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록맨 3/보스)] ||<-9><#FFFFFF><:>[[파일:WilyMachine3A.jpg|width=80%]] ||<-9><#FFFFFF> [[파일:MM3_Wily_Machine_3_Form_2.png|width=80%]] || ||<-9><#F02C72> '''{{{#F9B700 1형태}}}''' ||<-9><#F02C72> '''{{{#F9B700 2형태}}}''' || ||<-18><#F02C72><:>'''{{{+3 {{{#F9B700 와일리 머신 3호}}}}}}[br]{{{#F9B700 ワイリーマシン3号 / WILY MACHINE 3}}}''' || ||<:><-3><|2><#F02C72> {{{#F9B700 약점 무기}}} ||<:><-15><#ffffff> '''[[하드맨|하드 너클]]''' || ||<:><-15><#ffffff> '''[[스파크맨(록맨 클래식 시리즈)|스파크 쇼크]]''' || [목차] == 개요 == [[록맨 3]]의 와일리 스테이지의 보스. == 스테이지 == 그냥 아이템 몇 개가 놓인 공간이 스테이지의 전부다.(...) 이는 다음 스테이지도 마찬가지라서 이 스테이지와 다음 스테이지의 배경 음악은 웬만해서는 끝까지 들을 일이 거의 없다. == 공략 == 와일리 머신 답게 두 페이즈로 이루어져 있다. 첫 페이즈는 의외로 쉬운 편으로, 아래에 있는 포대에서 큰 탄을 발사하고 이 탄이 원을 그리며 퍼져 나간다. 탄 자체는 피하기 어렵지 않고 피격 부위도 그냥 대충 쏴도 맞는 위치에 있는데다 마찬가지로 피격 무적 시간이 없다. [[스파크맨(록맨 클래식 시리즈)|스파크 쇼크]]나 [[하드맨|하드 너클]]로 공격하면 한 방에 무려 7칸이나 닳기 때문에 정말 순식간에 끝낼 수 있다. [[스네이크맨|서치 스네이크]]도 4칸씩 데미지를 주기에 다리 아래로 들어가서 연사하는 것도 가능. 두 번째 페이즈는 첫 번째에 비해 월등히 어렵다. 와일리 머신이 포물선 궤도로 콩알탄을 쉬지 않고 쏘는데다 피격 부위도 일반 점프로는 닿지 않는 높은 곳에 있다. 와일리 머신이 내려찍기 공격을 할 때가 유일한 공격 기회다. 약점이 하드 너클이지만 와일리 머신이 잠깐 내려왔다 다시 올라가버리기 때문에 맞추기는 매우 어렵다. 그래서 약점 무기보다는 공중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러시(록맨 클래식 시리즈)|러시 제트]]를 타고 와일리의 피격 부위가 있는 곳까지 올라가서 버스터를 연사하는 편이 더 안전하고 쉬운 편이다. 그리고 와일리 스테이지의 보스는 무적판정이 없으므로, 버스터 연사가 매우 잘먹힌다. 스피드 런 유저들은 슬라이딩으로 다리 사이에 들어가서 바로 윗방향으로 섀도 블레이드를 난사하기도 하는데, 약점 무기를 쓰는 것보다 시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다. 물론 와일리 머신이 가끔 내려찍는 공격을 하니 계속 있으면 안 되고 타이밍을 봐서 밖으로 나왔다가 다시 들어가야 한다. == 기타 == * 격파하면 언제나처럼 와일리가 도게자를 하지만 록맨이 접근하자 가짜[* 목이 용수철로 되어 있어 깜짝 상자처럼 머리가 튀어오른다. 이 가짜 와일리는 [[록맨 2: 더 파워 파이터즈]]에서 다시 등장한다.]라는 게 드러난다. 이후 록맨 3의 진정한[* --호구--] [[감마(록맨 클래식 시리즈)|최종전 스테이지]]로 넘어간다. [[분류:록맨 클래식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