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92D 0%, #F4D622 20%, #F4D622 80%, #FFE92D)" {{{#18489d '''올레흐 블로힌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대표팀'''}}} || || [[틀: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파일: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4D622; font-size: 0.9em" [[틀: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18489d '''우크라이나'''}}}]]}}}[br]{{{-2 10대, 14대}}} || || || || ||<-4> {{{#333333,#cccccc '''클럽'''}}} || || [[틀:FC 디나모 키이우 감독|[[파일:FC 디나모 키이우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72BD; font-size: 0.9em" [[틀:FC 디나모 키이우 감독|{{{#ffffff '''키이우'''}}}]]}}}[br]{{{-2 37대}}}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92D 0%, #F4D622 20%, #F4D622 80%, #FFE92D)" {{{#18489d '''올레흐 블로힌의 수상 이력'''}}}}}}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틀:발롱도르(1970년대)|[[파일:발롱도르 트로피.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틀:발롱도르(1970년대)|{{{#c18e33 '''1975 발롱도르'''}}}]]}}}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틀:월드사커올해의팀1976|[[파일:월드사커 로고.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D1C35; font-size: 0.9em" [[틀:월드사커올해의팀1976|{{{#ffffff '''1976 월드 사커 올해의 팀'''}}}]]}}} || || || || ---- [include(틀:UEFA 주빌리 어워드 수상자)]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우크라이나의 축구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leg_Blokhin2013.jpg|width=100%]]}}} || ||<-2> {{{#000000,#e5e5e5 '''이름''' }}} || {{{+1 '''올레흐 블로힌'''}}}[br]'''Oleg Blokhin | Олег Блохін''' || ||<-2> {{{#000000,#e5e5e5 '''본명''' }}} ||올레흐 볼로디미로비치 블로힌[br]Олег Володимирович Блохін || ||<|2><-2> {{{#000000,#e5e5e5 '''출생''' }}} ||[[1952년]] [[11월 5일]] ([age(1952-05-11)]세) || ||[[소련]]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우크라이나SSR]] [[키이우|키이우주]] || ||<-2> {{{#000000,#e5e5e5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2 (1952~1991)}}}[br][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2 (1991~ )}}} || ||<-2> {{{#000000,#e5e5e5 '''신체''' }}} ||[[키(신체)|키]] 180cm || ||<-2> {{{#000000,#e5e5e5 '''직업''' }}} ||[[축구선수]] ([[공격수]][* [[윙어]], [[세컨드 스트라이커]]] / ^^은퇴^^)[br][[축구 감독]] || ||<|2> {{{#000000,#e5e5e5 '''소속''' }}} || {{{#000000,#e5e5e5 '''선수''' }}} ||'''[[FC 디나모 키이우]] (1969~1988)'''[br][[SK 포어베르츠 슈타이어]] (1988~1989)[br][[아리스 리마솔 FC]] (1989~1990) || || {{{#000000,#e5e5e5 '''감독''' }}} ||[[올림피아코스 FC]] (1990~1993)[br][[PAOK FC]] (1993~1994)[br]이오니코스 (1994~1997)[br][[PAOK FC]] (1997~1998)[br][[AEK 아테네 FC]] (1998~1999)[br]이오니코스 (1999~2002)[br][[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우크라이나 대표팀]] (2003~2007)[br]FC 모스크바 (2007~2008)[br][[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우크라이나 대표팀]] (2011~2012)[br][[FC 디나모 키이우]] (2012~2014) || ||<-2> {{{#000000,#e5e5e5 '''국가대표''' }}} ||[[파일:소련 축구 연맹 로고.svg|width=20]] 112경기 '''42골'''[*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자]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소련]] / 1972~1988)^^ || ||<-3> '''정보 더 보기'''[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000000,#e5e5e5 '''가족''' }}} ||{{{-1 前 배우자}}} [[이리나 데리우기나]] [br] {{{-1 딸}}} [[이리나 블로히나]]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나는 블로힌의 엄청난 성과가 전혀 놀랍지 않아요. 그는 유럽 최고의 윙어입니다. 브라질 선수에 비견될만한 민첩성과 발기술을 가졌죠." > ---- > [[발레리 로바노브스키]] [[우크라이나]]의 [[축구선수]] 출신 [[코치(스포츠)|감독]]. [[2012년]]부터 [[2014년]]까지 [[FC 디나모 키이우]] 감독을 맡았다. [[우크라이나]] 축구 역사를 대표하는 인물로 [[요한 크루이프]]와 [[프란츠 베켄바워]]가 [[발롱도르]]를 양분하던 시기에 그 둘을 밀어내고 발롱도르를 수상했다는 것으로 올레흐 블로힌의 클래스를 알 수 있다. 우크라이나 국적의 선수로는 최초로 발롱도르를 수상했으며[* 2번째는 [[이고리 벨라노프]], 3번째는 [[안드리 셰브첸코]].] 소련으로 넓혀도 필드 플레이어로는 최초이다.[* 소련 최초의 발롱도르 위너는 그 유명한 [[레프 야신]].] == 클럽 경력 == [[FC 디나모 키이우]]에서 축구를 시작하였고 18살때 팀의 주전 공격수가 되었다. 1973년에 [[발레리 로바노브스키]]가 부임한 이후 블로힌의 기량은 올라갔고 4년 연속 득점왕을 차지했다. 이후 블로힌의 화살촉은 유럽을 찌를 준비가 되었다. 1974-75 시즌 [[PSV 아인트호벤]]과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를 헝가리의 [[페렌츠바로시 TC]]를 상대로 3:0으로 제압하여[* 이때 블로힌은 팀의 세번째 골을 넣었다.] [[유러피언 컵 위너스컵]]도 들어올리며 명성을 유럽 무대에 알렸다. 