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64, #003764 20%, #003764 80%, #003764)" '''[[교육부장관|{{{#fff 대한민국 제8대 문교부 장관}}}]][br]{{{#fff {{{+1 오천석}}}[br]吳天錫 | Oh Cheon-seok}}}'''}}}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천석 장관.png|width=100%]]}}} || ||<|2> '''출생''' ||[[1901년]] [[11월 12일]] || ||[[평안남도]] [[강서군|함종군]] || ||<|2> '''사망''' ||[[1987년]] [[10월 31일]] (향년 87세)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북아현동]] || || '''본관''' ||[[해주 오씨]] || ||<|2> '''재임기간''' ||제8대 문교부 장관 || ||[[1960년]] [[8월 23일]] ~ [[1961년]] [[5월 2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김성남 || || '''자녀''' ||슬하 1남 1녀 || || '''학력''' ||[[아오야마가쿠인대학|아오야마 학원 중학부]] {{{-2 (졸업)}}}[br][[코넬대학교]] {{{-2 (학사)}}}[br][[노스웨스턴 대학교]] {{{-2 (석사)}}}[br][[콜럼비아 대학교]] {{{-2 (철학 / 박사)}}} || || '''경력''' ||[[보성전문학교]] 교수[br]코리아타임즈 창간인[br][[미군정]] 문교부 차관[br][[미군정]] 문교부 장관[br]대한교육연합회 회장[br]한국교육학회 회장[b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장[br]주 멕시코 대한민국 대사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교육자로, [[서울대학교]] 창설과 학제 채택 등 정부 수립 초기 대한민국 교육 행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일생 == 1901년 [[평안남도]] [[강서군]] 함종면에서 목사 오기선(吳基善)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부친은 현대식 소학교를 세우고 교장이 되었다가 [[독립협회]]와 [[신민회]]에 가담하여 독립운동에 참여하였으며, 서울로 올라가 감리교신학교에서 수학하여 목사가 되었다. 부친의 임지(任地)인 일본 동경으로 가 청산학원 중학부를 졸업하고 1919년 인천 영화여학교에 초등학교 교사로 취임하였다. 이후 미국에 유학하여 [[코넬대학교]]에서 학사학위,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고, 1931년 [[콜럼비아 대학교]]에서 `민족 동화 수단으로서의 교육 : 한국에 대한 일본의 교육 정책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는 이 글에서 일본의 식민 정책이 우리 민족을 동화하기 위하여 교육을 어떤 수단으로 사용하였는가를 폭로하였고, 일본의 교육정책 뿐 아니라 영국, 프랑스 등의 식민지 교육 정책도 다루었다. 1932년 귀국하여 1936년까지 [[보성전문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영어, 철학개론, 심리학개론 등을 가르쳤다. 후에 그는 [[백낙준]] 등 몇몇 미국 유학 동지들과 함께 영자신문 The Korea Times를 발간하였고 그러던 중 미군정 교육 책임자 락카아드 대위의 초청을 받는다. 군정의 문교차장(1945~1947), 문교부장(1947~1948)을 역임하면서 문을 닫았던 학교의 개교, 한글 교과서의 제작 및 배포, 국립 서울대학교 창설, 교육 심의회 구성, 6-3-3-4제의 채택, 그리고 새교육운동의 추진 등의 활동을 하였다. 1950년 대한교육연합회 회장, 1955년 한국교육학회 회장, 그리고 [[이화여대]] 대학원장으로 취임하여 교육일선에서 활동하였다. 1960년 제2공화국의 [[교육부장관|문교부장관]]으로 다시 임명되어 재임 8개월 동안 교육의 민주화 추진, 교육대학신설, 향토학교운동의 전개, 교과서 개편 등의 활동을 하였다. [[5.16 군사정변]] 이후 모든 공직에서 물러나 미국 일리노이, 피바디 대학 등에서 비교교육학 강의를 하였고 이후 1964년부터 3년간 주멕시코 대사를 역임한 것을 마지막으로 공직생활을 마치고 <민족중흥과 교육>, <한국신교육사>, <교육철학신강>, <발전한국의 교육이념탐구> 등의 저술을 남겼으며, 1987년 타계하였다. [[리더스 다이제스트]]에 실린 [[수필]]을 번역해 1970년대에 외국 번역 수필집 [[https://duga.tistory.com/863|사랑은 아름다워라]]를 낸 적이 있다. 한국에 [[노란 리본|노란 손수건]] 이야기와 [[니트로글리세린|아버지의 손]]을 소개한 인물이기도 하여, 특히 노란 손수건은 오랫동안 이 이야기를 오천석이 지은 줄 알았다는 후문이 전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장면 내각의 국무위원)] [include(틀: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강서군 출신 인물]][[분류:1901년 출생]][[분류:1987년 사망]][[분류:장면 내각/인사]][[분류:문교부 장관]][[분류:코넬 대학교 출신]][[분류:노스웨스턴 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학자 출신 정치인]][[분류:해주 오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