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비정상회담)] ||<-2> '''{{{+1 오오기 히토시}}}[br][ruby(扇, ruby=おおぎ)] [ruby(仁, ruby=ひと)][ruby(志, ruby=し)] | Hitoshi Oogi'''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오기 히토시.jpg|width=100%]]}}} || ||<|2> '''출생''' ||[[1992년]] [[4월 6일]]([age(1992-04-06)]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학력''' ||[[게이오기주쿠대학]] {{{-2 (환경정보학부 / 학사)}}}[br][[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2 (한국어 / 수료)}}}|| || '''신체''' ||179cm, 63kg|| || 가족 ||형 오오기 신지, 오오기 요시노부|| || '''언어''' ||[[일본어]], [[한국어]]|| || '''활동''' ||[[2016년]]~[[현재]]|| || '''직업''' ||캐릭터 디자이너|| || '''링크''' ||[[https://www.youtube.com/channel/UCPtN_D043WoQ2uTWsK6ftI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오온TV 메인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V_RZjqfh6UHekZwccwIjq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오논TV 유희왕 컨텐츠 채널][br][[https://blog.naver.com/markohgi_0406|[[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4]]]] [[http://instagram.com/ogiogih|[[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에서 활동했던 [[일본인]] [[방송인]], [[일본어]] [[강사]]다. [[일본]] [[나가사키]] 출신으로 [[JTBC]] [[비정상회담]]에 출연하면서 대중에게 알려졌다. 현재는 일본에 거주하며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 [[통역사]], [[번역가]], [[한국어]] [[강사]], [[일본어]] [[강사]]로 활동한다. == 활동 == === TV 프로그램 === * [[비정상회담]] * 오오기의 알바 Talk Talk - 채널 W * [[문제적 남자]] * [[돈길만 걸어요 - 정산회담]] * [[개는 훌륭하다]] * [[별다리 유니버스]] * 세상의 모든 사건 지구 in * [[올 탁구나!]] ==== [[비정상회담]] ==== || [[파일:OA5FRYJoP6H6Uqt.gif|width=100%]] || 105회에서 게스트로 첫 등장하여, 식민지배에 대해 다룬 111회 이후로 거의 매화 출연 중이다. 공식적으로 영입을 알린 적은 없었으나 자연스럽게 자리 잡으며 비정상회담 시즌 2의 고정 패널이 된 상황이다. [[일본]] 패널로는 3번째로, 최초의 비아이돌 일본 패널이다. 방송에서는 오오기라 불리지만 오오기는 성이고 이름은 [[히토시]]다. 원래는 이름인 히토시로 불려야 하나, 특이하게 비정상회담에서 다른 패널들이 이름으로 불리는 것에 비해 오오기만 본인의 성인 '오오기'로 불리고 있다. 패널들의 명패를 보면 다들 이름이 쓰여 있으나 오오기만 성으로 쓰여있다. 전임 일본 패널인 [[테라다 타쿠야]]와 [[유타(NCT)|나카모토 유타]]는 이름인 '타쿠야'와 '유타'로 적혀 있었기에 통일감이 없다고 느껴질 수도 있었다. [[일본]]에서는 성이 아닌 이름으로 부르면 우리나라로 치면 성 빼고 "은미야~"라고 부르는 식이다.(간혹 예외는 있다.) [[요비스테]] 참조. 일본에서는 방송은 물론이고 대부분의 경우 성으로 부르는 게 일반적이다. 이름으로 부르는 건 매우 친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건 한국을 제외한 많은 국가들이 그렇다. 한국은 성씨가 다들 비슷비슷해서 이렇게 할 수가 없다.]본인도 이 부분을 방송에서 지적한 바는 있으나 출연자들이 오오기가 더 어울린다고 하면서 다소 흐지부지 넘어갔다.[* 본인 유튜브에서 자신의 이름은 가족이나 애인을 제외하고 거의 오오기라고 부르기 때문에 별로 어색하거나 불편하게 느껴지지 않고 자기를 오오기라고 부르는 게 좋다고 했다.] 성향은 지금까지의 [[아시아]] 출신 출연자들의 전체적인 성향과는 다르게 비정상회담 새 멤버들 중에서도 꽤 진보적인 편으로 보인다. 이런 면에선 옆에 앉는 [[니클라스 클라분데|닉]]이 비슷한데, 이쪽이 전투적인 토론 태도로 파이터 캐릭터를 형성해 나가는 것과 달리 오오기는 워낙 사람이 조용한지라 토론에 불을 지르는 경우가 거의 없다. 화가 날 때는 별을 본다고 하는 것을 보아, 자주 발끈하는 성격은 아닌 듯하다.[* 마지막으로 화낸 게 중학교 1학년 때라고 한다.] 또한 [[일본]] 제품 리콜 및 역사 문제, [[한일관계]], [[중일관계]]와 같은 민감한 문제가 나올 때에는 놀라울 정도로 침착하고 본국의 잘못이 있을 때는 깔끔히 인정하고 넘어가는 모습을 보인다.