원하지 않는다. 단, 장르 [[태그]]는 네이버 인수 이후 한국에서 이 사이트에 들어간다면 [[https://www.wattpad.com/stories/%EB%A1%9C%EB%A7%A8%EC%8A%A4|로맨스]] 등 한글로 번역된 태그가 먼저 뜬다. 그래도 한글 태그라 [[https://www.wattpad.com/stories/Romance|원본 태그]]와 비교하면 작품의 수는 매우 적다. 한국어 아마추어 [[웹소설]]이나 [[팬픽]]은 올릴 수 있다. 네이버가 인수한 영향 때문인지 선술한 두 팬픽 사이트와는 다르게 [[한국계 미국인]] 등 해외에서 사는 사람보다는 한국인이 직접 작품을 올린 걸 비교적 흔하게 볼 수 있다. [[태그]]별로 작품 순위를 매기는 시스템이 존재한다. 태그는 [[Archive of Our Own]]같이 [[팬픽/용어|팬픽]]/팬덤 용어들을 알아야 작품을 검색하기 쉽다. [[태그]] 시스템은 [[Archive of Our Own]]보다는 미흡한 편으로, [[Archive of Our Own|AO3]]도 태그들이 중복되어 만들어지거나 파편화되기도 하지만 AO3과는 달리 비슷한 맥락을 공유하는 특정 태그가 많이 쓰이기 시작하면 공식 태그로 업데이트가 되지 않기 때문에 태그가 중복되는 게 더 심하다. 필터링 시스템이 미흡한 편이다. [[태그]] 시스템은 그나마 [[FanFiction]]보다는 낫긴 하지만, 필터링 시스템은 그 [[FanFiction|팬픽션넷]]보다도 좋지 않아서 그저 검색할 때 최근 업데이트일/파트(챕터) 수/완결 유무밖에 구분을 못한다. 그래서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지뢰]]를 피할 때 단어수로 작품의 질을 대략이나마도 파악하기 힘들게 한다.[* 쓸데없이 파트(챕터)만 우구장창 있어서 단어수만 많은 [[팬픽]]이 많다.] 단어수 필터링이 없는 대신 읽는 시간이 대략 몇 시간 걸리는 지(Time)에 대한 게 있는데, 그래도 단어수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힘들다. 이 때문에 몇몇 작품은 단어수가 몇 개라고 작품 초반에 공지하기도 한다. 수위가 있는 작품은 Mature 표시나 [[https://www.wattpad.com/stories/mature|태그]]를 따로 달 수 있으나 강제되어 있지도 않고, 검색하는 데에는 [[FanFiction]]처럼 [[https://policies.wattpad.com/content/|제한]]이 있긴 하지만 표시나 태그를 달더라도 다른 [[팬픽]] 사이트와는 달리 [[Archive of Our Own|경고문 표시]]가 되어있지 않고, 심지어 대놓고 smutwarning이라는 태그가 있음에도 바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미성년자가 [[야설|수위가 높은 팬픽]]을 찾을 수도 있다. 단, 선술한 표지는 검열한다. 다른 [[팬픽]] 사이트들보다 비교적 연령대가 낮다. 그래서 그런지 다른 팬픽 사이트의 작품을 도용[* 타작가가 다른 [[팬픽]] 사이트에서 쓴 Oneshot을 짜깁기한 후 한 작품 당 한 챕터로 지정해 Oneshot 모음집을 만든 것도 있다. 원작 제목이나 링크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이런 걸 만들 때 작가들에게 일일이 허락을 받기는 쉽지 않으니 도용일 가능성이 높다.]하거나 표절하는 일이 잦다. 또한 후술하듯이 [[Webnovel]]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웹소설이나 웹툰의 불법 번역판이 유통된다. 타 대형 [[팬픽]] 사이트와는 다르게 문장마다 옆에 댓글을 달 수 있기 때문에 독자가 어떤 문장을 보고 반응을 했는지를 바로 알 수 있다는 차별점이 있다. 크롬 페이지 자동 번역이 잘 안 되는 경우가 있다. 여느 [[팬픽]] 사이트와 마찬가지로 아이돌 팬픽([[RPF]])이 많은데 이 중 [[알페스]](RPS, Real Person Slash)도 섞여있을 수 있다. 