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wiki style="margin: -0px -5px;" [[싱가포르 MRT|[[파일:싱가포르 MRT 로고.svg|height=50&align=left]]]]}}}[[싱가포르 MRT|{{{#facb29 싱가포르 MRT}}}]][br]{{{#fff '''{{{+2 오차드}}}'''}}}|| ||<:><-2> [[파일:싱가포르 MRT 4호선.svg|height=15px]][br][[주롱이스트역|{{{-2 {{{#585858,#dddddd 주롱이스트 방면}}}}}}]][br][[뉴턴역|뉴 턴]][br]← 1.2 ㎞||<-2><:>[[싱가포르 MRT 남북선|{{{#ffffff 남북선[br]{{{-2 (NS22)}}}}}}]]||<:><-2> [[파일:싱가포르 MRT 5호선.svg|height=15px]][br][[마리나사우스피어역|{{{-3 {{{#585858,#dddddd 마리나사우스피어[br]방면}}}}}}]][br][[서머셋역|서머셋]][br] 1.0 ㎞ →|| ||<:><-2> [[파일:싱가포르 MRT 13호선.svg|height=15px]][br][[우드랜즈노스역|{{{-2 {{{#585858,#dddddd 우드랜즈노스[br]방면}}}}}}]][br][[오차드볼리바드역|오차드[br]볼리바드]][br]← 1.0 ㎞||<-2><:>[[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ffffff {{{-1 톰슨[br]이스트코스트선}}}[br]{{{-2 (TE14)}}}}}}]]||<:><-2> [[파일:싱가포르 MRT 14호선.svg|height=15px]][br][[가든즈바이더베이역|{{{-3 {{{#585858,#dddddd 가든즈바이더베이[br]방면}}}}}}]][br][[그레이트월드역|그레이트월드]][br] 1.0 ㎞ →|| ||<-6> [include(틀:지도, 장소=Orchard MRT Station, 너비=100%, 높이=300px)] || ||<-6> {{{#fff '''다국어 표기'''}}} || ||<-2> 영어 ||<-4> Orchard || ||<-2> 중국어(간체) ||<-4> 乌节 || ||<-2> 타밀어 ||<-4> ஆர்ச்சர்ட் || ||<-6> {{{#fff '''주소'''}}} || ||<-2> {{{#fff 남북선}}} ||<-4> 437 Orchard Road[br]Singapore 238878 || ||<-2> {{{-1 {{{#fff 톰슨[br]이스트코스트선}}}}}} ||<-4> 301 Orchard Boulevard[br]Singapore 237974 || ||<-6> {{{#fff '''승강장 구조'''}}} || ||<-2> {{{#fff 남북선}}} ||<-4><|2> 복선 [[섬식 승강장]] || ||<-2> {{{-1 {{{#fff 톰슨[br]이스트코스트선}}}}}} || ||<-6> {{{#fff '''운영 기관'''}}} || ||<-2> {{{#fff 남북선}}} ||<-4><|2> [[SMRT#s-2.1|SMRT Trains]] || ||<-2> {{{-1 {{{#fff 톰슨[br]이스트코스트선}}}}}} || ||<-6> {{{#fff '''개업일'''}}} || ||<-2> {{{#fff 남북선}}} ||<-4> [[1987년]] [[12월 12일]] || ||<-2> {{{-1 {{{#fff 톰슨[br]이스트코스트선}}}}}} ||<-4> [[2022년]] [[11월 13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S22_TE14_Orchard_MRT_Exit_13_20230721_132546.jpg|width=100%]]}}}|| || {{{#fff '''[[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ffffff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 역사'''}}} || [목차] [clearfix] == 개요 == [[싱가포르 MRT 남북선]] 과 [[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의 역이다. 