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RA상 최우수 장애물 경주마)] [include(틀:신세기의 명마 베스트 100)]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オジュウチョウサン4-scaled.jpg|width=100%]]}}} || ||<-2> 이름 || オジュウチョウサン[br]Oju Chosan || ||<-2> 출생 || [[2011년]] [[4월 3일]] ([age(2011-01-01)]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갈색 (鹿毛, 카게) || ||<-2> 아비 || [[스테이 골드]] || ||<-2> 어미 || 섀도우 실루엣(シャドウシルエット) || ||<-2> 외조부 || [[심볼리 크리스 에스]] || ||<-2> 생산자 || 반도 목장 || ||<-2> 마주 || (주) 쵸산 || ||<-2> 조교사 || 오가사 노리히로 (미호)[br]→와다 쇼이치로 (미호) || ||<-2> 성적 || 40전 '''20승'''[* 1978년 47전 20승을 기록한 야마부키 오(ヤマブキオー,1970) 이 후 처음 나온 중앙 20승 경주마.] (20-2-4-14)[br]8전 2승[*평지][br]31전 18승[*장애물] || ||<-2> 총상금 || 9억 4106만 2000엔[br]2592만엔[*평지][br]9억 1514만 2000엔[*장애물] || ||<|3> 주요[br]우승 || J・G1[* 장애물 경주의 그레이드 표기. 참고로 JRA에서만 사용되는 독자적인 그레이드 표기다.] ||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2016~2020, 2022)'''[br][[나카야마 대장해]](2016, 2017, 2021) || || J・G2 || 도쿄 하이 점프(2016, 2017)[br]한신 스프링 점프(2017, 2019, 2020) || || J・G3 || 도쿄 점프 스테이크스(2016) || ||<-2> 주요 수상 || JRA상 최우수 장애물 경주마 (2016~2018, 2021, 2022)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2011101125/|[[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or.jp/horse/0001141176/|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오쥬.jpg|width=100%]]|| || '''넘어가는, 왕.[br]{{{-2 超えていく、王者。[* 왕의 아들이라는 의미의 왕자는 [ruby(王子, ruby=おうじ)](오우지)라고 쓰고 읽는데, 여기서 말하는 왕자는 [ruby(王者, ruby=おうしゃ)](오우샤)라고 쓰고 읽으며 왕, 챔피언이라는 뜻을 가진다.]}}}''' || || '''{{{#white 히어로 열전 No.82}}}''' || >참패도 있었다, 고장도 있었다, 고전도 있었다. >{{{-2 惨敗もあった、故障もあった、苦戦もあった。}}} > >그 장애물을 넘을 때마다 강해졌다. >{{{-2 その障壁を越えるたび強くなった。}}} > >마음이 통하는 파트너와, 서로의 재능을 믿고, >{{{-2 心通うパートナーと、互いの才能を信じ、}}} > >단련, 풀어냈다. >{{{-2 鍛え、解き放った。}}} > >기록을 새기고, 기억을 칠하며, >{{{-2 記録を刻み、記憶を彩り、}}} > >인마일체, 나아가는 비월의 왕도. >{{{-2 人馬一体、進む飛越の王道。}}} > >넘어가는 그 용기를, 그 투지를, >{{{-2 超えていくその勇気を、その闘志を、}}} > >[[스테이 골드|사랑하지 않고는 배길 수 없다.]] >{{{-2 愛さずにはいられない。}}} >---- >JRA 히어로 열전 일본의 경주마. [[골드 쉽]]의 아비로 유명한 [[스테이 골드]]의 자마다. 장애물 경주마로, 일본 경마 사상 최초로 JRA G1 9승[* 이전의 G1 9승마 [[아몬드 아이]]의 경우 해외 원정이 있어서 JRA G1 승리는 8회다.]의 대기록을 달성한 말이다. 마명의 오쥬는 마주의 아들이 어렸을 때 1인칭 표현 [[오레]]를 오쥬라고 발음한 것에서 따온 것이다. 관명은 쵸산(チョウサン)이며 마주 명칭도 쵸산이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6>[[스테이 골드]][br]{{{-2 ステイゴールド[br]1994}}}||<|3>'''[[선데이 사일런스]]'''[br]{{{-2 Sunday Silence[br]1986}}}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헤일로(말)|헤일로]]'''[br]{{{-2 Halo}}}|| ||위싱 웰[br]{{{-2 Wishing Well}}}|| ||<|3>골든 새시[br]{{{-2 ゴールデンサッシュ[br]1988}}}|| ||[[딕터스]][br]{{{-2 Dictus}}}|| ||다이나 새시[br]{{{-2 ダイナサツシユ}}}|| ||<|4>섀도우 실루엣[br]{{{-2 シャドウシルエット[br]2005}}}||<|2>[[심볼리 크리스 에스]][br]{{{-2 シンボリクリスエス[br]1999}}}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크리스 에스[br]{{{-2 Kris S.}}}|| ||티 케이[br]{{{-2 Tee Kay}}}|| ||<|2>유와 조이너[br]{{{-2 ユーワジョイナー[br]1990}}}||밀 조지[br]{{{-2 Mill George}}}|| ||사시마 썬더[br]{{{-2 サシマサンダー}}}|| ||<-3>* 헤일 투 리즌 4×5 9.375%|| || 주요 전형제[* 중상마만 서술.] |||| 케이아이 쵸산^^(2010)^^ || 전형제인 케이아이 쵸산은 2013년 [[라디오NIKKEI상]](G3)을 우승했다. == 커리어 == 2013년 신마전으로 데뷔했으나 2번의 신마전 승리 실패 그리고 부상으로 인해 무려 364일의 휴식을 거친 뒤 장애물로 전향, 장애물에서도 미승리전을 4전 만에 뚫고 2016년 초반까지는 그저 그런 커리어를 보냈다. 그러나 칙 피스를 달고 귀 가리개를 빼면서 치명적인 약점이였던 스타트 문제가 해결되었고, 2016년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우승 이후 2020년까지 장애물 중상 13연승을 찍는 등 말 그대로 장애물 경마의 레전드로 군림했다. || [youtube(o25axVucCCg)] || || 2016년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영상 || 16년도까지 장애물 중상 승리 없이 오픈마에 불과했던 오쥬 쵸산은 16년도부터 좋은 모습을 보여주기 시작한다. 