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영산강 및 섬진강의 댐)] [include(틀:수권 - 호수)] [목차] [clearfix] == 개요 == 玉井湖 [[전라북도]] [[임실군]]과 [[정읍시]]에 걸쳐 위치하고 있는 [[호수]]. 섬진강댐이 건설되며 생겨난 인공호수이다. 명칭의 유래는 섬진강댐이 지어진 위치인 임실군 옥정리에서 유래했다. 전북 지역의 주요 상수원 중 하나이기도 했으나, 1990년대 중반 [[부안군]]에 [[부안댐]]이, 2000년대 초 [[진안군]]에 [[용담댐]]이 건설된 후 상수원 역할은 대부분 부안댐(부안군)과 용담댐(진안군)으로 넘어갔고 현재 옥정호에서 취수된 물은 정읍시에만 공급되고 있다. 2015년에 임실군 지역 옥정호 상수원 보호구역이 해제되어 임실군에서는 "섬진강 르네상스"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옥정호 물안개길이라는 수변 산책로 및 주변 순환도로를 조성하고 [[하중도]]인 [[붕어섬]]을 연결하는 출렁다리를 건설하는 등[[https://www.fnnews.com/news/202111161329088885|#]] 옥정호가 임실군의 새로운 [[관광지]]로써 큰 역할이 되어주고 있다. 현재 옥정호 주변에는 여러 뷰가 좋은 카페가 조성되어 있으며, 4월에는 수변도로의 벚꽃터널이 펼쳐져 장관을 이룬다. == 상세 == 이 호수를 막아 생긴 섬진강댐은 국내 최초의 다목적댐이다. 높이 64m, 길이는 344.4m로, 총 저수용량은 4억 6,600만 톤. 시설 발전용량은 3만 4,800kw이다. 발전수는 동진강으로 유역변경해서 흘러가며, 동진강 지역에 농업용수, 공업용수 등을 공급한다. 이 댐의 문제점은 수문이 맨 위쪽에 있어서 사실상 물이 제한수위 가까이 차야 방류를 할 수 있다는 것. 그래서, 2011년에는 급격히 물이 유입되면서 범람 위기까지 가 수문을 모두 열고 긴급 방류하기까지 했다. 그 이후에, 현 수문보다 낮은 위치에 보조여수로가 완공되면서 홍수 조절이 이전보다 쉬워졌고, 수문 개방은 주로 보조여수로를 이용하지만 수위가 많이 오르면 본댐의 수문을 모두 개방해 같이 방류한다. == 사건 사고 == 역시 2020년 장마철 때, 폭우가 와 유입량이 늘어나는데도 방류량을 늘리지 않고 보조여수로로 방류하다가 긴급 사태로 인해 본댐 수문을 모두 열어 최대 방류량까지 급격하게 방류량을 늘린 일이 있어 구례, 하동 등 하류 지역이 침수가 되어 피해를 궤멸적으로 입기도 했다. 그래서 그 이후 [[한국수자원공사]]에서는 댐 방류량 증가 시마다 통보를 하고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호수]][[분류:임실군의 건축물]][[분류:정읍시의 건축물]][[분류:한국수자원공사]][[분류:1965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