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펠|[[파일:1970 오펠 로고.png|width=2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오펠 카피텐.png|width=100%]]}}} || || {{{#fff '''Kapitän'''}}} || [목차] '''Opel Kapitän''' == 개요 == [[독일]]의 자동차 제조사인 [[오펠]]에서 생산했던 승용차이다. 카피텐 A와 B 같은 경우는 [[오펠 아드미랄]] - [[오펠 디플로마트]]와 함께 KAD 라인업으로 불리곤 했다. == 상세 == === 1세대(1938~1940) === || [[파일:1939 오펠 카피텐.png|width=100%]] || || {{{#fff '''살롱 사양'''}}} || [[제 2차 세계대전]] 발생 전에 제작된 마지막 [[오펠]]의 승용차였다. [[1938년]]부터 개발되기 시작해 같은 해 11월부터 생산에 돌입했고 [[1939년]] 봄 제네바 모터쇼에서 출시되었다. 라인업은 가장 인기 있었던 4도어 살롱과 2도어 쿠페 및 카브리올레 사양도 존재했다. 전쟁 전에 혁신적인 유니바디 구조를 갖춘 차량이었다. 2인승 차량 중 248대는 [[드레스덴]]에 있던 글래서와 [[부퍼탈]]에 위치한 헤브뮐러에서 카브리올레 사양으로 개조한 바 있었다.[* 2세대 차량의 출시 때는 카브리올레 사양이 제작되지 않았다.] || [[파일:오펠 카피텐 카브리올레.png|width=100%]] || || {{{#fff '''카브리올레 사양'''}}} || [[후륜구동]] 차량으로 [[파워트레인]]은 이전에 생산된 차량인 [[오펠 슈퍼 6]]의 2.5L I6 엔진+3단 [[수동변속기]] 조합을 이어받았다. 차량의 최고 속도는 118km/h까지 낼 수 있었다. || [[파일:GAZ 포베다.png|width=100%]] || || {{{#fff '''GAZ 포베다'''}}} || [[1940년]] 가을부터 전쟁으로 인해 민수용 차량 제작이 중단되어 단종되었다. 총 25,371대가 제작되었는데, 전후 [[1946년]]과 [[1947년]]에 비공식적으로 각각 2대, 1대가 더 만들어졌다. [[소련]] 기술자들이 전쟁 후에 해당 차량을 연구해 만든 차량이 있는데, 그게 GAZ-M20 포베다였다. === 2세대(1948~1950) === || [[파일:1948 오펠 카피텐.png|width=100%]] || || {{{#fff '''2세대 차량'''}}} || [[1948년]] 10월에 처음 출시되었으며, 전후 [[독일]] 최초의 6기통 승용차였다. 원래는 1년 일찍 제작을 시작하는 것이 타당했지만, [[오펠 블리츠]] 트럭에 같은 엔진이 탑재된 부분 및 점령 규정에 따라 배기량 1.5L 이상의 승용차는 민간 판매가 금지된 상황이었다. 그로 인해 민간 판매는 [[1949년]]이나 되어서야 이루어질 수 있었다. [[1930년대]]에 쿠페와 카브리올레 사양으로 라인업을 넓혔던 것과 달리 전후에는 [[1939년]]형을 기반으로 한 세단 사양만 판매되었다. 전후 사양은 둥근 헤드램프로 대체디었으며,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및 댐퍼의 개선이 있었다. [[1950년]] 5월에 출시된 사양부터는 계기판의 재설계가 이루어졌고, 스티어링 칼럼 형태의 변속기가 기존의 플로어 방식을 대체하였다. 차량의 최고 속도는 126km/h, [[제로백]]은 29초, 연비는 약 7.7km/L였다. [[파워트레인]]은 2.5L I6 엔진과 3단 [[수동변속기]] 조합으로 구성되었다. 차량의 전장은 4,620mm, 전폭은 1,660mm, 전고는 1,640mm, 휠베이스는 2,695mm, 공차중량은 1,230kg이었다. [[1951년]] 2월까지 총 30,431대가 생산되었다. === 3세대(1951~1953) === || [[파일:1951 오펠 카피텐.jpg|width=100%]] || [[파일:1951 오펠 카피텐 카브리올레.jpg|width=100%]] || || {{{#fff '''일반 사양'''}}} || {{{#fff '''카브리올레 사양'''}}} || [[1951년]] 3월에 처음 출시되었으며, 2세대 카페틴을 현대화한 차량이었다. 전면부에 크롬 장식이 풍부하고 미국차 느낌의 그릴이 적용되어 외장만큼은 전쟁 이전에 생산된 카피텐과 구별이 가능하였다. 전후 [[유럽]]에서 가장 현대적인 대형차였다. 