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FC 디나모 키이우/간략)]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Syrota_21-22.png|width=100%]]}}} || ||<-3> '''{{{#ffffff FC 디나모 키이우 No. 34}}}''' || ||<-3> '''{{{#0072be {{{+1 올렉산드르 시로타}}}[br]Олександр Сирота | Oleksandr Syrota}}}''' || ||<-2> '''{{{#ffffff 본명}}}''' ||올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시로타[br]Олександр Михайлович Сирота[br]Oleksandr Mykhaylovych Syrota || ||<-2> '''{{{#ffffff 출생}}}''' ||[[2000년]] [[6월 11일]] ([age(2000-06-11)]세)[br][[우크라이나]] [[키이우주]] [[키이우]] || ||<-2>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 ||<-2> '''{{{#ffffff 신체}}}''' ||[[키(신체)|키]] 193cm / [[체중]] 78kg || ||<-2> '''{{{#ffffff 포지션}}}''' ||[[센터백]] || ||<-2> '''{{{#ffffff 주발}}}''' ||왼발 || ||<|2> '''{{{#ffffff 소속}}}''' || '''{{{#ffffff 유스}}}''' ||[[FC 디나모 키이우]] (2010~2020) || || '''{{{#ffffff 선수}}}''' ||'''[[FC 디나모 키이우]] (2020~ )''' || ||<-2> '''{{{#ffffff 국가대표}}}'''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15]]]] 2경기[* 2022년 6월 14일 기준.]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우크라이나]] / 2021~ )^^ || ||<-2> '''{{{#ffffff SNS}}}''' ||[[https://www.instagram.com/syrota_alex/|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우크라이나]] 국적의 [[FC 디나모 키이우]] 소속 축구선수. 포지션은 [[센터백]]다. 요즘 새로 떠오르는 중요한 왼발 잡이 센터백인 유망주며 [[일리야 자바르니]]와 함께 오직 디나모 키이우에서만 뛴 성골 유스다. == 클럽 경력 == === [[FC 디나모 키이우]] === 2010년에 '[[발레리 로바노프스키]] 학교'로 불리는 [[FC 디나모 키이우]] 유스 팀에 입단했다. 우크라이나의 어린이 및 청소년 축구 리그 챔피언십에서 맹활약을 보이며 2017년에 U-19 팀으로 콜업되며 2017-18 시즌 우크라이나 U-19 프리미어 리그에서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이러한 활약에 2019년에는 U-21 팀으로 콜업되어 2018-19 시즌 우크라이나 U-21 프리미어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이러한 활약 덕분에 [[빅토르 치한코우]], [[비탈리 미콜렌코]], [[일리야 자바르니]]를 이으는 꽤 촉망받는 유망주로 기대를 받았다. 그리고 2020년 5월 30일에 라이벌 [[FC 샤흐타르 도네츠크]]와의 경기에서 처음으로 벤치 명단에 들었다. 다만 출전하지는 못했으며 팀은 3:1로 패배를 당했다. 이후 2020년 7월 8일에 열린 샤흐타르와의 리턴 매치에서 주전 포포우가 부상을 당해 대체자로 선발 명단에 들며 프로 데뷔 전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이 경기에서 후반 22분에 [[카를로스 데페나]]의 귀중한 동점골을 어시스트하며 데뷔 첫 공격포인트를 중요한 순간에 만들어냈다. 하지만 이후 역전골을 먹히며 3:2로 패배했다. 2019-20 시즌 우크라이나 컵 결승에서 [[FC 보르스클라 폴타바]]를 상대로 선발 출전했으며 전반 9분만에 경고를 받았으나 이후 어찌저찌 무실점으로 막으며 승부차기까지 갔으며 9번째 키커까지 가는 끝에[* 샤바노우가 실패했더라면 시로타나 부슈찬 중 10번째 키커로 나서야 하는 상황이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에 골키퍼가 11번째 키커를 맡는지라 아마 10번째 키커로 나섰을 것으로 보였으며 다행히도 그런 큰 부담감을 안지는 않았다.] 6년 만에 우승에 성공했다. 