이어서 [[유러피언 슈퍼컵]]에서 유러피언컵 우승팀이자 [[프란츠 베켄바워]], [[게르트 뮐러]], [[제프 마이어]]가 이끄는 [[FC 바이에른 뮌헨]]을 상대로 1차전에는 1골, 2차전에는 2골을 넣어 합계 3:0으로 완승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이때의 활약으로 블로힌은 1975년 [[발롱도르]]를 수상했다. 블로힌은 이후에도 맹활약했고 1985-86 시즌 [[이고리 벨라노프]]와 함께 유러피언 컵 위너스컵을 들어올렸고 대회 총 5골을 득점하여 벨라노프와 함께 득점왕을 차지했다. == 국가대표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g01.mundodeportivo.com/Oleg-Blokhin_54354344621_54115221213_490_300.jpg|width=100%]]}}} || [[1972 뮌헨 올림픽]]과 [[1976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에 동메달을 안겨주었고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1982년 스페인 월드컵]]에서는 2차 조별리그까지 올라갔으나 [[즈비그니에프 보니에크]]이 이끄는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폴란드]]에 골 득실로 밀려 4강 진출에 실패했다.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1986년 멕시코 월드컵]]에서는 팀의 핵심 선수가 아니었으며 [[이고리 벨라노프]]의 활약으로 16강에 진출했으나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와의 경기에서 연장 접전 끝에 4:3으로 패했다. 또한 소련 축구 역사상 최초로 [[FIFA 센추리 클럽]]에 가입했다. == 지도자 == 1990년에 은퇴를 하고 지도자의 길을 걸었고,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을 이끌고 [[2006 FIFA 월드컵 독일|2006년 독일 월드컵]]에서 8강까지 이끌었다. 이후 [[UEFA 유로 2008]] 본선 진출에 실패하며 대표팀 지휘봉을 내려놓았고, [[UEFA 유로 2012]]가 폴란드와 자국에서 공동 개최되어 2011년 ~ 2012년까지 대표팀 감독을 잠깐 맡았고, 2012년 2월 ~ 2014년 4월까지 [[FC 디나모 키이우]] 감독을 역임하였다. == 플레이 스타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V2fj-blZ_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OQpcgriPmw)]}}} || 압도적인 스피드, 드리블 능력으로 유명했다. [[별명]]인 화살도 블로힌의 스피드에서 비롯된 것이다. 당대 최고의 수비수 중 한 명인 [[베르티 포크츠]]를 유럽대항전에서 만날 때마다 탈탈 털어버렸던 무시무시한 선수이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FC 디나모 키이우]] (1969~1987) * [[소비에트 톱 리그]]: 1971, 1974, 1975, 1977, 1980, 1981, 1985, 1986 * 소비에트컵: 1974, 1978, 1982, 1984-85, 1986-87 * USSR 슈퍼컵: 1981, 1986, 1987 * [[유러피언 컵위너스컵]]: 1974-75, 1985-86 * [[유러피언 슈퍼컵]]: 1975 === 개인 수상 === * [[발롱도르]]: 1975 * [[소비에트 톱 리그]] 득점왕: 1972, 1973, 1974, 1975, 1977 * [[유러피언 컵위너스컵]] 득점왕: 1985-86 * 소비에트 최고의 축구선수: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5, 1986 * 소비에트 올해의 축구선수: 1973, 1974, 1975 * 우크라이나 올해의 축구선수: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80, 1981 * IOC 올해의 유럽 축구선수: 1974-75 * [[월드 사커 올해의 팀]]: 1975 *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명예 감독: 2005 * 우크라이나 골든 플레이어: 2005 * 골든풋: 2009 * [[IFFHS]] 레전드: 2016 === 수훈 === * Merited Master of Sport: 1975 === 개인 기록 === *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출장: 112경기 *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 42골 * [[FC 디나모 키이우]] 역대 최다 득점: 266골 == 여담 == [[이리나 데리우기나]]와 [[결혼]]하였으나, [[1990년]]에 [[이혼]]하였다. 둘 사이에는 [[외동딸]] [[이리나 블로히나]]가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2006 FIFA 월드컵 독일 참가 감독)] [include(틀:UEFA 유로 2012 참가 감독)] [각주] [[분류:1952년 출생]][[분류:키이우주 출신 인물]][[분류:소련의 축구선수]][[분류:우크라이나의 축구선수]][[분류:우크라이나의 축구감독]][[분류:공격수]][[분류:FC 디나모 키이우/은퇴, 이적]][[분류:아리스 리마솔 FC/은퇴, 이적]][[분류:올림피아코스 FC/역대 감독]][[분류:PAOK FC/역대 감독]][[분류:이오니코스 FC/역대 감독]][[분류:AEK 아테네 FC/역대 감독]][[분류: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FC 모스크바/역대 감독]][[분류:FC 디나모 키이우/역대 감독]][[분류:소련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82 FIFA 월드컵 스페인 참가 선수]][[분류: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참가 선수]][[분류:소련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소련의 올림픽 축구 메달리스트]][[분류:1972 뮌헨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1972 뮌헨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1976 몬트리올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1976 몬트리올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2006 FIFA 월드컵 독일 참가 감독]][[분류:UEFA 유로 2012 참가 감독]][[분류:발롱도르 수상자]][[분류: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분류:UEFA 주빌리 어워드 수상자]][[분류:1969년 데뷔]][[분류:1990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