평평하고 서 있는 일체형 앞유리와 외장 헤드램프를 갖춘 경쟁력 있는 [[메르세데스-벤츠]] 라인업과도 다른 느낌을 주었다. 그로 인해 튼튼하고 편안하다는 장점에 비해 유지 보수 노력 과정에서 손실이 더 컸던 탓에 2.5L 엔진에 부과된 세금을 납부하고 보험에 가입할 수 있는 중고차 소비자는 거의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파워트레인]]으로 탑재된 2.5L I6 엔진의 압축비는 6.0:1이돈 상황에서 가솔린 품질의 개선으로 인해 6.25:1로 증가했으며, 기존 54마력에서 58마력/59마력으로 증가했다. 이와 함께 3단 [[수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차량의 전장은 4,715mm, 전폭은 1,720mm, 전고는 1,625mm, 휠베이스는 2,695mm, 공차중량은 1,240kg이었다. [[1951년]] 3월부터 [[1953년]] 7월까지 총 48,562대가 생산되었다. === 4세대(1953~1958) === || [[파일:1953 오펠 카피텐.png|width=100%]] || || {{{#fff '''초기형 차량'''}}} || [[1953년]] 11월에 처음 출시되었으며, 이전 세대보다 더 길고 넓어졌으며, 완전히 새로워진 차량이었다. [[파워트레인]]으로 적용된 2.5L I6 엔진은 7.0:1의 압축비로 상승하여 초기에는 67마력을 냈다. [[1955년]]에는 70마력으로 출력이 상승했으며 이듬해에는 74마력까지 상승하였다. 이와 함께 3단 [[수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차량의 전장은 4,710mm~4,735mm, 전폭은 1,760mm, 전고는 1,600mm, 휠베이스는 2,750mm, 공차중량은 1,250kg~1,300kg이었다. || [[파일:1956 오펠 카피텐.jpg|width=100%]] || || {{{#fff '''후기형 차량'''}}} || [[1954년]]형 차량에는 후륜 라이브 액슬, 후면 스태빌라이저 바, 약간 크기가 커진 [[드럼 브레이크]]가 적용되었다. [[1956년]]형의 경우에는 그릴 디자인의 변경, 베젤이 있는 헤드램프, 더 커진 전면 방향지시등 및 개선된 측면 장식이 적용된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졌다. [[1956년]]형 차량의 최고 속도는 140km/h였으며 약 7.7km/L의 연비를 기록하였다. [[1957년]] 5월에는 [[오버드라이브]]가 적용된 3단 [[반자동 변속기]]가 탑재되었다. 이후 요청에 따라 4단 기어가 추가되었다. [[1953년]] 11월부터 [[1958년]] 2월까지 154,098대가 제작되었으며, [[서독]] 시장에서 [[폭스바겐 비틀]], [[오펠 레코드]] 다음으로 인기 있는 차량이었다. === 5세대(카피텐 P1,1958~1959) === || [[파일:1958 오펠 카피텐.jpg|width=100%]] || [[파일:1958 오펠 카피텐 후면부.jpg|width=100%]] || ||<-2> {{{#fff '''오펠 카피텐 P1'''}}} || [[1958년]] 6월에 처음 출시되었다. 파노라마 창이 특징이었다. [[미국]]산 승용차에서 영감을 받은 드림카 스타일로 찬사를 받았지만, 후면 지붕의 경사와 함께 앞뒤로 감싼 창문이 운전자의 시야를 불필요하게 제한하고 뒷문을 매우 좁게 만들었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탑승객이 뒷좌석으로 이동할 때 헤드룸 역시 불편한 부분에 한몫 하기도 했다. [[파워트레인]]은 79마력의 2.5L I6 엔진이 탑재되었으며, 3단 [[수동변속기]]와 4단 [[오버드라이브]] 변속기가 적용되었다. 휠베이스, 트랙 폭, 전장 및 전폭이 늘어났지만, 반대로 지붕이 편평해지면서 60mm 가량 전고가 낮아졌다. 전장은 4,764mm, 전폭은 1,785mm, 전고는 1,500mm, 휠베이스는 2,800mm, 공차중량은 1,310kg이었다. [[1958년]] 6월부터 [[1959년]] 6월까지 해당 세대는 1년 동안만 제작되었으며, 총 34,282대가 생산되었다. 이는 이전 세대 및 후속 모델의 연간 생산량보다도 적은 수치였다. === 6세대(카피텐 P2,1959~1963) === || [[파일:1959 오펠 카피텐.jpg|width=100%]] || || {{{#fff '''오펠 카피텐 P2'''}}} || [[1959년]] 8월에 출시되었다. 