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목차] == 개요 == '옳게 된 나라', 또는 '옳게 된 XX'은/는 [[대한민국]]의 [[인터넷 유행어]]([[드립]])이다. 네티즌 사이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시기는 2017~2018년 무렵으로 추정된다. '옳게 된'이라는 표현의 [[https://www.google.com/search?client=firefox-b-d&q=%22%EC%98%B3%EA%B2%8C+%EB%90%9C%22|정확한 일치를 기준으로 한 구글 검색 결과]]는 2020년 11월 기준으로 79만 5천 건이며, 다소 용법이 한정적인 '옳게 된 나라' 전체에 대해 [[https://www.google.com/search?client=firefox-b-d&q=%22%EC%98%B3%EA%B2%8C+%EB%90%9C+%EB%82%98%EB%9D%BC%22|정확한 일치를 기준으로 한 구글 검색 결과]]는 2020년 11월 기준으로 36,500 건이다. == 의미 == 말 그대로, 자신이 보기에 올바르고 바람직하고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무언가를 칭찬(?)한다는 의미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자신이 보기에'라는 부분인데, [[논란]]의 여지가 있든 없든 그냥 자신의 '''주관적인 기준에서 옳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옳게 된 XX'의 그 XX에 대해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도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 활용법 == * 처음에는 '옳게 된 나라' 전체를 활용해서, 특정 나라의 풍습이나 [[문화]]를 칭찬하는 용법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스, 일본, 미국 등, 한국 입장에서 하나라도 칭찬할 만한 부분이 있는 나라가 그 대상이 되었다. * 나중에는 의미가 확장되어 '옳게 된 XX'의 XX에는 나라 뿐 아니라 무엇이든 집어넣을 수 있게 되었다. 옳게 된 [[애니화]], 옳게 된 [[리마스터]], 옳게 된 포장, 옳게 된 [[편의점]] 등 매우 다양한 활용법이 존재한다. == 유래 == 한국의 [[방송]] 프로그램 중에 [[자기야 백년손님]]이라는 목요일 예능이 있었다. 이 [[예능]]의 하위 파트 중 하나였던 '[[남편]] 처가살이 프로젝트'의 '한국 사위 vs. [[그리스]] 사위' 파트에서는, '남편이 가정의 돈 관리를 맡는 그리스식 문화' 를 두고 할머니와 할아버지들 사이에서 갑론을박을 하는 장면이 나온다. [[파일:옳게 된 나라는 그런 거야!.png]] 바로 이 부분에서, 잠깐 난입한 장인 할아버지가 '그렇기 때문에 [[그리스/역사|그리스가 역사가 깊지]]. '''옳게 된 나라'''는 그런 거야!'라는 대사를 하는데, 이 부분이 캡처되어 [[인터넷]] 상에 [[짤방]]으로 퍼지면서 이 유행어도 덩달아 퍼지게 되었다. 장인 할아버지가 남의 대화에 태연하게 끼어든 상황과 '옳게 된 XX'의 XX 부분에 그 무엇이든 넣을 수 있는 그 범용성도 인기의 요인이지만, '''옳게 된'''이라는 다소 묘하고 생소하면서도 맛깔나면서도 점잖은 어르신 특유의 표현에 네티즌들이 특히 주목하여 이 드립이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 만약 장인 할아버지가 '옳게 된 나라' 대신 '옳은 나라' 라든가 '올바른 나라', '정상적인 나라' 등의 표현을 사용했다면 이 드립은 그다지 널리 퍼지지 못했을 것이다. [[패러독스 인터랙티브 갤러리]]에서는 그리스([[동로마 제국]])를 지칭하는 문장으로써 [[로마 제국]], [[메갈리 이데아]]와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 여담 == 이 유행어의 기원이 된 장인 할아버지는 '[[https://www.dogdrip.net/290123191|대한민국 3대 할아버지 모음]]'이라는 제목으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짤방화되어 게시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분류:유행어]][[분류:짤방]][[분류:인터넷 밈/한국]][[분류:그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