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긴키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와카야마현 제1구}}}}}}'''[br]{{{-1 {{{#ffffff 和歌山県第1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Wakayama1.svg|width=100%]]}}}|| ||<-2><:>'''선거인 수'''||<-2><:>307,817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와카야마현]]|| ||<-2><:>'''하위 행정구역'''||<-2><:>[[와카야마시]]|| ||<-2><:>'''국회의원'''||<:>[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하야시 유미]]|| [목차] [clearfix] == 개요 == [[와카야마현]]의 [[와카야마시]]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이후엔 선거구 조정의 영향으로 [[https://ko.m.wikipedia.org/wiki/%EC%9D%B4%EC%99%80%EB%8D%B0%EC%8B%9C|이와데시]]와 [[https://ko.m.wikipedia.org/wiki/%EA%B8%B0%EB%85%B8%EC%B9%B4%EC%99%80%EC%8B%9C|키노카와시]] 전역이 관할권에 들어오게 된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일본유신회]]의 [[하야시 유미]](林佑美)이다. == 상세 == 와카야마시는 와카야마현청 소재지이며, 농촌 이미지가 강한 와카야마에서 비교적 인구밀도가 높고 스미토모 철강 제철소의 존재로 공업도시 이미지가 강했다. 스미토모 제철소의 생산시설이 대부분 해외로 이전해 경기가 예전만큼 못하다는 평가가 있다. 와카야마시의 인구도 1980년대에 40만을 찍은뒤 계속 감소, 현재는 35만명이다.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50회 총선]]부터는 이와데시와 키노카와시가 선거구에 포함된다.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이 강세인 지역구였으나 무당층의 비율도 높았고, [[2009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5회 총선]]을 기점으로 민주당 계열이 우세를 보이는 곳이다. [[기시모토 슈헤이]]는 비록 초선 의원이지만, 민주당 및 후신 정당들이 참패했던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6회]],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7회]],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8회 총선]] 때도 지역구를 수성하는 등, 다른 야당 중진의원 못지 않은 지역구 경쟁력을 보여줬다. 상대 후보인 자민당 카도 히로후미 의원이 성추문 등 몇몇 구설수에 올라 경쟁력이 약하다는 점도 기시모토에게 호재로 작용했다.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9회 총선]] 당시에는 25% 차이로 압승을 거두었다. [[2023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기시다 후미오 암살 미수 사건]]이 발생하여 자민당 지지세력이 결집해 승리할 것으로 보였으나 오히려 [[일본유신회]]의 하야시 유미 후보가 승리하면서 [[효고현 제6구]]에 이어 2번째 오사카 이외의 의석을 얻게 되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와카야마현 제1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 나카니시 케이스케 || [include(틀:신진당)]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3> 타니모토 타츠야 || [include(틀:무소속)]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2>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5> [[기시모토 슈헤이]] ||<|3>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include(틀:국민민주당(2020년))][* 2022년 7월 29일 [include(틀:국민민주당(2020년))] 탈당, 2022년 9월 1일 의원직 사임.] || || [[2023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 || [[2023년]] || [[하야시 유미]]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와카야마현 제1구|{{{#FFFFFF 와카야마현 제1구}}}]]}}}'''[br]{{{#FFFFFF 와카야마시 전역}}}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3]]]] || '''나카니시 케이스케''' || '''66,428표''' || '''1위''' || || [include(틀:신진당)] || '''35.85%''' || '''당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타비타 타쿠소 || 58,119표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1.37% || 낙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3]]]] || 히가시 치카라 || 34,851표 || 3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18.81% || 낙선 || ||<|2><#db001c> [[일본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오쿠무라 아케하루 || 25,016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3.50%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타바타 마사코 || 872표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0.4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5,286표 ||<|2> '''투표율'''[br]60.59% || || 선거인 수 || 313,750인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와카야마현 제1구|{{{#fff 와카야마현 제1구}}}]]}}}'''[br]{{{#FFFFFF 와카야마시 전역}}}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타니모토 타츠야''' || '''83,830표''' || '''1위''' || || [include(틀:무소속)][*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와카야마현 총지부연합회 