앞유리가 파노라마를 유지했으나, 새로운 그릴과 더 각진 지붕, 새로운 후면부로 변경되었다. [[파워트레인]]은 2.6L [[OHV]] 푸시로드 I6 엔진이 그대로 탑재되었으나, 보어 및 스트로크 길이가 기존 80mmx82mm에서 85mmx76.5mm로 변경되었다.이와 함께 오버드라이브가 적용된 3단/4단 [[수동변속기]]가 적용되었으며 후자는 [[1960년]]12월에 [[제너럴 모터스]]의 하이드라매틱 3단 [[자동변속기]]로 교체되었다. 차량의 최고 속도는 150km/h, [[제로백]]은 16초 가량이 소요되었다. 연비는 약 8.3km/L 정도였다. 차량의 전장은 4,831mm, 전폭은 1,812mm, 전고는 1,512mm, 휠베이스는 2,800mm, 공차중량은 1,340kg이었다. [[1959년]] 8월부터 [[1963년]] 12월까지 총 145,618대가 생산되었는데, 이는 역대 카피텐 중에서는 가장 많이 생산된 세대였다. 시장에서는 [[오펠 레코드]] 및 [[오펠 카데트]]와 다르게 [[메르세데스-벤츠]]와 같은 경쟁사가 있었기에 [[콩라인]] 신세로 전락하였으나, 당시 [[오펠 아드미랄]]과 함께 [[유럽]] 시장에서 가장 잘 팔리는 6기통 세단이었으며, [[1960년]]에는 48,000대 가량을 생산한 바 있었다. === 7세대(카피텐 A,1964~1968) === || [[파일:오펠 카피텐 A.jpg|width=100%]] || [[파일:오펠 카피텐 A 후면부.jpg|width=100%]] || ||<-2> {{{#fff '''오펠 카피텐 A[* 후면부 사진에 보이는 건물은 당시 [[오펠]]의 본사이다.]'''}}} || [[오펠 아드미랄]] 및 [[오펠 디플로마트|디플로마트]]와 함께 KAD 라인업을 구축하였으며, 카피텐은 기본형 차량으로 판매되었다. [[1967년]]에 [[페이스리프트]]를 다른 KAD 라인업들과 함께 거쳤고, 고무 조각 장식, 새로운 [[ZF]] 사의 조향 장치, 접이식 스티어링 칼럼이 적용되었다. 여기에 최고 138마력의 최고 출력을 내는 2.8L I6 엔진의 고성능 사양 역시 추가되었다. [[파워트레인]]으로는 2.6L [[OHV]] I6 엔진과 2.8L CIH형 I6 엔진 2종으로 판매되었으며, 일부 차종들은 [[쉐보레]]의 4.6L V8 엔진이 탑재되었다. [[1966년]]부터 그 다음 해에 [[오스트리아]] 시장에서 판매된 580대의 카피텐과 아드미랄에는 110마력의 2.5L CIH형 I6 엔진이 탑재된 바 있었다. 이와 함께 파워글라이드 2단 [[자동변속기]]와 4단 [[수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차량의 전장은 4,948mm, 전폭은 1,902mm, 전고는 1,445mm, 휠베이스는 2,845mm, 공차중량은 1,380kg~1,550kg이었다. [[1968년]] 11월까지 총 24,249대가 생산되었다. === 8세대(카피텐 B,1969~1970) === || [[파일:1969 오펠 카피텐.png|width=100%]] || || {{{#fff '''오펠 카피텐 B'''}}} || [[1969년]]에 출시되었다. [[오펠 아드미랄]] 및 [[오펠 디플로마트]]와 함께 KAD 라인업을 구축하였다. [[파워트레인]]은 2.8L CIH형 1-bbl 및 2-bbl I6 엔진이 탑재되었다. 이와 함께 4단 [[수동변속기]]와 [[오펠]]의 3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차량의 전장은 4,907mm, 전폭은 1,852mm, 전고는 1,450mm, 휠베이스는 2,845mm, 공차중량은 1,475kg~1,495kg이었다. [[1970년]] 5월에 단종되었다. KAD 라인업 중에서 가장 먼저 단종되었으며, [[오펠 아드미랄|아드미랄]]과 [[오펠 디플로마트|디플로마트]]는 [[1978년]]까지 판매되다 [[오펠 제나토어|제나토어]]가 이들을 대체하였다. 15개월 동안 총 4,976대가 생산되었다. == 여담 == || [[파일:간첩장교단 오펠 카피텐.png|width=100%]] || || {{{#fff '''영국 간첩장교단의 파손된 카피텐 차량'''}}} || [[영국]]에서 냉전 당시 [[동독]] 지역에서 활약하던 간첩장교단(BRIXMIS)에서 임무 수행을 위해 활용했던 적이 있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오펠의 차량)] [[분류:오펠/생산차량]][[분류:1938년 출시]][[분류:1970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