기수인 [[이시가미 신이치]]의 의견에 따라 멘코의 귀 가리개를 없애자 출발이 늦는 점을 보완할 수 있었고, 16년도 첫 레이스인 4세 이상 오픈전에서 2착으로 들어오게 된다. 약 한 달 뒤에 개최된 상반기 JG1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에 출주. 15년도 최우수 장애물마 [[업 투 데이트]]가 부상으로 회피하고 중상마는 총 10마리 중 사나시온, 티리안 퍼플 두 마리 뿐인 가운데 2번 인기를 받는다. 도주하는 사나시온을 마지막 직선에서 엄청난 말각으로 추월, 3.5마신 차이로 압승한다. 2착 사나시온과 3착의 차이는 9마신으로 그야말로 격이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 승리로 오쥬 쵸산, 기수 [[이시가미 신이치]] 모두 첫 JG1 제패를 달성한다. || [youtube(5RVV35qQZ9A)] || || 2016년 [[나카야마 대장해]] 영상 ||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를 우승한 후 JG3 도쿄 점프 스테이크스, JG2 도쿄 하이 점프를 우승하며 장애물 중상 3연승으로 하반기 JG1 [[나카야마 대장해]]를 맞이한다. 16년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에서는 출주하지 못했던 [[업 투 데이트]]가 출주해 왕좌 탈환의 대결이 성사되었다. 15년도 [[나카야마 대장해]]에서 오쥬 쵸산이 [[업 투 데이트]]에게 패배한 뒤 성사된 첫 대결이다. 최종 직선에서 두 마리의 일기토가 되었지만 오쥬 쵸산의 압도적인 말각으로 차이가 점점 벌어져 9마신의 압승을 거뒀다. 2착과 3착은 5마신 차, 그 이하는 대차로 벌어져 그야말로 오쥬 쵸산의 독무대였다. 이 승리로 오쥬 쵸산은 16년도 JG1 춘추 연패를 달성, 16년도 최우수 장애물마로 선출된다. || [youtube(bd62nBR8jF8)] || || 2017년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영상 || 장애물계의 새로운 왕자가 된 오쥬 쵸산은 17년도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에서도 1.3배의 압도적 인기를 받는다. 2번 인기는 설욕을 다짐하는 업 투 데이트가 4.4배로 지지받았다[* 17년 3월의 한신 스프링 점프에서도 오쥬 쵸산에게 패배했다.]. 하지만 마지막 코너에서 선두에 선 오쥬 쵸산 옆에는 [[업 투 데이트]]가 아닌 3번 인기의 산레이 듀크였다. 그마저도 최종 직선의 마지막 장애물을 넘은 뒤부터 점점 격차가 벌어졌고[* 채찍조차 쓰지 않았다], 3.5마신 차이로 압승하게 된다. [[업 투 데이트]]는 2착과 크게 벌어져 8마신 차의 3착으로 들어오게 된다. 하지만 이 레이스 후 부상이 발견되어 전치 6개월 판정을 받아, 하반기의 나카야마 대장해에 출주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도 있었다.[* 수술을 잘 마치고 회복도 순조로워 10월에 도쿄 하이 점프로 복귀한다.] || [youtube(YLeEvsE2LN8)] || || 2017년 [[도쿄 하이 점프]] 영상 || || [youtube(r_Z20AxXPHE)] || || 2017년 [[나카야마 대장해]] 영상 || JG1 3연승을 포함, 장애물 중상 7연승을 달리고 있는 오쥬 쵸산이 맞이한 17년도 [[나카야마 대장해]]. 2번째 춘추 연패와 JG1 4연패의 기록이 걸려 있는 레이스였다. 1.1배의 압도적인 인기를 받은 오쥬 쵸산의 뒤에는 또다시 [[업 투 데이트]]가 있었다. 경주 전부터 [[업 투 데이트]] 진영에서는 대도주를 선언했고, 선언대로 레이스에서 10마신 이상의 차이를 벌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최후방의 말이 장애물을 넘을 때 이미 업 투 데이트는 그 다음 장애물에 있는 수준이었다.] 마지막 코스인 최외곽 잔디 코스의 백스트레치에서부터 오쥬 쵸산이 가속해 서서히 따라잡아갔다. 4코너를 지나면서부터는 뒤와 10마신 정도 벌어져 완전히 두 마리의 일기토가 되었고, 4000m를 1위로 달린 업 투 데이트의 입장에서는 애석하게도 마지막 100m를 남기고 오쥬 쵸산이 추월, 반 마신 차이로 승리를 거뒀다. 이 승리는 1991년 심볼리 몽트뢰의 기록을 26년 만에 깬 4분 36초 1의 레코드였다. 이 승리로 JG1 춘추 연패 2회를 포함해 장애물 중상 8연승을 달성하고, 2년 연속 최우수 장애물마로 선출되게 된다. || [youtube(fvYEa6JhfFU)] || || 경마 명승부 열전 - 사상 최고의 [[나카야마 대장해]] 영상 || 이 레이스는 2022년 10월에 발표된, 일본 경마협회(JRA) 공식 홈페이지에서 실행한 "경마 명승부 열전 베스트10 투표"에서 수많은 평지 잔디의 명승부들을 제치고 2위에 뽑혔다. 참고로 3위가 [[다이와 스칼렛]]과 [[보드카(말)|보드카]]의 장렬한 일기토가 펼쳐진 2008년 천황상 가을, 1위가 GI 9관마이자 트리플 티아라 수상마 [[아몬드 아이]]와 부자 3관마 달성의 [[콘트레일]], 무패 트리플 티아라 수상마인 [[데어링 택트]]의 삼관마 3두의 결전이었던 2020년 재팬컵. || [youtube(U5mdOPu-pXs)] || || 2018년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영상 || 이듬해 18년 상반기 JG1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에도 출주. 이곳에서 또다시 [[업 투 데이트]]와 만난다. 오쥬 쵸산은 전년도 12월의 [[나카야마 대장해]] 이후로 휴식을 취했지만, [[업 투 데이트]]는 3월 [[한신 스프링 점프]]에 출주해 1착. 착차는 무려 8마신 차로, [[업 투 데이트]]가 실력이 부족한 것은 아니라는 증명을 해보였다. 그럼에도 이 18년도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에서는 오쥬 쵸산의 대차 승리. 그것도 레코드 승리였다. 