추천] || '''45.76%''' || '''당선''' || ||<|2> [[보수당(일본)|[[파일:보수당 로고1.png|width=50]]]] || 나카니시 케이스케 || 65,468표 || 2위 || || [include(틀:보수당(일본))][*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중앙당 추천] || 35.74%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하라 야스히사 || 33,89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8.5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3,197표 ||<|2> '''투표율'''[br]60.67% || || 선거인 수 || 315,298인 || 신진당을 거쳐 보수당에 입당한 나카니시 케이스케 의원은 자민당 본부에서 추천을 받았지만, 정작 자민당 와카야마현련에서 자민당 본부가 보수당 나카니시 후보에 대해서 선거협력를 거부하면서 당본부에 반기를 드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후 자민당 와카야마현련은 현의원 출신 무소속 타니모토 타츠야 후보를 독자적으로 추천했고, 선거협조를 거부당한 (자민당 본부 추천의) 보수당 나카니시 의원은 (자민당 와카야마현련 추천의) 현의원 출신 무소속 타니모토 후보에게 패배했고, 그대로 정계를 은퇴했다.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와카야마현 제1구|{{{#fff 와카야마현 제1구}}}]]}}}'''[br]{{{#FFFFFF 와카야마시 전역}}}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3]]]] || '''타니모토 타츠야''' || '''101,60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68.90%''' || '''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시모카도 츠토무 || 45,851표 || 2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31.1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7,453표 ||<|2> '''투표율'''[br]51.17% || || 선거인 수 || 314,436인 || 지난 선거에서 자민당 중앙당 지원 후보와 자민당 지역당 지원 후보의 의견 불일치로 인해 3파전으로 선거전이 진행되었지만, 이번 선거는 그러한 현상이 해소되고 민주당 측에서 후보를 내지 않아 자민당 후보인 타니모토 타츠야가 무난하게 당선에 성공했다.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와카야마현 제1구|{{{#fff 와카야마현 제1구}}}]]}}}'''[br]{{{#FFFFFF 와카야마시 전역}}}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3]]]] || '''타니모토 타츠야''' || '''100,868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0.97%''' || '''당선''' || ||<|2><#fff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기시모토 슈헤이]] || 78,621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9.73%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시모카도 츠토무 || 18,418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3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97,907표 ||<|2> '''투표율'''[br]64.52% || || 선거인 수 || 314,432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와카야마현 제1구|{{{#fff 와카야마현 제1구}}}]]}}}'''[br]{{{#FFFFFF 와카야마시 전역}}}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기시모토 슈헤이]]''' || '''120,309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8.15%'''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3]]]] || 타니모토 타츠야 || 72,109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4.85%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쿠니시게 히데아키]] || 12,52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06%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40]]]] || 사이토 마사히로 || 1,956표 || 3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0.9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06,903표 ||<|2> '''투표율'''[br]67.31% || || 선거인 수 || 313,226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와카야마현 제1구|{{{#fff 와카야마현 제1구}}}]]}}}'''[br]{{{#FFFFFF 와카야마시 전역}}}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기시모토 슈헤이]]''' || '''60,577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34.95%'''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3]]]] || [[카도 히로후미]] || 60,277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공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추천] || 34.77% || 비례당선 || ||<|2><#ffffff> [[일본 유신회(2012년)|[[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width=45]]]] || 하야시 쥰 || 39,39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 22.73%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쿠니시게 히데아키]] || 13,094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5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3,343명 ||<|2> '''투표율'''[br]57.26% || || 선거인 수 || 