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음악 웹진)] ---- ||<-2> '''{{{+1 온음}}}'''[br]''Tonplei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온음(음악 웹진) 로고.svg|width=100%]]}}} || || '''종류''' ||[[대한민국의 음악 웹진|음악 웹진]]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언어''' ||[[한국어]] || || '''회원가입''' ||비회원 사이트 || || '''개설''' ||[[2019년]] [[3월 1일]] || || '''링크''' ||[[http://www.tonplei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onplein, 크기=25)] | [[https://www.instagram.com/tonplei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facebook.com/tonplei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9년 3월 1일 설립한 한국의 음악 웹진 사이트. 현재 여덟 명의 필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리뷰 카테고리를 각 필진별로 다르게 운영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리뷰를 독립적으로 하는 것을 떠나 심지어는 연말 결산을 한 필진이 독자적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다르게 말해 온음에서 발행된 리뷰는 웹진 온음의 리뷰가 아닌 웹진 온음 필진 OOO의 리뷰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연말과 다음 해 연초 사이에 발표하는 총결산에는 모든 필진들이 참여한다.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장르의 앨범들을 다루고 있지만, [[재즈]]나 [[메탈(음악)|하드 록]]과 같은 장르들은 아직까지 총결산에서도 다루지 않았다. 그리고 주로 올라오는 장르들 역시 어느 정도 정해져있는데, [[힙합]]과 [[K-POP|케이팝]]이 주로 리뷰 대상이 되곤 한다. 힙합 앨범이 주로 리뷰 대상이 되는 탓에 리스너들 사이에서 [[리드머]]와 종종 비교되곤 하는데, 특히 [[XXX(가수)|XXX]]의 앨범 [[SECOND LANGUAGE]]에 대한 온도차가 화제가 되기도 했다.[* 온음의 coloringCYAN 필진은 [[SECOND LANGUAGE]]에 7점 만점에 6.5점을 주며 [[http://www.tonplein.com/?p=1775|호평]]했으며, 리드머의 경우 5점 만점에 3.5점을 주며 한영혼용에 대해 [[http://board.rhythmer.net/src/go.php?n=18619&m=view&s=review&c=16&p=4|지적]]했다.] 여담으로 여덟 명의 필진 중 한 명이 [[힙합엘이]] 네임드 출신이다. 2018년부터 [[힙합엘이]]에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여러가지 앨범들에 대한 다양한 리뷰들을 기고했으며, 당시에 [[힙합엘이]]를 하던 유저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었을 정도였다.[* 실제로 2018년 말에 [[힙합엘이]] 운영진이 주관하는 엘이 시상식에서 '올해의 평론가상'을 받기도 했다.] 그래서 엘이에서 온음에 대한 이야기가 종종 나오며, 온음의 리뷰나 결산들에 대해 가장 빠르게 반응하는 곳이 엘이이기도 하다. 다만 현재 해당 필진이 [[힙합엘이]]에 기고했던 리뷰들은 모두 사라진 상태로, 아마 웹진을 세우면서 모두 삭제한 듯하다. 현재 새로운 필진을 모집 중에 있다. [[http://www.tonplein.com/?p=2822783|#]] 모집공고 이후 세 명의 필진이 늘어났다. == 성향 == 필진별로 리뷰 카테고리를 다르게 운영하기 때문에 각 필진별로 스타일이 상이하지만, 연말마다 진행하는 총결산을 놓고 보면 전체적으로 현재의 [[피치포크]]와 유사한 성향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한 마디로 대중적인 음악들을 멀리하지는 않지만, 실험적이고 독창적인 음악들을 조금 더 선호하는 편이다. 특히 일렉트로닉 음악들에 대해 그러한 성향이 두드러지는데, 한국의 일렉트로닉 음악가들 중에서도 마이너한 음악가들의 작품을 많이 다루는 편이다. == 연도별 총결산 == 매년 연말과 다음해 연초 사이에 모든 필진들이 참여하는 총결산을 진행한다. 특이하게도 [[한대음]]처럼 시상식의 형식으로 결산을 진행하는데, 한대음과 달리 모던 록 부문이 없고 록 부문으로 통합되어있으며, 팝과 케이팝 부문이 나뉘어있다.[* 한대음은 2022년에 와서야 케이팝 부문을 신설했다.] 이외에도 한대음에는 있는 재즈/크로스오버나 메탈/헤비니스와 같은 부문들 역시 선정하지 않는다. 주로 후보 목록을 발표한 뒤 1~2주 뒤에 선정 결과를 발표한다. === 2018 === [include(틀:온음 2018 총결산 선정 결과)] === 2019 === [include(틀:온음 2019 총결산 선정 결과)] === 2020 === [include(틀:온음 2020 총결산 선정 결과)] === 2021 === [include(틀:온음 2021 총결산 선정 결과)] === 2022 === [include(틀:온음 2022 총결산 선정 결과)] [[분류: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