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fotbanen / Ofoten Line }}} [[파일:attachment/오포트바넨/norway_map.jpg]] 위 지도 북동쪽 최상단에 검게 표시된 구역 내의 검은 선이 오포트 선이다. 사실 이 지도는 유레일 패스 지도지만, 노르웨이 내에서 유레일 패스가 안 통하는 여객 열차 노선은 없다. [[파일:attachment/오포트바넨/1952Ofot.jpg]] 1952년, 나르비크역까지 철광석을 수송하는 모습. [[http://digitaltmuseum.no/011013112042|출처]] [[파일:attachment/오포트바넨/Ofot1.jpg]] 끝이 없는 화물차에 그득하니 쌓인 저게 다 철광석이다. [[http://modelljernbane.internettside.com/lkab-iore-verdens-kraftigste-lokomotiv|출처]] [[파일:attachment/오포트바넨/Ofot2.jpg]] 나르비크역에 정차하고 있는 여객열차. [목차] == 개요 == [[노르웨이]]의 [[나르비크]]와 [[스웨덴]]의 키루나를 잇는 단선 철도 노선. 총 연장 42.6km. 전 구간 전철화 되어 있으며, 1435mm [[표준궤]]를 채택하고 있다. == 역사 == === 개통과 전철화 === 1902년 11월 15일에 처음 개통된 노선이다. 이 노선이 개통될 당시에는 노르웨이는 스웨덴 내의 [[동군연합]] 내지는 자치령 정도였기 때문에, 스웨덴에서 별 문제 없이 노선을 개통할 수 있었다. 본래 말름 선(Malmbanan) 철도라 하여 룰레오(Luleå) 항구와 옐리바레(Gällivare)를 잇는 지역 철도에서 출발한 이 노선은, 1888년 처음 개통된 지 11년 후인 1899년 키루나(Kiruna) 광산까지 철도를 연장하는 데 성공했다. 그런데 룰레오 항구는 안타깝게도 발트 해 내부 깊숙히 위치해 있던 터라 겨울만 되면 얼어붙었고, 이 때문에 부동항인 나르비크까지 추가로 철도를 연장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 결과가 바로 이 노선. 본래대로였으면 그대로 말름 선의 일부였을 것이다. 애초에 말름 선의 Malm이 스웨덴어로 광석이라는 뜻이다. 근데 노선이 개통된 지 불과 3년 후인 1905년 '''노르웨이가 덥썩 독립을 선언해버렸다.''' 그 과정에서 나르비크가 노르웨이로 넘어가면서 졸지에 이 말름 선 또한 본선과 오포트 선으로 두 동강이 나 버린 것이다. 뭐 아무튼 중요한 노선이고, 스웨덴 입장에서도 키루나에서 채굴한 광석을 손가락 쪽쪽 빨면서 겨울이 다 지나가고 룰레오 항이 녹을 때까지 기다릴 수는 없던 노릇이라 반쯤 울며 겨자 먹기로 나르비크 항을 통해 계속해서 철광석을 수출했고, 이 덕분에 나르비크 항은 이름 없는 깡촌에서 제법 규모가 되는 항구 도시로 위상이 올라가기 시작했다. 이 노선이 경제적으로 갖는 의미가 얼마나 중요했던지, '''1915년'''에, 그러니까 백 년 전에 이미 말름 선의 키루나부터 [[릭스그렌센역]]까지는 독일에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전압인 교류 15kV 16 2/3Hz로 전철화되어 있었다. 말름 선의 나머지 구간도 7년 후에 전철화가 되었으니 백 년 전부터 이 노선의 중요도는 익히 인식되어 왔던 것이다. 노르웨이 측에서도 이 사실을 모르지는 않아서 전철화 계획 자체는 1911년부터 계획되어 왔었으나 의회에서 돈을 내주지 않아서(...) 계속해서 미뤄지고 있었다. 그러다가 1923년에 공사를 시작해서 2년간의 공사 끝에 전철화하는 데 성공했다. 그 기간 동안은 스웨덴제 기관차를 썼다나 뭐라나. 1925년에 [[비에른펠역]]이 생긴 배경이 여기에 있다. === 전쟁 및 그 이후 === 그러나 전쟁의 마수는 나르비크에도 닥쳐서, [[노르웨이 침공|나르비크 전투]] 때 나르비크 항이 포격으로 완전히 맛이 가 버리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철광석 수송이 중단되는 일도 있었다. 물론 그 기간 동안 철광석들은 룰레오 항을 거쳐서 수출되었고. 전쟁 약 10년 후, 1957년에 스웨덴 정부가 LKAB[* 광산채굴회사. Luossavaara-Kiirunavaara Aktiebolag의 약자로 키루나에서 철광석을 채굴하는 회사이다. 본사는 룰레오에 위치.]를 인수하면서 수송량에 박차를 가하는 움직임에 속도가 붙기 시작했다. 이미 1949년부터 LKAB 측에서는 연간 800만 톤의 철광석을 수송하고 있었는데 그걸 1.5배 늘리는 시도를 벌인 바 있었고, 그렇게 수출량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었다. 