311,046명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와카야마현 제1구|{{{#fff 와카야마현 제1구}}}]]}}}'''[br]{{{#FFFFFF 와카야마시 전역}}}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기시모토 슈헤이]]''' || '''67,740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7.80%'''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3]]]] || [[카도 히로후미]] || 59,937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공] || 42.30%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쿠니시게 히데아키]] || 14,027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9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1,704명 ||<|2> '''투표율'''[br]46.82% || || 선거인 수 || 309,449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와카야마현 제1구|{{{#fff 와카야마현 제1구}}}]]}}}'''[br]{{{#fff 와카야마시 전역}}}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046240> [[희망의 당(2017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60]]]] || '''[[기시모토 슈헤이]]''' || '''72,517표''' || '''1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민 [include(틀:민진당(일본))] 와카야마현 총지부연합회 추천] || '''50.36%''' || '''당선'''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3]]]] || [[카도 히로후미]] || 57,111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공명 [include(틀:공명당)] 추천] || 39.66%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하라 야스히사 || 14,37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9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4,000표 ||<|2> '''투표율'''[br]47.27% || || 선거인 수 || 312,819인 || 또다시 자민당의 압승으로 끝난 총선에서 [[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 [[기시모토 슈헤이]] 후보가 오히려 상대 자민당 후보와의 격차를 더 벌리며 10.6% 차이로 여유있는 승리를 거두었다. 자민당 [[카도 히로후미]] 후보는 [[2015년]] 초 동료 여성 의원과의 불륜의혹이 보도되어서 이미지가 많이 나빠졌었다.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와카야마현 제1구|{{{#FFBE00 와카야마현 제1구}}}]]}}}'''[br]{{{#FFBE00 와카야마시 전역}}}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003f88> [[국민민주당(2020년)|[[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width=50]]]] || '''[[기시모토 슈헤이]][br](岸本周平)''' || '''103,676표''' || '''1위''' || || [include(틀:국민민주당(2020년))] || '''62.7%''' || '''당선'''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카도 히로후미[br](門博文) || 61,608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공명] || 37.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5,284표 ||<|2> '''투표율'''[br]55.16% || || 선거인 수 || 307,817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mzt4ye82HA)]}}} || || '''{{{#112fa7 선거 당시 와카야마 1구 관련 뉴스 영상}}}''' || 현역 [[국민민주당(2020년)|국민민주당]] [[기시모토 슈헤이]] 의원이 재출마한다. 야권 통합당시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을 선택하지 않고 본인의 [[중도주의|중도]] ~ [[중도우파]]적인 성향과 맞는 국민민주당 잔류를 택했다. 역시 현역인 자민당 [[카도 히로후미]] 의원과 4번째로 재격돌한다. 현재까지는 기시모토 의원이 3전 전승을 기록중이다. 워낙 기시모토 슈헤이의 개인적 지지세가 강해서인지, 국민민주당 이외의 야당은 후보를 공천하지 않았다. 따라서 기시모토와 카도의 1대1 대결로 선거가 치러진다. 투표 결과 국민민주당 기시모토 후보가 25% 차이로 압승하였다. 석패율이 낮아지고 자민당이 간사이에서 유신회에게 연이어 패배하면서, 자민당 카도 후보는 비례대표로 부활되는데 실패해 낙선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mPGMFDLfOc)]}}} || ||<#003f88> '''{{{#FFBE00 '''당선 후 소감을 말하는 기시모토 슈헤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_3AmbzLefY)]}}} || ||<#D7003A> '''{{{#FFFFFF '''낙선 소감을 말하는 카도 히로후미'''}}}''' || === [[2023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 === ||<-4> {{{#fff {{{+1 [[와카야마현 제1구|{{{#fff '''와카야마현 제1구'''}}}]]}}}[br]와카야마시 전역}}} || ||<-2> '''득표'''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1dac42> [[일본 유신회(2016년)|[[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width=40]]]] || '''[[하야시 유미]][br](林佑美)''' || '''61,720표''' || '''1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47.47%''' || '''당선'''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카도 히로후미[br](門博文) || 55,657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42.80%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쿠니시게 히데아키]][br](国重秀明) || 11,178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60% || 낙선 || ||<|2><#fff> [[정치가 여자 48당|[[파일:정치가여자48당 로고.png|width=52]]]] || 야마모토 타카히라[br](山本貴平) || 1,476표 || 4위 || || [include(틀:정치가 여자 48당)] || 1.1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30,031표 ||<|2> '''투표율'''[br]44.11% || || 선거인 수 || 304,221인 || || [Youtube(WF6y6dCQ_5M)] || || [YouTube(tk3OQrtzRhk)] || || 와카야마 1구 관련 보도 영상 || 현직인 [[기시모토 슈헤이]] 의원이 와카야마현지사 선거 출마를 위해 2022년 [[7월 29일]] 국민민주당을 탈당해 [[9월 1일]] 중의원 의원 직을 사임하면서, 치러치게 되는 보궐선거이다. 