시즌 후 정식적으로 1군에 콜업되었으며 직전 시전에 [[데니스 포포우]]와 합을 맞춘 [[아르템 샤바노우]]를 밀어내고 백업 센터백으로 자리잡았다. 포포우가 빠지는 날마다 [[일리야 자바르니]]와 함께 센터백으로 뛰며 기회를 받으며 팀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그러다 2021-22 시즌에 주전인 [[데니스 포포우]]가 십자인대 부상을 당하며 시즌 아웃이 확정되며 [[일리야 자바르니]]와 함께 센터백 라인을 구축하며 주전 자리를 차지했다. 3라운드 [[FC 조랴 루한스크]]를 상대로 전반 17분 만에 선취 골이자 프로 데뷔 골을 넣었다. 그리고 팀은 2:1로 승리했다. 이후 챔스 1차전에서 [[SL 벤피카]]를 상대로 0:0 무승부로 틀어막는 등 큰 활약을 했다. 한편 이 시즌에 [[비탈리 미콜렌코|미콜렌코]]-시로타-[[일리야 자바르니|자바르니]]-[[토마시 켕지오라|켕지오라]] 수비 라인과 골키퍼 [[헤오르히 부슈찬|부슈찬]]은 리그에서 18경기 동안 '''단 1패와 9실점만 허용'''하는 탄탄한 수비력을 선보였으나 샤흐타르가 15승 2무, 디나모 키이우가 14승 3무를 하며 각각 47점과 45점을 획득한 채로 2점 차이로 아쉽게 준우승을 했다. 물론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2022년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며 시즌이 중단되었기 때문에 벌어졌던 일이다. 그만큼 페이스가 좋았기에 아쉬웠던 시즌이다. == 국가대표 경력 == 2020년에 우크라이나 U-21 대표팀에 소집되었으며 경기까지 뛰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이후 일정이 취소되었다. 2021년 3월에 열린 월드컵 예선에서 명단에 포함되며 벤치에 있었으나 출전하지는 못했다. 그리고 2021년 9월 8일에 열린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와의 친선전에서 국가대표 데뷔 전을 치렀다. 러시아의 침공 때문에 한동안 국가대표팀 자체가 경기를 하지 못하며 미뤄졌던 6월에 열린 월드컵 예선 플레이오프 명단에 포함되었다. 2경기 모두 벤치에 있었고 팀은 결승에서 야르몰렌코의 자책골로 인해 웨일스에게 1:0으로 패배하며 월드컵 본선 진출이 무산되었다. 그리고 [[UEFA 네이션스 리그/2022-23 시즌/리그 B|2022-23 네이션스 리그 B]]에서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아일랜드]]전에서 다시 국가대표 경기를 치렀다. 경기는 1:0으로 승리했다. == 플레이 스타일 == 193이라는 큰 키를 활용하며 몸싸움에서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심지어 상황에 따라 측면까지 가서 경합을 펼치기도 한다. 또한 태클도 깔끔한 편이라 상대의 역습시 먼저 올라와 공을 뺏는다. 이 점에서 자바르니와 더더욱 비슷한 스타일 덕분에 동시에 환상의 파트너스러운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빌드업의 관건인 패스 역시 꽤 준수한 편이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FC 디나모 키이우]] (2020~ ) * [[우크라이나 프리미어 리그]]: 2020-21 * [[우크라이나컵]]: 2019-20, 2020-21 * [[우크라이나 슈퍼컵]]: 2020 == 여담 == * 인스타그램의 닉네임인 '알렉스 시로타'가 별명이다. 이유는 우크라이나어 '올렉산드르'의 영어 이름이 알다시피 '[[알렉산더]]'며 알렉산더의 별명이 '[[알렉스]]'여서다. * 성인 시로타는 슬라브어로 '[[고아]]'를 뜻하며 중성적인 성이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FC 디나모 키이우)] [[분류:2000년 출생]][[분류:2020년 데뷔]][[분류:키이우 출신 인물]][[분류:우크라이나의 축구선수]][[분류:수비수]][[분류:FC 디나모 키이우/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