물론 그 수출을 공짜로 할 리는 없었고... 노르웨이에서도 스웨덴에게 돈다발을 받으면서 즐거운 마음이었겠지. 그러다가 1980년대에 드디어 스웨덴 측에서 "야 니들 좀 너무한 거 아니냐?" 하고 운임 인하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나섰다. 사실 노르웨이 측에서는 나름대로 꿀 빨던 것이, '''운송으로 인한 이득의 절반을 노르웨이 측에서 가져가고 있었다.''' 이러니 스웨덴 측에서는 아쉬운 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었고, 고용인은 절반으로 줄었으며, 그 당시 노르웨이 측에서 올리던 수익이 연간 6~7천만 노르웨이 크로네였으니 이걸 지금 환율로 계산해 봐도 우리 돈으로 거의 연간 90억 원, 그것도 그 당시에 90억 원이니 '''그야말로 억 달러 수준의 수익을 올리고 있었던 것이다.''' 1980년 기준 7크로네가 약 1달러였으니 그걸로 계산하면 현재 가치로 몇억 달러가 넘어간다! --억 소리 나올 만 했네.-- 그래서 양국의 경제부가 나선 조정위원회가 설립된 일도 있었다. == 현재 == 뭐 하여간 그런 여러 가지 일들을 겪으면서 여전히 오포트바넨은 스웨덴 굴지의 광산인 키루나 광산의 광석을 수출하는 역할을 계속해서 담당하고 있다. 이 40km 남짓한 선로가 연간 처리하는 화물량은 영문 위키백과 기준 무려 '''연간 2천 5백만 톤!''' 국내에서 가장 많은 화물 수송량을 담당하는 [[도담역]]이 1년간 처리하는 화물량이 800만 톤이니 그 세 배에 달하는 엄청난 양의 화물을 처리하고 있는 셈이다. --[[나우루|아찌, 그러다 광산 고갈나요]]-- 그렇기 때문에 엄연히 이 노선의 주 용도는 여객 열차가 아닌 화물 열차. 여객 열차 자체가 매우 드물게 다닌다. 하루에 한두 번 수준. 그나마도 꽤나 느릿느릿한 편이라 룰레오 항에서 오전 10시 45분에 출발해도 나르비크 항에 들어가면 이미 오후 6시다. 반대로 가는 것도 오후 12시 40분에 출발해서 룰레오 항까지 도착하면 이미 저녁 8시. 은근히 [[근성열차]]. == 특징 == 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철도로 오슬로까지 국경을 넘지 않고 직통으로 연결할 수 없는 노선이다.''' 쉽게 말해 [[낙동강 오리알]]이요 실질 월경지나 진배없는 것. 거기다가 이 노선을 운영하는 회사가 파산하고 스웨덴에 인수된 탓도 있어서 노선의 소유권은 노르웨이 국철에 있되 운영권은 스웨덴이 주도하는 뭔가 좀 묘한 노선이다. 또한 유레일 패스로 접근할 수 있는 최북단 노선 및 역. [[러시아]]가 유레일 패스를 개방하지 않는 한, 무르만스크역]까지 유레일 패스로 갈 수는 없는 노릇이므로 당분간 이 타이틀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최북단 역은 [[나르비크역]]이다. == 역 목록 == |||||||||||||||| 오포트바넨 역 목록 || || 한글역명 || 현지역명 || 기점거리 || 역간거리 || 분기노선 || 비고 || 관할 국가 || || [[나르비크 하븐역|나르비크 하븐]] || Narvik havn || 0.0 || 0.0 || || ||<|8><:><#ffe0e0> [[파일:attachment/오포트바넨/NOR.jpg|width=20px]] 노르웨이 || || [[외브레 클레이바역|외브레 클레이바]] || Øvre Kleiva || 1.7 || 1.7 || || || || [[나르비크역|나르비크]] || Narvik || 3.7 || 2.0 || || || || [[스트레움스네스역|스트레움스네스]] || Straumsnes || 13.8 || 10.1 || || || || [[롬바크역|롬바크]] || Rombak || 20.9 || 7.1 || || || || [[카테라트역|카테라트]] || Katterat || 29.7 || 8.8 || || || || [[쇠스테르베크역|쇠스테르베크]] || Søsterbekk || 36.1 || 6.4 || || || || [[비에른펠역|비에른펠]] || Bjørnfjell || 40.4 || 4.3 || || || || [[릭스그렌센역|릭스그렌센]] || Riksgrensen (Nor)[br]Riksgränsen (Swe) || 42.6 || 2.2 || || ||<|1><:><#e0ffe0> [[파일:attachment/오포트바넨/SWE.jpg|width=20px]] 스웨덴 || [[분류:노르웨이의 철도]][[분류:1902년 개업한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