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링네임 || '''桜花 由美''' [br] 三崎 グリ子[* 미사키 구리코. 이 링네임을 사용하게 된건 3대 위치에 해당된다.] [br] Sandaime Misaki Glico [br] Sakura Candle || || 본명 || 阿部 由美子[* 아베 유미코] || || 생년월일 || [[1979년]] [[4월 4일]] || || 출생지 || [[일본]] [[이바라키현]] [[코가시(이바라키)|코가시]] || || 신장 || 168cm || || 체중 || 59kg || || 별명 || '''リングを舞う千本桜'''[* 링에서 추는 1000송이 벚꽃] || || 주요 커리어 || JDStar TWF 월드 태그팀 챔피언 2회 [br] JDStar 주피터 리그 우승 (2005년) [br] Oz 아카데미 태그팀 챔피언 1회 [br] Wave 싱글 챔피언 1회 [br] Wave 태그팀 챔피언 4회 [br] Catch the WAVE 우승 (2009년) [br] Catch the WAVE 우승 (2015년) [br] 다이어리 스포츠 저널 컵 우승 (2007년) [br] 오바산 넥스트 토너먼트 우승 (2017년) [br] [[아이언맨 헤비메탈웨이트 챔피언]] 1회 || || 피니쉬 무브 || '''빅 붓''' [br] 산마 드롭 [br] 사쿠라☆드롭 [br] 사쿠라☆스타 [br] 엔젤 윙 락 [br] 레인보우 킥 [br] 사쿠라 떨구기 || [목차] == 개요 == 이바라키현 출신의 여성 프로레슬러. 우에마츠 토시 & 쿠거 & 재규어 요코타의 제자. 주식회사 ZABUN 대표이사 사장으로 프로레슬링과 동시에 요시모토 흥업의 극단 「TRAPPER」에서 여배우로서 활동한다. == 커리어 == 2001년에 요시모토 여자 프로 레슬링 Jd에서 열린 제2회 아스트레스 오디션에 합격해 아스트레스 2기생으로서 요시모토 여자 프로레슬링 Jd'에 입문하게 된다.[* 후에 단체는 JD 스타 여자 프로 레슬링으로 바뀐다.] 2001년 8월 19일 카시와타 치아키와 팀을 이뤄 도쿄 디파 아리아케의 대가 카가와 테루코 & 후루타 케이코를 상대로 데뷔하게 된다. 당시는 스스로 아이돌이라고 칭하고, 크리미 마미를 이미지 한 링 코스튬으로 노래 & 춤을 추면서 입장하는 퍼포먼스는 정평이 되었다 JD에서 활동하며 챔피언 경력을 만들정도로 어느정도 성장했고, Oz 아카데미를 포함해 다른 레슬링 단체체서도 경기를 갖지만 2007년 7월 16일 JD 스타 해산 최종전 '잔느 다르크~Jd'·JD스타·격투미 FINAL~'에 출전해 오하타 미사키를 상대하지만 시간경과로 무승부로 끝나게 된다. FA가 된 후로는 WAVE 소속으로 활동을 시작하고 JWP, New AJW, NEO, [[대일본 프로레슬링]](BJW), 디아나 등 출연을 하며 계속 선수활동을 이어나가다가 오카 유미의 인기는 일본 외에도 해외에서도 주목하며 미국의 유명 여성레슬링 단체인 [[SHIMMER]]에서도 섭외가 들어와 미국에도 진출한다. 2011년에 SHIMMER에서 [[로즈마리(프로레슬러)|커트니 러쉬]], [[미아 임]]과의 경기에서 각각 승리를 거두지만, 사라 델 레이, [[세레나 딥]]과의 경기에서는 패한다. 캐나다에서도 경기를 가지며 [[치어리더 멜리사]]와 맞붙지만 패한다. 다시 일본으로 돌아가서 활동하며 WAVE에서 계속 활동하고 2012년에는 아이스 리본에서도 경기를 가지며 [[미즈나미 료]] & 가미와 팀을 이뤄 [[후지모토 츠카사]] & 호시 하무코 & [[나루미야 마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다시 미국으로 가면서 SHIMMER에 출연해 켈리 스케이터에게는 패하지만 [[크리스티나 본 에리]], 미즈나미 료, [[니콜 매튜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WAVE를 포함한 여러단체를 돌며 여러 레슬러들과 경쟁하며 경력을 늘려나가고 있었고, 2014년에 SHIMMER에서 치어리더 멜리사를 상대로 SHIMMER 챔피언십 매치로 격돌하지만 패하며 챔피언 등극에 실패하고, [[아테나(프로레슬러)|아테나]], [[멜(프로레슬러)|멜라니 크루즈]], [[루피스토]]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2015년에는 [[매디슨 이글스]]와 경기를 갖지만 패하고, [[니콜 새보이]]와의 경기에서는 승리를 거두며 미국에서도 강자 위치에 속했고, [[해벅(프로레슬러)|제시카 하복]]과의 경기에서는 사기급 강자인 하복에게 패한다. 