이로써 17년 [[나카야마 대장해]]에서의 레코드 승리, 이번 18년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의 레코드 승리로 모든 JG1의 레코드 기록을 보유하게 된다.[* 아직까지 이 레코드는 전부 깨지지 않았다] 그리고 이 승리로 JG1 5연승을 달성하고 기존 [[티엠 오페라 오]]의 JRA 최다 중상 연승 기록 8승을 넘어선 JRA 최다 중상 연승 9승을 기록, 갱신한다. 또한 2007년 [[카라시]] 이래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3년 연속 제패를 달성한다. 그리고 16, 17년도에 이어 최초로 3년 연속 최우수 장애물마로 선출되었다. 획득 상금에서도 [[고카이]]의 5억 1074만엔을 제치고 5억 3265만엔을 획득해 역대 1위로 올라선다. || [youtube(96E356TlAIs)] || || 2018년 [[아리마 기념]] 영상 || 그리고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3연패 이후, 마주의 의견에 따라 2018년 하반기는 [[아리마 기념]] 도전을 위해 평지로 복귀한다. 카이세이잔 특별과 남부 특별 두 조건전 레이스를 연달아 승리하고 [[아리마 기념]]으로 향한다. 기수는 [[타케 유타카]]로, 5번 인기를 받지만 결과는 9착으로 패배했다. 하지만 위로는 [[레이 데 오로]], [[슈발 그랑]], [[미키 로켓]], [[키세키]], [[사토노 다이아몬드]] 등 잔디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뒀던 말들이 대거 포진해 있어 첫 평지 G1 도전치고는 나쁘지 않은 결과였다고 할 수 있다. || [youtube(AvB1jmvz3I8)] || || 2019년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영상 || 아리마 기념 패배 후, G3 다이아몬드 스테이크스에 출주하려 했으나 회피하고 JG2 [[한신 스프링 점프]]에 복귀한다. 단승 1.1배의 압도적 인기를 받고, 18년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이래 11개월 만의 장애물 경주였으나 2.5마신 차이로 승리한다. 긴 공백 기간을 거쳤음에도 건재함을 보여준 오쥬 쵸산은 그대로 2019년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에 출주한다. 오쥬 쵸산에게 밀려 계속해서 2착을 기록했던 [[업 투 데이트]]는 2018년 [[나카야마 대장해]]에서 낙마, 부상을 입고 은퇴해 오쥬 쵸산에게 대적할만한 적수가 없었다. 그렇게 JG1임에도 불구하고 1.1배의 압도적 인기[* 오쥬 쵸산이 없던 2018 나카야마 대장해를 우승한 니혼 필로 바론이 무려 9.0배의 2번 인기였다]를 받은 오쥬 쵸산은 최종 직선의 언덕길에서 무서운 가속을 보여주며 우승했다. 이로써 일본 최초의 동일 중상 및 동일 G1 4연패[* 그랜드 마치스의 1974~75 나카야마 대장해 춘추 2연패로 인한 4연패 달성이 있지만, 당시에는 1년에 봄, 가을에 1번씩 나카야마 대장해가 2회 개최되었기 때문에 4년 연속 동일 G1 제패는 오쥬 쵸산이 최초다.], 일본 최초의 G1 6연승[* 평지 경주를 제외한 장애물 경주 한정. 그레이드제 도입 이전 팔대경주 시절을 포함한다면 [[신잔]]의 G1 6연승이 최초다. 다만 팔대경주 사이사이 오픈전 등에서 2착으로 패배하는 경우가 있다. 그레이드제 도입 이후로 본다면 [[티엠 오페라 오]]의 6연승이지만, 마찬가지로 마지막 6연승째의 2001년 천황상 봄 직전에 산케이 오사카배를 패배했다. 오쥬 쵸산의 [[아리마 기념]] 패배를 포함하게 된다면 [[티엠 오페라 오]]와 5연승으로 타이 기록.], 중상 11승 및 11연승은 JRA 최초였다.[* 2018년 [[아리마 기념]] 패배 및 평지 오픈전 제외의 경우. 일본 전체에서는 [[오구리 캡]]의 중상 11연승이 더 먼저 달성되었으나, 로컬 중상 경주가 포함되어 있다. 아리마 기념 패배로 인한 기록인 중상 9연승은 JRA에서는 최초, 일본 전체에서는 교류전을 포함한 [[스마트 팔콘]]의 9연승이 최초.] 이때 세운 기록들은 전부 최초이자, 현재까지도 오쥬 쵸산이 자기 기록을 갱신한 것 외에는 갱신되지 않았다. >'''일본 역대 최초 동일 G1 4연패'''[* 일본에서는 중상 기록조차 없다. 이후 지방에서는 [[오메가 퍼퓸]]이 도쿄대상전 4연패를 달성.] >'''JRA 역대 JG1 최다승(6승)''' >'''JRA 역대 G1 최다연승(6승)''' >'''JRA 역대 중상 최다승(11승)''' >'''JRA 역대 장애물 중상 최다연승 (11연승)''' >'''JRA 역대 최다연승 (11연승)''' >'''JRA 역대 장애물 경주 획득 상금 1위''' >'''JG1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레코드 및 나카야마 대장해 레코드''' || [youtube(KW6T7VE0U4s)] || || 2020년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영상 || 19년도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를 승리하고 또다시 잔디에 도전한 오쥬 쵸산이었지만 조건전인 로쿠샤 스테이크스에서 10착, G2 [[아르헨티나 공화국배]]에서 12착, G2 [[스테이어즈 스테이크스]]에서 6착으로 패배하며 평지에서의 꿈은 무산되었다. 그렇게 2020년이 찾아와 다시 장애물로 복귀한 오쥬 쵸산은 약 11개월만의 장애물 경주인 한신 스프링 점프에서 여전히 뛰어난 말각을 보여주며 9마신 차의 압승을 거둔다. 기세를 이어 도전한 5번째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19년도에 동일 G1 4연패라는 전대미문의 기록을 세운 오쥬 쵸산의 5연패 도전에 모두가 주목했다. 압도적인 1.1배의 인기를 받았고, 여전한 실력을 선보이며 2착과 3마신, 그 아래로 2-3착 대차, 3-4착 대차의 압도적인 레이스를 펼친다. 4착과는 최소 23마신의 차를 낸 셈. 레이스 도중 전체 장애물 경주 중 가장 난이도 높은 장애물인 큰 생울타리(大生垣)[* 높이 1.6m, 폭 2.4m로 가장 높고 넓다.]를 넘고 조금 휘청거리는 모습을 보였지만 무사히 레이스를 마쳤다. 이 당시 평균 은퇴 연령을 한참 넘은 9세였기 때문에 모든 팬들이 은퇴해야한다는 의견이 대다수였고, 실제로 이 경주 중 마지막 장애물에서 [[신군 마이클]][* 오쥬 쵸산이 없던 19년 도쿄 하이 점프, 나카야마 대장해를 승리하고 19년도 최우수 장애물마로 선출되기도 했다.]