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옥천군의 교통]]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옥천군)] [목차] [clearfix] == 개관 == [[경부고속도로]]와 [[경부선]]이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다. == 철도 == === 일반철도 === 철도 초강세 지역에 속해서 철도 교통도 편리한 편으로, 옥천읍 중심지에 위치한 [[경부선]] [[옥천역]]에 [[무궁화호]] 정차 빈도가 높은 편이며 하루 약 30회 정차한다. 대신 KTX 개통 후 KTX와 대전~옥천 간 선로를 공유하면서 정차 횟수가 감소하긴 했다. 지금은 대전도심구간 전용선이 개통되어 선로용량에 여유가 생겼지만 아직 무궁화호 증편은 없다. [[서울특별시|서울]]에서 옥천에 가기 위한 방법으로는 [[서울역]]이나 [[영등포역]]에서 [[경부선]] [[무궁화호]]를 타서 옥천역에서 내리거나, [[서울역]]에서 [[경부선]] [[KTX]]를 타고 [[대전역]]에서 [[무궁화호]]로 환승하여 [[옥천역]]에 내리는 방법이 있다. 또한 대전에서 내려서 [[대전역]]이나 [[대전복합터미널]] 바로 건너편 정거장에서 [[대전 버스 607|607번]]을 타고 옥천에 가는 법, --그리고 [[동서울터미널]]에서 하루 5회 다니는 옥천으로 가는 버스를 타는 방법도 있다.-- 서울에서 다이렉트로 옥천 가면 편하긴 하나, 그리 배차가 많지 않다는 점에서 시간적 여유가 있는 사람은 [[대전역]]이나 [[대전복합터미널]]까지 가서 자주 오는 편인 [[대전 버스 607|607번]] 버스를 이용하는 게 낫다. 이외에 [[경부선]] [[무궁화호]] 상/하행이 각각 [[이원역]]에 일 3회, [[지탄역]]에 일 1회 정차한다. === [[광역철도]] === [[충청권 광역철도]] 옥천지선 연장이 확정되었으며, 1단계 구간(계룡~신탄진)과 함께 [[2026년]] 개통 예정이다. 개통 이후엔 [[대전역]]에서 [[대전1호선]]과 환승할 수 있으며, [[오정역]]에선 충청권 광역철도 본선과 합류하여 [[신탄진]]이나 [[계룡시|계룡]]으로 갈 수 있기 된다. 옥천지선이 개통할 경우 옥천은 [[충청북도]]에서 최초로 전철이 개통할 뿐만 아니라 충청권 전체에서 전철이 다니게 되는 최초의 [[군(행정구역)/대한민국 |군]]이 된다. 비수도권 전체를 놓고 보면 [[대구권 광역철도]]가 개통하는 [[칠곡군]] 다음으로 전철이 개통하는 군이 된다.[* 다만 칠곡군은 인구가 10만 명이 넘어가는 웬만한 중소도시와 비슷한 규모인 것을 감안해야한다.] [[대전2호선]] 개통 이후에는 대전역과 오정역 모두 2호선과 환승이 가능할 예정이다. == 도로 == ===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금강IC|금강 나들목]], [[옥천IC|옥천 나들목]])가 지나서 이용하기 좋다. [[경부고속도로]]의 [[옥천IC|옥천 나들목]]은 읍내의 중심에 위치해 있는데, 확장공사로 인해 입구를 그대로 두고 실제 고속도로 진입까지의 통로가 쭉 늘어나 있다. 참고로 서울에서 [[경부고속도로]]를 타고 부산 방향으로 내려갈 때 나타나는 '''최초의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이다. 반대로 부산에서 서울 방향으로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울산이 광역시라 제외한다면 [[경상북도]] [[칠곡군]]이다. 즉, [[경부고속도로]] 연선의 군은 이웃 [[영동군]]까지 합쳐 4군데 뿐이다. 또한 옥천군은 경부선 하행선 최초의 군이기도 하다.[* [[경부선]] 상행선 최초의 군은 [[경상북도]] [[청도군]]이다. ] === 국도 === 4번 국도, 19번 국도와 37번 국도가 있고 4번과 37번 국도는 읍내를 중심으로 십자로 교차한다. 