특히나 [[FanFiction]]과는 달리 표면적으로나마 실제 연예인을 소재로 한 것은 금지하지 않고, 다른 팬픽 사이트와는 달리 수위 시스템이 없어서 문제가 크게 될 수도 있다. [[FanFiction]]과 마찬가지로 전용 앱이 있다. 플레이 스토어에서는 무슨 이유인지 한국에서 다운받을 수 없고 갤럭시 스토어에선 다운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갤럭시 스토어쪽에선 업데이트가 끊긴 상황이다. === 오리지널 작품 === 작가들이 자신의 [[인터넷 소설|오리지널 창작 작품]]을 기고하는 카테고리이다. Watty Awards를 비롯한 여러 소설 창작 대회가 개최되기도 하며, 계정이 있다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 팬픽 === [[팬픽|팬픽션]] 카테고리 또한 존재하는데, 여기에는 말 그대로 오리지널 작품이 아닌 다른 존재하는 작품의 [[2차 창작]]을 쓰는 곳이다. 왓패드의 인지도가 성장하고 인기가 많아진 이유도 자유롭게 [[팬픽]]을 기고할 수 있는 기능 덕분이라고 보는 의견도 있다.[* 왓패드의 차장 애슐리 가드너도 [[https://publishingperspectives.com/2017/10/watpad-ya-trends-publishing-insights-millennials/|2017년 인터뷰]]에서 [[팬픽]]이 개별 장르로 취급되고, 다른 장르들과 공존하는 것이 왓패드의 특징이라고 말하였다.] 실제로 사이트에서 3번째로 인기가 많은 카테고리가 팬픽션 부분이다. 다만 작품의 질은 케바케에 가깝다. 작가가 자신의 재능을 갈아넣어 만든 완성도 높은 [[팬픽]] 작품들도 많은 반면, [[자캐딸]]이나 [[막장 드라마]] 수준의 물건들이나 기본적인 개연성도 부족한 괴작들도 적지는 않다. 그리고 어떤 논란이 될 수 있는 팬픽들에는 해당 작품의 팬들이나 [[취좆|안티]]들이 다녀가면서[* 한국보다 작품과 장르가 더 다양한 해외에서는 의외로 동양권과는 다르게 [[커플링]] 등에 형식적으로나마 취존하는 문화가 없기 때문에 [[취좆]]하는 사람들이 많다. 게다가 한국에는 '[[https://talk.op.gg/s/lol/humor/3349231/|자기 발로 쓰레기장에 들어가놓고 쓰레기가 많다면서 투덜대는 꼴]]'이라는 밈이 있지만, 해외에는 그런 밈이 없기 때문에 정말로 자신이 싫어하는 작품이나 캐릭터를 다루는 [[팬픽]] 등에 직접 찾아가 그 작품/캐릭터가 싫다고 욕설 댓글을 다는 경우가 많다.] 댓글판이 키배로 난장판이 되기도 한다. 모바일 위주이고, 다른 팬픽 사이트보다 연령대가 낮고, 단어수로 작품의 질을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인지 타 팬픽 사이트보다 작품의 퀄리티가 낮은 게 비교적 많다. 또한 메리 수로 가기 쉬운 [[오리주]](OC)도 많다. [[https://www.quora.com/Which-is-the-better-site-to-post-your-fanfic-AO3-fanfic-net-or-Wattpad|링크]] == 다른 사이트와의 관계 == Wattpad 말고도 비슷한 영문 사이트로는 [[FanFiction]], [[Archive of Our Own]], [[https://www.fictionpress.com/|FictionPress]], [[욘더(웹소설 플랫폼)|욘더]], [[Webnovel]] 등이 있다. == 사건 사고 == 2021년 9월 3일 기준 [[Webnovel]]처럼 한국의 [[네이버]], 카카오페이지의 웹소설과 웹툰의 불법 번역판이 나돈다는 게 확인되었다. 웹툰보다는 웹소설 측의 피해가 더 크다.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1/09/03/IPAY4SG3BVC5LCMEPTFSGI3KYI/|기사]] == 작품 일람 == === 오리지널 작품 === * [[https://www.wattpad.com/story/5095707-after|After]], [[https://www.wattpad.com/story/5980533-after-2|After 2]] 영국의 보이그룹 원디렉션의 멤버 [[해리 스타일스]]의 [[팬픽]]이 시작이었으나, 미국에서 [[애프터(2019)|영화]]로 만들어지면서 등장인물의 이름이 바뀌어서 오리지널 작품이 되었다. 