이 전도되어 즉사했다. 2020년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를 승리함으로써 오쥬 쵸산은 JRA 최초였던 자신의 기록을 갱신하게 된다. >'''일본 역대 최초, 세계 3번째 동일 G1 5연패'''[* 일본에서는 중상 기록조차 없다.] >'''JRA 역대 JG1 최다승(7승)''' >'''JRA 역대 G1 최다연승(7승)''' >'''JRA 역대 중상 최다승(13승)''' >'''JRA 역대 장애물 중상 최다연승 (13연승)''' >'''JRA 역대 최다연승 (11연승)''' >'''JRA 역대 장애물 경주 획득 상금 1위''' >'''JG1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레코드 및 나카야마 대장해 레코드''' || [youtube(bpdRElyZFfE)] || || 2021년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영상 || 2020년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승리 이후, 오쥬 쵸산에게 패배가 찾아온다. 2020 도쿄 점프 스테이크스에서 레이스 전개는 무난했으나 평소 보여주던 말각이 보이지 않으며 3착으로 패배[* 단승 1.1배의 인기를 받았는데, 중상에서 단승 1.1배의 인기가 패배한 것은 2012년 [[한신대상전]]의 [[오르페브르]] 이래 처음이다.]. 4년 만에 장애물에서 패배를 맛보았다. 그리고 이듬해 2021년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에서 세계 최초의 동일 G1 6연패에 도전했으나 5착의 패배.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의 마지막 잔디 대외 코스에서 평소같이 가속해 앞으로 빠져나오는 모습이 아닌 점점 뒤처지는 모습을 보이고 마지막 말각도 발휘되지 않는 모습을 보여 나이에 의한 한계가 온다는 이야기가 많았다. 심지어는 왼쪽 앞다리에 박리골절이 발병해 가을까지 휴양을 떠난다. 팬들은 모두 은퇴를 바랐지만, 그럼에도 현역 생활을 지속을 발표했고 2021 도쿄 하이 점프에 복귀했지만 여전히 강력했던 말각을 보이지 못하며 다시 3착으로 패배한다. || [youtube(MwQjVUMy-zc)] || || 2021년 [[나카야마 대장해]] 영상 || 3연패 이후 도전한 2021년 [[나카야마 대장해]]. 대장해에 출주하는 것은 2017년 이래 4년 만이었다. 잔디 외곽 코스, 그리고 마지막 4코너에서 선두에 선 뒤 그대로 차를 벌리며 승리, 화려한 부활을 보여주었다. 무려 1년 8개월 만의 값진 승리. [[이시가미 신이치]] 기수도 골인 직후 감격해 하는 모습을 보였고, 2착 [[블라종 다무르]]의 [[니시타니 마코토]] 기수가 등을 두드려주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코로나로 인해 무관중이던 지난 몇 년과는 달리 적은 인원이긴 하지만 경마장이 개방되어 오쥬 쵸산의 부활에 팬들이 기뻐하며 축복해 주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승리는 진영과 팬들 모두 기쁘지만, 문제는 현재 10살이라 은퇴를 해야 하지 않나라는 이야기가 많다. 오쥬 쵸산의 구무원 또한 [[https://www.youtube.com/watch?v=oZciDMFw118|인터뷰(1:29부터)]]에서 더 이상 경주에 나가면 몸에 무리가 간다는 걸 말 자신도 아는 것 같다며 우려를 표했다. 사실상 마주를 제외하고는 전부 은퇴를 바라고 있다. 하지만 마주는 현역 지속을 택했고, 결국 방목 후 2022년 3월 12일 JG2 한신 스프링 점프 스테이크스에서 복귀하고 이후 4월 16일의 JG1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를 목표로 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한신 스프링 점프 스테이크스에서 안정적인 선행으로 무난히 3착으로 들어와 후배들을 제치고 누적 상금와 상관 없이 또다시 JG1 우선 출주권을 획득하였다. || [youtube(sE9ZoqoKYXA)] || || 2022년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영상 || 그리고 2022년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를 또 다시 우승하면서 어느덧 단일 대회 6승을 기록하였다. G1 전체로 따지면 9승이며, [[아몬드 아이]]와 동일하다. 장애물 중상 전초전에서 힘 많이 안 쓰고 무난하게 3착으로 누적 상금 상관 없이 우선 출주권을 획득해 JG1에서 엄청난 말각으로 압도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는 노익장이다.[* 사실 오쥬 쵸산 입장에선 다른 말보다 부담 중량을 2kg 더 받는 일반 장애물 중상보다 공평하게 모두가 부담 중량 63kg을 받는 JG1 쪽이 더 유리하다.] 이후 진영에서는 방목을 거쳐 연말의 나카야마 대장해를 목표로 한다고 발표했다. 이번에는 과연 제대로 은퇴할 수 있을지... 먼저 전초전으로 10월 16일 열리는 도쿄 하이 점프 (JG2)에 출주한다. 그러나 도쿄 하이 점프에서 '''9착'''으로 참패했다. 오쥬 쵸산이 장애물 경주에서 게시판에도 들지 못하는 패배를 기록한 건 2015년 나카야마 대장해 6착 이후로 '''6년 10개월''' 만이다.[* 그 사이에 기록한 5착 밖 순위는 모두 평지 경주 출전이었다.] 최종직선 전의 점프에서 크게 실속하는 등 컨디션이 정상이 아닌 모습을 보였고, 기수도 최종직선에서 채찍을 꺼내들었지만 오쥬의 컨디션 이상을 직감했는지 채찍을 치지 않고 그대로 천천히 결승점을 통과시켰다. 2022년 10월 17일, 드디어 12월 24일 [[나카야마 대장해]]를 마지막으로 2013년 신마전을 부터 약 9년이라는 아주 긴 현역 기간을 마치고 은퇴를 예고했다. 팬들은 이기든 지든 상관없으니 무사히 돌아왔으면 하는 편이다.[* 여담으로 2022년에는 오쥬 쵸산을 포함해 오랜 기간 달렸던 경주마들이 대거 은퇴했다. [[마카히키]], [[에어 스피넬]], [[글로리 베이즈]], [[오메가 퍼퓸]], [[추와 위저드]] 등.] 은퇴 이후에는 고향인 [[히다카초(홋카이도)|히다카초]]의 반도 목장(坂東牧場)에서 종마로서 활동할 예정인데, 보통 장애물에서 활약한 말들은 은퇴 후에는 종마보다는 승마나 훈련마로 전향하는데 비해 오쥬 쵸산은 특이한 케이스.