세부적으로는 아래와 같다. * [[4번 국도]]: [[대전광역시]]에서 넘어와 군북면,[[옥천읍]],동이면,이원면을 거쳐 [[영동군]]으로 넘어간다. 대전을 잇는 도로인 만큼 당연히 통행량이 많다. 전 구간 왕복 4차로. * [[19번 국도]]: [[영동군]]에서 넘어와 청산면,청성면을 거쳐 [[보은군]]으로 넘어간다. 시골 국도. * [[37번 국도]]: [[금산군]] 추부면에서 올라와 군서면,옥천읍,군북면,안내면을 거쳐 [[보은군]]으로 간다. 옥천읍에서 안내면으로 가는 구간은 [[대청댐|대청호]]를 끼고 달리다 보니 상당히 업다운이 심한 도로였으나 전구간 왕복 4차로로 개량되면서 옥천-보은 구간이 20분 정도 단축되었다. === [[지방도]] === [[501번 지방도]], [[502번 지방도]], [[505번 지방도]], [[514번 지방도]], [[575번 지방도]]등이 있다. === 기타 === 2016년 12월 16일에는 [[EX-허브#s-2.3|옥천 EX-HUB]]가 개통하였다 == 버스 == === 농어촌버스 및 시내버스 === 옥천읍 및 군북면에서 시내버스로 한 번에 '''[[대전역]]'''[* [[대전역]]에 도착 후 몇 분만 걸어가면 번화가인 은행동도 갈 수 있다.], '''[[대전복합터미널]]'''까지 갈 수 있는 [[대전, 옥천 버스 607|607번]](구 640번) 노선이 있다. 그래서 이 노선은 [[대전광역시 시내버스]]와 옥천 농어촌버스 업체인 [[옥천버스]]가 [[공동 배차]]한다. [[대전역]]에서 다른 버스들과 도색이 다르고 특유의 [[충청북도]] 로고가 그려진 시내버스를 봤다면 바로 [[옥천버스]]다. 다만 [[동구(대전광역시)|대전 동구]]와의 경계인 마달령을 넘어가면 [[시계외요금]] 1,800원(성인)을 받는다. 그 외에는 [[대전 버스 607|607번]]에 비해 오지노선이라 존재감이 없지만, 대전 외곽노선인 [[대전 버스 62|62번]]이 군북면 대정리 및 항곡리로 다닌다. 그리고 [[옥천버스]]의 [[대전 버스 607|607번]]은 비래동종점까지 안 가고 노인회관에서 검문소로 바로 꺾으니 이용시 주의할 것. 사실 [[충청북도청]] 소재지이자 최대 도시인 [[청주시]]와도 아주 먼 거리는 아니다.[* 참고로 옥천군 군북면 대정리와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가호리와의 직선거리는 고작 5km 안팎이다.] 남청주정류장 기준 시외버스로 약 40분 걸리고, 청주 성안길에서 옥천읍내까지 약 52km 정도이다. 허나 대전광역시가 15분 거리이기 때문에 40여 분 걸리는 청주에 비해 더 가깝고, 어차피 대전을 거쳐서 청주를 가야 하기 때문에 대전의 영향이 더 크다. 기타 [[옥천버스|옥천군 농어촌버스 운행노선 목록]]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란다. 여담으로 서울-부산간 시내버스 여행 시 언제 도착하느냐에 따라 루트가 바뀌는 곳들 중 한 곳인데, 10시 30분 이전에 옥천에 도착하면 541번을 타고 청산에서 영동행 버스를 타는게 제일 빠르며, 11시 이전에 도착하면 711번을 타고 명덕리에서 내린 뒤 연계가 가능하다. 11시 이후에 도착하면 얄짤없이 절골 루트를 택해서 하차 후 20분 안에 심천역까지 뛰어야 한다. === 시외버스 === 철도가 초강세를 보이고 대전에 의존하는 지역 특성 탓에 상대적으로 시외버스 노선은 빈약하다. [[시외버스 대전복합-점촌|대전-옥천-보은-상주-점촌]] 노선과 [[시외버스 청주-영동|청주-옥천-영동]] 노선의 왕복이 끝이며, 터미널도 [[옥천시외버스공영정류소|옥천터미널]]밖에 없다. 예전에는 영동발 옥천 경유 동서울행 시외버스도 있었지만 2018년 12월에 폐지되면서 서울행 시외버스 노선은 하나도 없다. 옥천터미널 외에 관내 시외버스정류장도 이원면내 1개소뿐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옥천군, version=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