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사전적 의미 == 작고 오목한 [[샘]]을 뜻하는 말. == 동요 == 시인이자 아동문학가인 [[윤석중]]이 작사한 동요이다. 윤석중은 윤석중보다 100년쯤 전에 민요수집가 겸 작곡가인 남서독 태생 질허(Friedrich Silcher)가 내놓은 [[민요]] “드룬텐 임 운털란트” (Drunten im Unterland)에 한글로 가사를 붙였다. 질허는 남서독 [[슈바벤]](Schwaben) 지방의 구전(口傳) 멜로디를 1842년에 민요로 편찬했다. [[독일어]] 가사 또한 옛 멜로디보다는 훨씬 훗날인 1835년에 남서독 태생 바이글레(Gottfried Weigle)가 붙였는데, 따뜻한 아랫녘(남쪽)을 동경한다는 내용이다. “드룬텐 임 운털란트”를 영어로 풀면... Dr- = dar-(=there), unten(=under), im(=in the), Unterland(=underland)이다. “아랫녘”(Unterland)이란 지명이 많지만 이 민요에 나오는 “아랫녘”은 독일어 “아랫녘” 주요 약 8곳에 드는 하일브론(Heilbronn) 일대를 말하는 듯하다. 하일브론은 전통적인 [[슈바벤]] 지방인 네카르(Neckar) 강 유역 중에서 북쪽에 처져 있는 하류다. 질허(Silcher)는 1837년에 하이네(Heine) 시에 [[https://de.wikipedia.org/wiki/Die_Lore-Ley|로렐라이(die Lorelei)]]를 작곡했는데, 이 곡은 대표적인 독일 민요이다. 로렐라이는 남서독 말고도 독일 서부 전체를 북류하는 라인 강(der Rhein)의 중류에 있는 작은 마을 고아르스하우젠(St. Goarshausen) 곁의 높은 언덕에 자리하는 커다란 바위이다. [youtube(XLI1UF8udfI)] || || 독일어 가사 (슈바벤 [[방언#s-1]]) || [[한국어]] 의역 || [[영어]] 번역 || || 1절 ||Drunten im Unterland,[br]da ist's halt fein.[br]Schlehen im Oberland,[br]Trauben im Unterland,[br]drunten im Unterland möcht'i wohl sein.[br]||저 아랫녘[br]그곳은 정말로 멋지죠[br]윗녘엔 자두 열매가[br]아랫녘엔 포도가[br]저 아랫녘에서 살고 싶어요||Down in the lowlands[br]that's fine.[br]Sloes in the Oberland,[br]Grapes in the lowlands,[br]down in the lowlands I would like to be.|| || 2절 ||Kalt ist's im Oberland,[br]drunten ist's warm;[br]oben sind d'Leut so reich,[br]d'Herzen sind gar net weich,[br]b'sehn mi net freundlich an, werden net warm.[br]||윗녘은 춥고[br]아랫녘은 따뜻하죠[br]윗녘 사람들은 부자지만[br]마음씨는 박하지요[br]날 쌀쌀맞게 대하면 친해지진 못하죠||It's cold in the Oberland[br]it's warm down there;[br]the people up there are so rich[br]d 'Hearts are not at all soft,Look at me in a friendly way, don't get warm.|| || 3절 ||Aber da unten 'rum,[br]da sind d'Leut arm,[br]aber so froh und frei[br]und in der Liebe treu;[br]drum sind im Unterland d'Herzen so warm.[br]||하지만 아랫녘의[br]사람들은 가난하지요[br]그래도 정말 즐겁고 자유롭고[br]사랑하고 신뢰하죠[br]아랫녘 사람들의 마음씨는 참 따뜻해요||But down there[br]there are people poor[br]but so happy and free[br]and faithful in love;[br]that is why the heart of the Unterland is so warm|| 하지만 위의 독일어 원곡을 아는 사람은 매우 드물고 대부분 아래의 [[윤석중]] 창작 가사 버전이 익숙할 것이다. [youtube(2DNaPADIUbM)] >깊은 산속 옹달샘 누가 와서 먹나요 >맑고 맑은 옹달샘 누가 와서 먹나요 >새벽에 토끼가 눈 비비고 일어나 >세수하러 왔다가 물만 먹고 가지요 > >깊은 산속 옹달샘 누가 와서 먹나요 >맑고 맑은 옹달샘 누가 와서 먹나요 >달밤에 노루가 숨바꼭질하다가 >목마르면 달려와 얼른 먹고 가지요 === 각종 매체에서의 등장 === 1990년대에 출시한 [[LG정보통신]][* 구 [[싸이언]]]의 피쳐폰에 단화음으로 벨소리가 들어있었다. 그 후 한동안 안 보이다가, 아주 오래간만에 [[LG]] 휴대폰의 벨소리로 패러디 되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QSTMGN-F6FU|#]] 부른 가수는 [[짙은]]. ||깊은잠에 빠져서 전화벨도 못듣니[* 몬더그린으로 '''"전화매너 모드니"''' 로 들리기도 한다.] 아침일찍 일어나 물이라도 마셔라 새벽에 일어나~ 제발좀 일어나~[* 이 "'''일어나~'''"는 1절에서 여자아이의 보채는 목소리로 들리지만, 2절에서는 웬 남성의 고함 소리(...)로 바뀐다.] 아침일찍 일어나 물이라도 마셔라|| [[김성모]] 작가가 그린 [[럭키짱]]에서 [[풍호]]의 대사로 이 노래의 가사가 등장한 적이 있다. 해당 문서 참조. 깊은 산속 옹달샘 누가와!로 끊는 [[허무송|소소한 유머]]도 있다. [[SNK]][* 실제 개발은 [[토세]].]의 초창기 아케이드 게임인 사스케 vs. 커맨더에서 보스를 쓰러트리면 옹달샘의 멜로디가 잠깐 나온다. [[https://youtu.be/dyIqaiTJbFI?t=821|#]] [[나치 독일]]을 미화한 [[흑역사]] 영화 <[[의지의 승리]]>에서도 18분경에 잠깐 들린다. [[대전 도시철도 1호선]] 각 역사에서의 [[판암역|판암역]] 방향(상행) 진입음으로도 이 곡의 첫 머리 반주가 쓰인다. [[배틀스타 갤럭티카]] 1시즌 8화에 Boomer가 콧노래로 흥얼거리는 장면이 나온다. 4시즌 8화에 Athena도 흥얼거린다 1976년, [[아모레퍼시픽]](아모레 타미나 화장품)에 [[단조(음악)|단조]]로 편곡된 버전이 나온다. [[천하무적 야구단]]의 [[오지호]]의 응원가였다. 가사는 '안타 치러 왔다가 홈런 치고 오지호' 팔도 [[https://www.youtube.com/watch?v=JsSzOPNNxgk|맑은샘수 광고]]에도 쓰였다. == 대한민국의 개그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옹달샘(코미디언))] [[분류:동음이의어]][[분류:동요]][[분류:민요]][[분류:독일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