[* 승마나 훈련마로 쓰이는 말들은 안전 상의 문제로 기성이 온순한 편인데, 오쥬 쵸산은 기성이 끔찍하게 나쁘기로 이미 악명이 쫙 퍼졌다.] 12월 24일 열린 나카야마 대장해에서 6착으로 패했지만 무사히 완주하는 데 성공했다. 팬들은 오쥬 할배(?)가 부상 없이 기나긴 커리어를 마치며 은퇴한다는 사실에 의의를 두며 기뻐하는 중이다. 이때 우승한 말이 [[니시노 데이지]]인데 이 말은 무려 니시노 플라워와 세이운 스카이에서 낳은 딸이 아그네스 타키온과 교배해 낳은 니시노 히나기쿠의 자식이다. JRA상 수상마 선정에는 하반기 성적이 더 중요하게 작용하나, 지금까지의 성적이 압도적이고 올해를 끝으로 은퇴하기 때문인지 니시노 데이지를 누르고 5번째로 최우수 장애물마에 선정되었다. 둘의 득표수 차이는 단 1표. 그 외에도 [[키타산 블랙]]이 연도대표마로 선정된 해는 모두 오쥬 쵸산이 최우수 장애물마였는데, 키타산 블랙이 은퇴하고 그 아들 [[이퀴녹스]]가 연도대표마로 선정된 해에도 오쥬 쵸산이 최우수 장애물마이다. [youtube(q7Jo8MkU4GY)] 매주 토요일 테레비도쿄에서 방송되는 토요명마좌에서 오쥬 쵸산 은퇴 기념 스핀오프 기획 '오쥬 쵸산 이야기 ~관계자와의 감동비화~'가 공개되었다. 데뷔부터 은퇴 후까지 전 커리어를 포함해 여러 비화들을 들을 수 있다. 경주 뿐 아니라 기수 등 관계자, 주로 구무원과의 이야기도 많은 일종의 다큐 같은 영상으로, 으레 구무원이 그렇듯 담당인 오쥬 쵸산을 매우 아끼는 모습도 볼 수 있다. == 은퇴 후 == 은퇴 뒤에 히다카에 돌아가면서 사카히가시(坂東) 목장에서 머무르면서 휴식 겸 종마 관련 업무를 준비하였고 1월 23일에 오쥬 쵸산은 [[타니노 김렛]]과 [[에타리오]]와 [[로즈 킹덤]], 그리고 [[어드마이어 재팬]]까지 있는 [[베르사유 리조트 팜]]에 위탁 종마[* 신디게이트가 없는 개인 소유 종마의 경우에는 평상시에는 목장에서 지내다가 교배 의뢰가 있으면 종마장으로 가서 교배하고 돌아오는 방식이다.참고로 해당 목장에는 오츄초산 말고 몇 마리의 말들이 이런 식으로 지내고 있다.]로 가게 됐다는 소식이 전해지게 되자 팬들은 별 다른 규제없이 쉽게 찾아갈 수 있는 해당 목장에 간 것에 대해서 안심과 함께 큰 호응과 응원을 보내고 있다. 이미 타니노 김렛의 울타리 굿즈와 어드마이어 재팬의 요기보 소파 굿즈라는 히트 상품을 출시해 대박을 낸 베르사유 리조트 팜이었기에 오쥬 쵸산의 굿즈에도 많은 기대를 모았으며 실제로 입성한지 얼마 안 되어 굿즈가 만들어졌다. 이미 은퇴 전부터 진작에 베르사유 리조트 팜에 입성이 확정된 것이 아니냐는 얘기도 나오는 중이다.은퇴 즈음에 2017년 나카야마 대장해 우승기가 베르사유 리조트 팜에 전시된 것으로 확인 되었다. 2023년 3월 28일 오쥬 쵸산이 출장하러 간 바람에 오전에 못본다고 베르사유 리조트 팜 공식 트위터를 통해 공지를 남겼다. 팬들은 이것이 오쥬 쵸산의 첫 교배 일정으로 추정하고 있다. [[https://twitter.com/Versailles_Farm/status/1640508182190759936?t=HO4207YHyYqj5pEkmcywwg&s=19|#]] 오쥬 쵸산 생일인 4월 3일에도 하는 등 의외로 자주 교배하는 모습이 보여 기대를 모았다.[* 물론 수백번하는 메이저 종마보다는 적다고는 하지만 개인 종마는 그 특성상 10마리 이상 교배하는 게 제법 드물지만 오츄초산은 10회 이상 자리를 비운 만큼 개인 종마 치고 잘 하는 축이라고 한다.] 평지가 아닌 장애물마임에도 불구, 100만엔의 적지 않은 교배료로[* 영세 마주 및 목장들은 100만엔도 적지 않은 수치다.] 오쥬 쵸산의 자식을 원하는 곳이 없지 않은 것을 보면 굉장히 이례적인 일이며 장애물마가 종마로 전향한 것은 승마용 말을 위해서도 교배를 했던 [[그랜드 마치스]] 이후 무려 40여년 만이다. 평지 G1마도 100만엔의 교배료는 커녕 중앙중상 그것도 아리마 기념 우승마조차도 여러가지 사정으로 종마 전향조차 못 하고 거세되어 승마로 지내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말이 있는 것을 생각하면 JG1 9승에 대한 특별 보상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은퇴 후에는 혹독한 훈련이 없어서인지 [[https://twitter.com/Versailles_Farm/status/1629653160813023233|혀를 내밀면서 물을 마시거나]], [[https://twitter.com/Versailles_Farm/status/1685523900116213760|오이를 맛있게 먹거나]], [[https://twitter.com/Versailles_Farm/status/1681502427458207744|건내준 꽃을 먹는]] 등, 현역 시절 드러내지 않았던 귀여운 모습을 자주 보이며 인기가 급상승 하는 중. 심지어 현역 시절 까칠했던 성격과는 달리 외로움을 많이 타는 모습도 보여주고 있다. == 현창마 선출 논란 == >'''JRA 장애물 G1 최다승(9승) 및 최다 연속 승리(7승)''' >'''JRA 장애물 중상 최다승(15승) 및 최다 연속 승리(13승)''' >'''JRA 중상 최다승(15승) 및 최다 연속 승리(9승)''' >'''JRA 최다 연속 승리(11승) 및 장애물 경주 최다 연속 승리(13연승)''' >'''JRA 장애물 경주 획득 상금 1위(8억 1460만 6000엔)'''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레코드(4분 43초 0) 및 [[나카야마 대장해]] 레코드 보유(4분 36초 1)''' >'''JRA 최고령 중상 승리 기록(11세)''' >'''1978년 이후 44년 만에 중앙경마 20승 달성''' 상술한 기록이 보여주듯 장애물 경마에선 독보적인 기록을 쌓았다. 단일 대회 5연패는 평지까지 포함해서 세계 경마 연패 타이 기록이며, 일본 G1에서는 [[오메가 퍼퓸]]이 [[도쿄대상전]] 4연패를 기록했지만 잔디의 경우 3연패조차도 없다. 중상 전체로 범위를 넓혀도 평지에선 3연패가 겨우 7번 있을 정도로 극히 희귀한 기록이다. 현창마 중 유일한 장애물마인 [[그랜드 마치스]]의 기록은 예전에 넘어버린 살아있는 전설급의 전적으로 이미 [[현창마]]에 들어갈 커리어는 충분히 충족시켰다는 반응이 많다. 다만 현창마 선출 방식을 투표제로 전환한 이후로 장애물마는커녕 더트마도 표를 거의 받지 못하는 경향 때문에 진짜로 현창마를 받을 수 있을지 의문을 표하는 사람도 많다. 