2022년 6월 17일 와카야마 선거구가 3석에서 2석으로 줄어들 선거구 개편안[* 현 1구에 이와데시와 키노카와시가 포함될 예정이다.]에 따라 [[와카야마시]]로만 이루어지는 마지막 중의원 선거로 기록되었다. 자유민주당에서는 저번 선거에 나왔던 카도 히로후미 후보가 다시 도전할수 있다는 관측이 있지만, 카도 후보에 대한 평판이 좋지 못한 상황이다. 이 밖에도 참의원에서 중의원으로 전업을 준비 중인 [[세코 히로시게]] 참의원 간사장의 출마도 나오고 있다. [[2022년]] [[12월 23일]] 자민당 와카야마현련 관계자에 따르면 쓰루호 요스케 참의원 의원의 전업을 하는 방안으로 최종 조율하고있었다. 하지만 방향을 틀어 [[2023년]] [[2월 18일]] 카도 히로후미 전 중의원 의원을 다시 공천하기로 하였다. 한편 일본 유신회는 4월 3일, 와카야사시의원인 하야시 유미(林佑美, 41세)를 공천하며 선거전에 뛰어들었다. [[https://www.wakayamashimpo.co.jp/2023/03/20230305_115244.html|#]] 하야시 씨는 [[교토시]] 출신으로 리쓰메이칸대 대학원 정책과학연구과를 수료하고 교육훈련 회사 임원을 맡고 있다. 지난해 8월 와카야마 시의원 보궐선거에 유신 공천으로 입후보해 초선 반년여 만에 국정 도전이 된다. 이에 따라 카도 후보가 첫 소선거구 당선이라는 결과를 얻을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4월 14일]] 진행된 정세조사에 따르면 일본유신회의 하야시 유미 후보와 접전인 것으로 나왔다. 카도 후보의 본인의 논란과 더불어 [[제20회 통일지방선거]] 전반전을 통해 유신회의 간사이 약진이 확인된 것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https://news.livedoor.com/lite/article_detail/24061394/|#관련 기사]] [[https://news.livedoor.com/lite/article_detail/24065465/|#관련 기사2]] 보궐선거 유세 기간이었던 [[2023년]] [[4월 15일]], 와카야마시 사이카자키 항구 인근에서 카도 히로후미 후보의 유세에 참가한 [[기시다 후미오]] 총리를 향해 사제폭탄을 던진 [[기시다 후미오 폭탄 테러 미수 사건]]이 발생했다. || [youtube(wR4qOm9xqXg)] || || 와카야마1구 보궐선거 개표 결과 보도 영상 || || [youtube(Xeix3V-f5Hc)] || || 자민당 카도 히로후미 후보 낙선 소감 영상 || 중의원 와카야마 1구 보궐선거는 23일 투개표 결과 일본 유신회 신인 전 와카야마시 하야사 유미(41)가 자민당의 전 중의원 의원 카도 히로후미(57) 등 3명을 누르고 초선을 확실히 했다. 지방선거 전반전에서는 나라 지사 선거를 누르고, 「전국 정당화」로 기세를 올리는 유신이 와카야마의 소선거구에서는 첫 의석을 획득했다. [[https://news.goo.ne.jp/amp/article/nikkansports/nation/f-so-tp0-230423-202304230002019.html|#]] 마이니치 신문사의 출구조사 결과 자민 지지층의 8할 가까이가 자민원직의 카도 히로후미씨에게 투표했지만, 20%초과는 유신 신인 하야시 유미에게 흘러가고 하야시 후보가 유신 지지층의 9할 이상을 굳힌 것 외에 유권자의 20%를 차지하는 무당파층으로부터도 60% 가까이의 지지를 얻어 무당파층으로부터의 지지가 30% 정도였던 카도에게 차이를 두었다고 분석되었다. [[https://news.livedoor.com/lite/article_detail/24111934/|#毎日新聞 보도]] [[https://m.youtube.com/watch?v=OMG4gQv1EeE|関西テレビNEWS 보도 영상]] [[https://m.youtube.com/watch?v=d0fmlgwV43s|読売テレビニュース 보도 영상]] 유신은 특기인 「공중전」을 전개. 바바 씨, 당의 얼굴인 유신공동대표 요시무라 히로후미 지사가 세 차례나 응원에 들어갔다. 하야시 후보 당선 직후, 바바씨는 「국회에서 정부, 여당에 대해 큰 불만을 가지고 있는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고 싶다」라고 선언했다. 개표 71%에서 당선 확실이 나왔다. 보궐선거 대상지 중에서 자민당이 유일하게 정치 신인을 공천하지 않은 지역이 여기였고 공교롭게도 유일하게 자민당 후보가 낙선한 지역이 되었다. 일본유신회 진영에서는 와카야마 1구에서 하야시 유미 후보가 당선되며 관서 지역에서 넓어져가고 있는 입지를 다시 한 번 보여주었다. 자민당 입장에서는 오히려 와카야마 1구에서의 패배 및 보수 야권 유신회의 승리가 향후 간사이 지방에서의 자민당 표심 공략에 숙제를 안겼다고 볼 수 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2년 6월 17일 와카야마 선거구가 3석에서 2석으로 줄어들 선거구 개편안이 통과 됨에 따라 기존 [[와카야마시]]로만 이루어진 선거구에 기노가와시와 이와데시가 추가로 포함될 예정이다.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유신회]]에서는 현역 [[하야시 유미]] 의원이 재출마가 유력한 가운데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에서는 소선거구 5연패를 당하고 있던 카도 히로후미를 드디어 강판하는 대신 [[쓰루호 요스케]] 참의원 의원이 출마에 강한 의욕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라 자민당 와카야마현련 역시 쓰루호 후보를 최종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결국 자민당 와카야마현련이 [[쓰루호 요스케]] 참의원을 신 와카야마 1구의 후보자로 옹립하고 당 본부에 공인을 신청했다.[* [[https://news.ntv.co.jp/nnn/928eft83zvf9f9ns9l|#]]] [[참정당]]에서는 타코야끼 가게를 운영중인 하야시모토 마사타카 후보가 공천받았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와카야마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