톰슨-이스트코스트선은 [[2022년]] 11월 13일에 개통했다. 오차드 로드 한 가운데에 있으며 역명도 오차드 로드에서 유래했다. 오차드(Orchard)는 원래 [[과수원]]을 뜻하는 영어 단어인데 [[1965년]] 싱가포르 독립 당시 이 일대는 원래 과수원이었다. 그리고 [[인도계 싱가포르인]]들이 대거 살았다. 그러다가 독립 후 리콴유가 HDB를 개발하면서 인도인들을 모두 HDB에 타 인종들과 함께 모여 살도록 조치했으며 과수원과 집들은 고층빌딩으로 바뀌어서 이 일대는 오늘날 번화한 상업지구가 되었다. == 여담 == 여담으로 근처에 쇼핑몰이 많다. 이 역과 [[서머셋역]] 사이에는 오차드 로드를 중심으로 빼곡하게 [[호텔]]과 [[백화점]]이 위치해 있다. 호텔은 가장 유명한 곳 중 하나가 오차드 힐튼 호텔이며 [[백화점]]으로는 니안시티(義安城, Ngee Ahn City), 중국식 지붕으로 유명한 탕린 플레이스(Tanglin Place)[* [[홍콩]]에서 영화사업으로 유명한 쇼브라더스의 창업주 런런쇼가 [[홍콩]]이 [[1997년]] [[중국]]에 반환될 시점 투자해서 세운 곳이다.] 그리고 지금은 좀 쇠락한 일본계 백화점 다카시야마 등이 있다. 그리고 고급 브랜드가 늘어선 파라곤 백화점도 있다. 부킷티마와 가까운 곳이며 오차드 로드 일대 콘도에 거주하는 한인들도 많아 싱가포르의 한인들이 죄다 여기 모인다. 한국계 여행사나 패션 관련 회사 등도 여기 사무실을 많이 차렸다. 싱가포르에서는 업종에 따라 사무실 얻는 곳이 갈리는데 해운업 및 무역업 등은 항만시설이 있는 탄종파가, 로펌과 회계법인은 금융가인 래플즈 플레이스가 가깝고 법원이 있는 [[차이나타운]]과 클락키, 시티홀 일대에, 금융 관련사인 [[은행]], [[증권사]] 등과 은행을 고객으로 하는 로펌들은 싱가포르 금융가 래플즈 플레이스에, 그리고 보험사들과 재보험사들은 마리나베이 일대에 자리잡았다. 당연히 사람들의 패션도 달라서 오차드 일대에선 캐쥬얼하게 다니는 직장인이 많고 래플즈 플레이스와 차이나타운 일대에선 정장을 잘 차려입은 사람이 많다. 이 역과 서메셋역 사이는 드리프트 구간인데 소음이 매우 심하다. == 승강장 == === MRT 남북선 === [[파일:NS22_Orchard_MRT_Platform_A_20220702_221849.jpg|width=580]] ||<-4> ↑ [[뉴턴역|뉴턴]] || || ㅣ || {{{#ffffff A}}} || {{{#ffffff B}}} || ㅣ || ||<-4> [[서머셋역|서머셋]] ↓ || || {{{#ffffff A}}} ||<|2> [[싱가포르 MRT 남북선|MRT 남북선]] || [[뉴턴역|뉴턴]]·[[비샨역|비샨]]·[[마실링역|마실링]]·[[주롱이스트역|주롱이스트]] 방면 || || {{{#ffffff B}}} || [[서머셋역|서머셋]]·[[도비곳역|도비곳]]·[[시청역(싱가포르)|시티 홀]]·[[마리나사우스피어역|마리나사우스피어]] 방면 || == 승강장 == ===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 === [[파일:Orchard-MRT-Station-Nov22-2.jpg|width=580]] ||<-5> ↑ [[그레이트월드역|그레이트월드]] || || ㅣ || {{{#ffffff C}}} || {{{#ffffff D}}} || ㅣ || ㅣ || ||<-5> [[오차드볼리바드역|오차드볼리바드]] ↓ || || {{{#ffffff C}}} ||<|2> [[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 || [[그레이트월드역|그레이트월드]]·[[우트램파크역|우트램파크]]·[[마리나베이역|마리나베이]]·[[가든즈바이더베이역|가든즈바이더베이]] 방면 || || {{{#ffffff D}}} || [[오차드볼리바드역|오차드볼리바드]]·[[칼데콧역|칼데곳]]·[[메이플라워역|메이플라워]]·[[우드랜즈노스역|우드랜즈노스]] 방면 || [[분류:싱가포르의 철도역]][[분류:1987년 개업한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