기존에 선출된 장애물마 그랜드 마치스는 위원회에서 선출했기 때문에 비인기 종목인 장애물 경주도 배려받기 쉬웠었다. 그러나 오쥬 쵸산은 장애물마인데도 아리마 기념 팬 투표에 3위로 선출될 만큼 단순한 장애물마로 치부하기에는 많은 인기를 얻었고, G1/Jpn1 승수를 대부분 지방 대회에서 쌓은 더트마들과 달리 엄연한 JRA 주최 G1 대회에서 커리어를 쌓았기 때문에 현창마 투표에서 떨어질 경우 이전의 [[로드 카날로아]]의 경우처럼 장애물마는 앞으로도 영원히 현창마에 들지 말라는 거냐는 비난 여론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극단적인 팬층에서는 현창마 안시킬거면 장애물 경주를 없애라는 발언도 나오는 중이다.[* 다만 장애물 경마는 일본에서 2군 경주 취급을 받는 더트보다도 낮은 취급을 받기에 오쥬 쵸산이 [[모리스(말)|모리스]], [[부에나 비스타(말)|부에나 비스타]], [[골드쉽]], [[킹 카메하메하]]같은 현창마 수문장들을 모두 밀어내고 현창마로 선정되는건 불가능해 보인다는 의견도 있다.] == 기타 == * 2018년 [[아리마 기념]] 팬투표 당시 3위를 기록했고, 5번 인기로 출주해 [[타케 유타카]]를 태우고 9착을 기록했다. * 장애물 경마 특성 상 단 한 번의 사고라도 나면 사망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은데, 경주마로선 진작에 은퇴했어야 할 10살의 나이에 기량이 떨어졌음이 확실함에도 계속 현역으로 구르고 있어서 경마 팬들은 오쥬쵸산의 건강과 생존을 걱정하고 있다. 실제로 오쥬쵸산 경기에서 사망한 말들도 있다.[* 대표적인 케이스가 2019 나카야마 대장해 우승마인 신군 마이클. 2020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에서 2번 인기로 출주했지만 마지막 장애물에서 전도되며 경추 골절로 즉사했고, 이후 장애물 G1이 있으면 경마 팬들이 넷케이바 신군 마이클 게시판에 모여 출주마들의 안전을 비는 것이 하나의 전통이 되었다. 기수에 의하면 중간에 심장 박동이 이상해서 경기를 중간에 포기하려 했으나 계속 나아갔다고 한다.][* 사실 다른 장애물 경마를 시행하는 국가에서도 장애물 경주마는 10살이 넘어도 은퇴하지 못하고 현역으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 한편 일부 팬들은 오쥬 쵸산의 마주를 곱지 않은 시선으로 보고 있다. 말을 혹사시킨다는 것이 주된 비판점이다. [[아리마 기념]]에서 [[타케 유타카]]가 기승해 9착을 거둔 것에 마주는 과감하게 승부를 하지 않았다고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umamusme&no=287054|불만]]을 드러냈다. 더군다나 이러한 마주의 행보는 말을 혹사시킨다는 의구심을 더욱 강화시켰다. 2020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이후 전치 6개월의 골절 부상을 입었는데도 복귀를 목표로 재활시키는 등의 행동으로 비호감 스택을 적립하고 있다. 그러나 오쥬 쵸산의 은퇴선언 이후 조교사가 은퇴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사실 은퇴를 하지 못한 이유가 마주가 아니라 조교사 측이 오쥬 쵸산이 벌어오는 상금때문에 은퇴를 반대했기 때문이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 선술했듯이 점프를 극단적으로 낮게 하는 걸로 유명한데, 전성기에는 거의 장애물 상단에 배가 쓸릴 정도로 낮게 점프했다. 이렇게 점프를 뛴 이유는 다름아닌 쵸산의 버릇 때문인데, 양발을 모으고 점프를 뛰는게 아닌 달리는 자세 그대로 장애물을 밟고 뛰는, 흡사 허들 종목의 육상선수와 비슷한 자세를 취하는 무시무시한 짓거리를 하기 때문. 이 특유의 점프 때문에 스피드와 스테미너를 온존하고 라스트 스퍼트를 강하게 걸어 많은 승리를 쟁취한 것이 사실이지만, 단 한번이라도 실수하면 말과 기수 모두 사망하는 참사가 일어날 수 있는 아주 위험한 버릇이라, 2020년 부상으로 시즌아웃 한 후 2021년 복귀할 때는 이 버릇을 교정해서 왔다. 그래도 아직 점프가 낮은 것은 여전하다. * 현역 시절에는 [[스테이 골드]]의 자마답게 성격이 굉장히 사납기로 유명했다. 은퇴 후 베르사유 리조트 팜에 들어간 뒤로는 스트레스를 받을 일이 줄어들어 성격이 조금 원만해졌다고 한다. * 은퇴 후 베르사유 리조트 팜에 간 것에 대해서 리조트팜 대표는 와다 류지 유튜브에서 사카히가시 목장 출신 비비굴단과의 인연으로 오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 오쥬쵸산의 라스트 런인 2022년 나카야마 대장해에서 실황을 한 이즈미 사토 아나운서가 오쥬 쵸산이 게이트에 들어가기 직전에 "오쥬 쵸산이 처음 JG1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를 우승했을 때 아직 '''이 세상에 나오지 못한 말들이 5두 있습니다.'''"라는 멘트를 내뱉어 현장 관중들의 웃음을 자아냈다.[* 우승마인 [[니시노 데이지]]가 2016년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가 펼쳐지고 이틀 뒤에 태어났다.] [youtube(ns0eTdy7JJo)] * 외로움을 잘 타는 성격이라서 바로 옆 은퇴마들이 있는 대방목지를 계속 바라보고 있다.[[https://twitter.com/MkiGOo5/status/1654775680964628480|#]][[https://twitter.com/suzuma555/status/1656847914323558402|#]] 하지만 종마는 여러가지 이유로 단독으로 방목하는 게 원칙인지라 오츄초산이 은퇴마들과 어울리는 건 나중의 일이 될 것이다. * 2024년 배포 예정인 닌텐도 스위치용 다운로드 전용 게임인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열혈 우당탕탕 대감사제!]]의 [[https://youtu.be/_kcA-zvLn6w|첫 PV영상]]에서 오쥬 쵸산이 드디어 우마무스메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썰이 나오고 있는 중이다. 이유는 세 가지인데, 첫번째로는 그 동안 우마무스메 시리즈의 작품들에선 타이틀 로고에 해당 작품의 메인을 담당하는 우마무스메의 실루엣이 그려져 있었는데, 본 작품에는 기존의 누구와도 매치가 되지 않는 미확인 캐릭터의 실루엣이 그려져 있다. 