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경산시의 면]] [include(틀:경산시의 읍면동)] ||<-2> '''[[경산시|{{{#000000,#dddddd 경산시}}}]]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와촌면}}}'''[br]瓦村面 | Wachon-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산시 와촌면&zoom=10,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상북도 || || '''기초자치단체''' || 경산시 || || '''행정표준코드''' || 5130039 || || '''관할 법정리''' || 14리 || || '''하위 행정구역''' || 25행정리 93반 || || '''면적''' || 47.81㎢ || || '''인구''' || 5,453명[* 2023년 8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14.06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경산시'''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윤두현]] ,,(초선),, || ||<-2> '''경상북도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배한철]] ,,(4선),, || ||<-2> '''경산시의원 | 다 선거구''' ||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강수명]] ,,(5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순득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금송로 416 (덕촌리 57-1) || || [[https://www.gbgs.go.kr/open_content/village/dong09/index.do|와촌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경산시]]에 있는 [[면(행정구역)|면]]. 근처 [[하양읍]]에 비해 인구, 인프라가 적으며, [[지도]]를 보면 동쪽은 논밭, 서쪽은 [[팔공산]]으로 인해 산지가 전부다.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영천시]] [[청통면]], [[금호읍]]과 붙어 있다. 남부에 있는 3리인 시천리, 계당리, 용천리는 [[영천시]] [[금호읍]]과 붙어 있다는 특성과 대구에서 영천으로 갈 때 거쳐야 한다는 특성, 영천 시내와 가깝다는 특성 때문인지 [[대구 버스 808|808번]]과[* 일부 버스는 대구대학교 방면으로 가서 용천리로 가지 않는다.] [[영천 버스 55, 555|55, 555번]]이 수시로 다녀 오히려 면소재지인 덕촌리보다 교통이 더 편하다.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능성동, [[영천시]] [[금호읍]]과 만나는 곳이다. 시경계로 가는 길목인 용천리에는 2008년 말에 CNG충전소가 설치되어 경산 및 영천 지역 시내버스들이 가스를 충전하러 들어온다.[* 영천 시내에는 아직 CNG충전소가 없다.] 또한 등산로 밖에 없는 신녕[* 산불조심기간에는 입산을 통제하니 주의.], 청통-대구 경계와 다르게 여기는 능성동 방면으로 왕복 4차로로 포장된 도로가 있다.다만 이시아폴리스 방면으로 가려면 [[새만금포항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또한 와촌-대구를 바로 잇는 도로로 가는 버스는 운행횟수가 매우 적으며 이마저도 음양종점에서 내려 능성동에서 환승해야한다.[* 이 마저도 능성동에 오는 버스가 1일 7회로 적으며 음양으로 접근하는 버스도 1일 17회로 만은 것이 아니다.] 또한 [[대구 도시철도 1호선|도시철도]] 연계도 능성동 경유가 하양 경유에 비해 빈약하니[* 능성동을 거치면 [[아양교역]]까지는 가야 도시철도와 연계가 가능하며 시간표상 45분 씩이나 걸린다.] 차라리 하양읍을 거쳐서 안심 방면으로 가는 버스를 타는 것이 낫다. [[팔공산]]이 있는 지역 중 하나이며, [[팔공산]]이 있는 유일한 경산시 지역이다. 와촌면 대한리에는 [[갓바위(팔공산)|갓바위]]라고 불리는 보물 제431호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이 있다.[* 갓바위는 대구와 경산 양측에서 자기 거라고 우기나, '''엄연히 경산에 있는 것이 맞다.''' 따라서 최종적으로는 와촌면의 승리다.] 남쪽 강학리에는 [[불굴사]]가 있다. [[자두]]가 유명하다. 그래서인지 와촌자두 모형도 있다. [[새만금포항고속도로]] [[청통와촌IC]]가 있는 곳이다.[* 정확히는 [[청통면]]과 와촌면의 경계에 있다. [[포항IC|포항 방면]]은 나들목 출구는 와촌에 있지만 출구를 지나자마자 [[청통면]]으로 바뀌며, [[팔공산IC|대구 방면]]은 나들목 출구와 입구를 모두 지나고 와촌면으로 행정구역이 바뀐다. 톨게이트는 [[청통면]]에 있다. 진입로는 와촌면과 청통면에 공통으로 걸쳐 있다.] [[영천시]]와의 경계인 용천리에 CNG충전소가 있다. 영천시 관내에 CNG충전소가 없는 [[영천교통]]의 [[천연가스버스]]들이 충전하려 용천리CNG충전소까지 온다. [[909번 지방도]]의 기점이다. 능성동과 와촌면의 경계에서 시작한다. === 같이 보기 === * [[경산시]] * [[갓바위(팔공산)|갓바위]] * [[팔공산]] * [[대구광역시]] * [[하양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