같은 일본인인 마코토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 오카 유미는 멜리사와 팀을 이뤄 [[마츠모토 히로요]] & 마코토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 후 [[KC 스피넬리]] & [[산드라 베일]]을 상대로도 승리를 거둔다. 해마다 WAVE에서 열리는 Catch the WAVE에는 계속 참가하고, 2016년에도 SHIMMER에 출연해 멜라니 크루즈와 팀을 이뤄 [[케이 리 레이]] & 미아 임을 상대하지만 패하고, 제시카 하복, 미아 임, [[앨리신 케이]]와의 페이탈 4 웨이 매치에서는 하복이 승리를 거두면서 패하고, 멜라니 크루즈와 팀을 이뤄 [[다코타 카이|이비]] & [[루비 소호|헤이디 러브레이스]]에게 패하다가 [[스칼렛(프로레슬러)|스칼렛 보르도]] & [[솔로 달링]]에게도 패하고, 이후로는 미국에서의 활동이 없게된다. WAVE, Oz 아카데미, 디아나 3개의 단체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같은 베테랑들을 포함해 후배들과 경기를가지며 계속 활동한다. == 기타 == * 육상 & 유도 & 배구 등을 배운 경험이 있다. * 왼손잡이다. * 당초엔 성우 지망생이었고, 2000년 4월에 아이돌 성우 유닛 KiraKira☆멜로디 학원(KiraKira☆メロディ学園)에 2기생으로서 가입했지만, 3개월 정도 활동하다 탈퇴했다. * 2022년에 결혼했다. == 둘러보기 == ||<-5> [[파일:25Cfl8Pb_400x400.png|width=100]] || ||<-6> '''프로레슬링 웨이브 캐치 더 웨이브 토너먼트 우승자''' || || 창설 || → || '''오카 유미[br](2009)''' || → || 카미 [br] (2010) || || [[시다 히카루]][br](2014) || → || '''오카 유미[br](2015)''' || → || [[미즈나미 료]] [br] (2016) || ||<-6> '''프로레슬링 웨이브 리자이나 디 웨이브 챔피언십 토너먼트 우승자''' || || 창설 || → || '''오카 유미[br](2013)''' || → || 미정 || ||<-6> '''프로레슬링 웨이브 리자이나 디 웨이브 챔피언십 NEXT 토너먼트 우승자''' || || 창설 || → || '''오카 유미[br](2017)''' || → || 노자키 나기사와[br](2019) || ||<-5>
<#000000><:> {{{#FFFFFF '''프로레슬링 웨이브 캐치 더 웨이브 포스트 토너먼트 어워드 올해의 베스트 바웃'''}}} || ||<:> 창설 ||<:> {{{+1 → }}} ||<#FFFFA1><:> '''{{{#000 쿠리하라 아유미 vs 오카 유미 [br](2011)}}}''' ||<:> {{{+1 → }}} ||<:> 쿠리하라 아유미 vs [[슈리(프로레슬러)|슈리]] [br](2012) || ||<:> [[기무라 쿄코]] vs [[히로타 사쿠라]] [br](2014) ||<:> {{{+1 → }}} ||<#FFFFA1><:> '''{{{#000 오카 유미 vs [[미즈나미 료]] [br](2015)}}}''' ||<:> {{{+1 → }}} ||<:> 이이다 미카 vs 츠쿠시 [br](2016) || ||<-5><#000000><:> {{{#FFFFFF '''프로레슬링 웨이브 캐치 더 웨이브 포스트 토너먼트 어워드 올해의 베스트 퍼포먼스'''}}} || ||<:> [[후지모토 츠카사]][br](2014) ||<:> {{{+1 → }}} ||<#FFFFA1><:> '''{{{#000 원더풀 월드 패어리 패밀리 [br](2015)}}}''' ||<:> {{{+1 → }}} ||<:> 이시구로 [br] [[오자키 마유미]][br](2016) || [[분류:여성 프로레슬러]][[분류:일본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일본 여배우]][[분류:1979년 출생]][[분류:2001년 데뷔]][[분류:코가시(이바라키)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