그렇다는 것은 본 작품의 메인이 되는 캐릭터는 신규 우마무스메라는 뜻이 되는데 정규 레이스를 다루는 원판과 각 미디어 믹스와는 달라 이 게임은 돗지볼, 푸드 파이트, 그리고 __장애물 경주__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장애물 전문마인 오쥬 쵸산이 나올 당위성이 생긴다. 두번째로는 영상 내에서 레이스를 펼치는 우마무스메들을 응원하는 모브 우마무스메들이 몇 명 등장하는데 그 중 한 명이 오쥬 쵸산의 멘코색과 같은 파란색 머리장식을 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 것. 게다가 가장 늦게 밝혀진 세번째 이유는 로고에 그려진 별의 수가 오쥬 쵸산의 통산 승수와 같은 18개라는 점으로, 처음에는 그저 억지로 이어보려는 팬덤의 발버둥으로 여겨졌으나 본격적으로 설정이 정립된 애니메이션 2기 이후부터 '''타이틀 로고에 그려지는 별의 개수와''' 해당 작의 메인 캐릭터의 승수가 같다는 게 밝혀지면서[* 애니메이션 2기의 일본판 로고의 별의 수는 총 9개로 토카이 테이오의 통산 전적인 12전 '''9승''', ROAD TO THE TOP은 총 8개로 나리타 탑 로드의 통산 전적 30전 '''8승'''과 같다는 게 밝혀졌다.하지만 3기의 주인공인 키타산 블랙의 승수인 12개가 아닌 8개가 그려진 것으로 보아서는 단순 로고변경일 가능성도 크다.] 본격적으로 신빙성을 얻었다. 장애물 경주마라 평지 레이스만 구현된 본가에서는 나올 수 없지만 이런 작품에서라도 우마무스메화가 된다면 애니나 코믹스 등 미디어믹스로는 등장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팬들은 이런 식으로라도 오쥬 쵸산이 우마무스메화 되길 바라고 있는 상황이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 || 인기||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2013년 {{{-1 (2세)}}} || || 10.19 || [[도쿄 경마장|도쿄]] ||<-2> 2세 신마 || 잔디 1800m || 66.5 || 12 || 11착 || [[마츠오카 마사미]] || 로지 테이스트 || || 11.16 || [[도쿄 경마장|도쿄]] ||<-2> 2세 미승리 || 잔디 2000m || 219.1 || 11 || 8착 || [[미우라 코세이]] || 벨 캐니언 || ||<-10> 2014년 {{{-1 (3세)}}} || || 11.15 || [[후쿠시마 경마장|후쿠시마]] ||<-2> 장애물 3세 이상 미승리 || 장애물 2800m || 99.1 || 14 || 14착 || 오에하라 케이 || 시게루 히타치 || ||<-10> 2015년 {{{-1 (4세)}}} || || 1.5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2> 장애물 4세 이상 미승리 || 장애물 2880m || 101.7 || 11 || 2착 ||<|5> 야마모토 코시 || 에이스 원 || || 1.24 || [[주쿄 경마장|주쿄]] ||<-2> 장애물 4세 이상 미승리 || 장애물 3000m || 5.8 || 2 ||<#cd7f32> 3착 || 카우 웨라 || || 2.21 || [[도쿄 경마장|도쿄]] ||<-2> 장애물 4세 이상 미승리 || 장애물 3000m || 6.3 || 4 || '''{{{#red 1착}}}''' || (이푸 도도) || || 3.21 || [[주쿄 경마장|주쿄]] || 장애물 4세 이상 오픈 || OP || 장애물 3300m || 6.0 ||<#cd7f32> 3 || '''{{{#red 1착}}}''' || (어드마이어 사이먼) || || 6.6 || [[도쿄 경마장|도쿄]] || 장애물 3세 이상 오픈 || OP || 장애물 3100m || 8.0 || 4 || 9착 || 사나시온 || || 6.27 || [[도쿄 경마장|도쿄]] || 도쿄 점프 스테이크스 || J • GIII || 장애물 3110m || 62.0 || 9 || 4착 ||<|4> [[이시가미 신이치]] || 오스미 문 || || 7.25 || [[후쿠시마 경마장|후쿠시마]] || 장애물 3세 이상 오픈 || OP || 장애물 3380m || 3.5 || 2 || '''{{{#red 1착}}}''' || (카시마 신세이) || || 12.5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일루미네이션 점프 스테이크스 || OP || 장애물 3570m || 12.7 || 4 || 4착 || 사나시온 || || 12.26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나카야마 대장해]] || '''J • GI''' || 장애물 4100m || 21.3 || 6 || 6착 || [[업 투 데이트]] || ||<-10> 2016년 {{{-1 (5세)}}} || || 3.6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장애물 4세 이상 오픈 || OP || 장애물 3200m || 5.8 || 2 || 2착 ||<|5> [[이시가미 신이치]] || 니혼 필로 바론 || || 4.16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 '''J • GI''' || 장애물 4250m || 6.5 || 1 || '''{{{#red 1착}}}''' || (사나시온) || || 6.25 || [[도쿄 경마장|도쿄]] || 도쿄 점프 스테이크스 || J • GIII || 장애물 3110m || 2.0 || 1 || '''{{{#red 1착}}}''' || (윈 야드) || || 10.16 || [[도쿄 경마장|도쿄]] || 도쿄 하이 점프 || J • GII || 장애물 3110m || 2.1 || 1 || '''{{{#red 1착}}}''' || (마키오 볼러) || || 12.23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나카야마 대장해]]''' || '''J • GI''' || 장애물 4100m || 1.4 || 1 || '''{{{#red 1착}}}''' || ([[업 투 데이트]]) || ||<-10> 2017년 {{{-1 (6세)}}} || || 3.11 || [[한신 경마장|한신]] || 한신 스프링 점프 || J • GII || 