이후 후속작도 [[애프터: 그 후|영화화]]되었다. * [[https://www.wattpad.com/story/97112672-night-owls-and-summer-skies-formerly-camp|Night Owls and Summer Skies]] 2018년 레베카 설리번(Rebecca Sullivan)이 쓴 십대 GL 소설. 2022년 WEBTOON에서 Night Owls & Summer Skies라는 제목으로 [[https://www.webtoons.com/en/romance/night-owls-and-summer-skies/list?title_no=4747|웹코믹화]]되었고, 그게 2023년 대한민국의 네이버 웹툰에 [[올빼미와 여름 하늘]]이라는 제목으로 한국어로 번역 연재가 시작되었다. * [[https://www.wattpad.com/story/203382-the-kissing-booth-sample-coming-to-netflix-may-11|The Kissing Booth]] 2010년 베스 리클스(Beth Reekles)가 쓴 십대 로맨스 소설. 2013년 당시 작가가 17세일 때 출판사 [[랜덤하우스]]와 [[https://ew.com/article/2013/04/09/beth-reekles-the-kissing-booth-interview/|계약]]을 맺어서 단행본 3권을 냈다. 그 뒤 2016년 11월 [[넷플릭스]]가 [[https://ew.com/article/2013/04/09/beth-reekles-the-kissing-booth-interview/|판권]]을 구매해 2018년 5월 11일 넷플릭스 오리지널 [[https://www.netflix.com/title/80143556|영화]]로 나왔다. [[https://www.youtube.com/watch?v=7bfS6seiLhk|트레일러]] === 팬픽 === * [[RWBY]] * [[https://www.wattpad.com/story/139228768-burning-rose-abused-and-neglected-male-reader-x|버닝로즈: 학대당하고 무시당한 남성 리더 x RWBY]]: 캐릭터 붕괴, 설정오류, 아동학대, 메리 수, 하렘물 등 온갖 괴랄한 것들이 섞여 들어간 매우 중2병스러운 [[팬픽]]으로, 유튜브 SFM 채널 [[Mirabeau Studios]]에서 미라보가 이 내용을 읽고는 혼자만 보고 넘어갈 수는 없었는지 [[https://www.youtube.com/watch?v=1nXCAywXmlc|해당 팬픽의 프롤로그를 읽어보는 영상을 업로드했고]] 덤으로 자기 캐릭터 두명도 그걸 다 듣게 만들었다. 그 이후로부터 [[학대당하고 무시당한 남성 리더]]가 채널 및 팬덤에서 꾸준히 언급된다. 실제로 왓패드에는 "Abused and Neglected" 형식의 스토리가 잔뜩 있다. 그것도 대부분 [[RWBY]] 팬픽. == 왓패드 웹툰 스튜디오 == 네이버와 왓패드가 글로벌 영상 사업에 시너지를 내기 위해 설립한 스튜디오. === 웹툰 언스크롤드 === 왓패드 스튜디오 산하 그래픽노블 임프린트. 네이버웹툰 작품의 북미권 단행본 출판을 담당한다. == 관련 문서 == * [[인터넷 소설]] * [[팬픽]] * [[네이버 웹툰]] * [[네이버 웹소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네이버(기업), version=385, title2=팬픽, version2=708, title3=Archive of Our Own, version3=99, title4=학대당하고 무시당한 남성 리더, version4=7)] [[분류:웹툰 엔터테인먼트]][[분류:네이버(기업)]][[분류:2006년 기업]][[분류:캐나다의 기업]][[분류:미국 인터넷 소설]][[분류:웹소설 연재처]][[분류:팬픽 연재처]][[분류:인터넷 소설 연재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