장애물 3900m || 1.3 || 1 || '''{{{#red 1착}}}''' ||<|4> [[이시가미 신이치]] || ([[업 투 데이트]]) || || 4.15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 '''J • GI''' || 장애물 4250m || 1.3 || 1 || '''{{{#red 1착}}}''' || (선레이 듀크) || || 10.15 || [[도쿄 경마장|도쿄]] || 도쿄 하이 점프 || J • GII || 장애물 3110m || 1.4 || 1 || '''{{{#red 1착}}}''' || (굿 스카이) || || 12.23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나카야마 대장해]]''' || '''J • GI''' || 장애물 4100m || 1.1 || 1 || '''{{{#red 1착}}}'''[*레코드] || ([[업 투 데이트]]) || ||<-10> 2018년 {{{-1 (7세)}}} || || 4.14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 '''J • GI''' || 장애물 4250m || 1.5 || 1 || '''{{{#red 1착}}}'''[*레코드] || [[이시가미 신이치]] || ([[업 투 데이트]]) || || 7.7 || [[후쿠시마 경마장|후쿠시마]] || 카이세이잔(開成山) 특별 || 500만 || 잔디 2600m || 2.0 || 1 || '''{{{#red 1착}}}''' ||<|3> [[타케 유타카]] || (드림 스피릿) || || 11.3 || [[도쿄 경마장|도쿄]] || 남부(南武) 특별 || 1000만 || 잔디 2400m || 3.1 ||<#cd7f32> 3 || '''{{{#red 1착}}}''' || (블랙 플래티넘) || || 12.23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9.2 || 5 || 9착 || [[블래스트 원피스]] || ||<-10> 2019년 {{{-1 (8세)}}} || || 3.9 || [[한신 경마장|한신]] || 한신 스프링 점프 || J • GII || 장애물 3900m || 1.9 || 1 || '''{{{#red 1착}}}''' ||<|3> [[이시가미 신이치]] || (타이세이 드림) || || 4.13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 '''J • GI''' || 장애물 4250m || 1.1 || 1 || '''{{{#red 1착}}}''' || (싱킹 댄서) || || 10.6 || [[도쿄 경마장|도쿄]] || 로쿠샤(六社) 스테이크스 || 3승 || 잔디 2400m || 3.4 || 1 || 10착 || [[아프리칸 골드]] || || 11.3 || [[도쿄 경마장|도쿄]] || [[아르헨티나 공화국배]] || GII || 잔디 2100m || 19.4 || 7 || 12착 || [[마츠오카 마사미]] || 무이토 오브 리가드 || || 11.30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스테이어즈 스테이크스]] || GII || 잔디 3600m || 6.5 || 4 || 6착 || [[미르코 데무로]] || 몬도 인테로 || ||<-10> 2020년 {{{-1 (9세)}}} || || 3.14 || [[한신 경마장|한신]] || 한신 스프링 점프 || J • GII || 장애물 3900m || 1.7 || 1 || '''{{{#red 1착}}}''' ||<|3> [[이시가미 신이치]] || (신군 마이클) || || 4.18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 '''J • GI''' || 장애물 4250m || 1.1 || 1 || '''{{{#red 1착}}}''' || (메이쇼 닷사이) || || 11.14 || [[도쿄 경마장|도쿄]] || 도쿄 점프 스테이크스 || J • GIII || 장애물 3110m || 1.1 || 1 ||<#cd7f32> 3착 || 타가노 에스프레소 || ||<-10> 2021년 {{{-1 (10세)}}} || || 4.17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 '''J • GI''' || 장애물 4250m || 2.2 || 2 || 5착 ||<|3> [[이시가미 신이치]] || 메이쇼 닷사이 || || 10.17 || [[도쿄 경마장|도쿄]] || 도쿄 하이 점프 || J • GII || 장애물 3110m || 2.1 || 1 ||<#cd7f32> 3착 || 러브 앤 팝 || || 12.25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나카야마 대장해]]''' || '''J • GI''' || 장애물 4100m || 3.3 || 2 || '''{{{#red 1착}}}''' || (블라종 다무르) || ||<-10> 2022년 {{{-1 (11세)}}} || || 3.12 || [[한신 경마장|한신]] || 한신 스프링 점프 || J • GII || 장애물 3900m || 1.7 || 1 ||<#cd7f32> 3착 ||<|4> 이시가미 신이치 || 에이신 클릭 || || 4.16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 '''J • GI''' || 장애물 4250m || 2.1 || 1 || '''{{{#red 1착}}}''' || (블라종 다무르) || || 10.16 || [[도쿄 경마장|도쿄]] || 도쿄 하이 점프 || J • GII || 장애물 3110m || 2.7 || 2 || 9착 || 제노버스 || || 12.24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나카야마 대장해]] || '''J • GI''' || 장애물 4100m || 2.4 || 1 || 6착 || [[니시노 데이지]] ||}}} [include(틀:나카야마 그랜드 점프,grade=J·GI)] [include(틀:나카야마 대장해,grade=J·GI)]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종마/일본]][[분류:2011년 출생/경주마]][[분류:미호 트레이닝 센터 소속/경주마]][[분류:스테이 골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