[* 그래서 그런지 "오또불(오오기 또 불편해)"이라는 단어가 나오기까지 했다.] [[광복절]] 특집에서 말하길, "[[중국]]과 [[대한민국|한국]]에 [[일본]]이 저지른 만행을 배웠고 알고 있었으나, 그저 교과서의 단어로만 봐왔으며 [[일본 정부]]가 정식으로 사과했다고 배워, 심각성을 느끼지 못했다. 그러나 한국에 온 뒤, 일본의 사과에서 무엇이 부족하고 피해자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사과가 뭔지 생각하게 되었다."고 한다. 한편 "당시 [[일본 정부]]의 몰지각한 행위로 인해, 죄 없는 일본 국민들도 많은 상처를 입었다"고 말하며 일본을 변호하기도 하였다. 또한 "진정으로 한중일이 친해지기 위해선, 각 나라가 서로의 다른 역사관을 교환하며 개개인들도 알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대한 언급을 아끼며 무미건조한 사과만 반복하던 다른 일본 패널과는 비교되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오오기가 집중 공격을 당할 당시, 자막으로 '''오늘 별 보러 가야 겠네'''라는 자막이 나오기도 했다.] 방송에서 자신감이 없어보이면 살아남기가 어려운 세계라면서 유행어인 [[https://youtu.be/PSaJ2neM6Mg&t=8m15s|만두남]]인 별명을 붙이기 시작했다. 질문이 굉장히 많다. 국회의사당에 있는 조형물이 무슨 의미인지 묻거나(정세균 편), 팬과 사귈 수 있냐고 묻거나(에이핑크 편) 영감의 원천을 묻는(뤽 베송 편) 등 다양한 질문을 하는 호기심 대왕이다. === 홍보대사 === * 2017년 서울 관악경찰서 치안한류 홍보대사([[니클라스 클라분데]]와 함께) === 유튜브 활동 === 2019년 5월부터 [[https://www.youtube.com/channel/UCPtN_D043WoQ2uTWsK6ftIg|오오기가 온다 [オオンTV\]]]라는 이름의 유튜브 채널을 개설해 팬들과 소통했다. 일본어 강의 컨텐츠나 브이로그, 비정상회담 썰 등의 컨텐츠가 주로 올라온다. [[2021년]] MBC의 외국인 웹예능 별다리 외사친의 코너인 별다리 연구소에 출연했는데[* 국방을 주제로 다루는 회차를 제외한 모든 회차에 출연했다. 참고로 오오기가 불참한 회차에 대신 출연한 패널은 [[벨랴코프일리야|일리야 벨랴코프]]다.], 여러 현안에 대해서 경청할 뿐만 아니라 적재적소에 똑부러진 발언을 하면서 [[비정상회담]] 시절 못지 않은 활약을 하며 많은 구독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이후 하단의 이유로 인하여 한국 생활을 정리하고 일본으로 귀국하게 되면서 하차하였다. === [[듀얼리스트]] '오논(オノン)' 으로서 === 본래는 오오기가 온다 채널에 드문드문 [[유희왕/OCG]] 컨텐츠[* [[https://youtu.be/KW6schv-32I|최초의 OCG 컨텐츠]]는 완전 일본어로 녹음되어 일본 OCG 유튜버들의 방식과 똑같았고 제목도 일본어로 적혔으며, 이후 한글 자막을 첨부했다. 처음에는 일본 시청자들에게도 자신의 컨텐츠를 어필하려다가, 오논TV를 개설하면서 한국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잡은 것으로 보인다.]가 올라오다가, 2020년 7월에 [[https://www.youtube.com/channel/UCV_RZjqfh6UHekZwccwIjqg|오오기가 논다 [오논TV/オノンTV\]]]라는 이름으로 유희왕 전용 채널을 따로 개설했다. 2021년 한글판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 개봉 [[https://youtu.be/H4Y9S5fQ_6w|라이브 방송]]에서 초요의 광[[령사]] 라이너를 샵 가격 5만원이나 하는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로, 그것도 2장이나 얻었던 전적이 있다. 다른 유희왕 유튜버들과 합동 방송도 자주 진행하며, 유튜브 유희왕 채널 '채널 카프리'에서 연 러시 듀얼 대회(YGRI)[* Yeomso Grand Rushduel Invitational]와 OCG 대회인 산쥬다이 cs, 소서리스 cs 듀얼 대회[* 디스코드를 통한 리모트듀얼(화상듀얼)이다.]에 참가하기도 했다. 2022년 한국 생활을 마친 이후, '''86회 넥스트플레이[* [[싱크로 다크]]와 [[식물 링크]]의 창시자이자 현재 OCG 환경권 게이머(YP) 중 빼놓을 수 없는 플레이어 '시노'의 [[https://www.youtube.com/channel/UCxzlULX7MppHam5fc9TwG1A/about|유튜브 채널]]에서 개최하는 비공인 대회다. 유튜브 채널로 시작하였지만 현재는 아예 본인 명의로 회사를 차릴 정도로 성장했다.]배 대회'''에 참가하여 총 32명 중 [[https://twitter.com/nextplay_/status/1526851495454334976?cxt=HHwWgICjtY7Wu7AqAAAA|상위 7위]]를 기록했다. 토너먼트 첫 라운드에서 [[https://twitter.com/duel_ogi/status/1526903458607276032?cxt=HHwWgIDRieKm07AqAAAA|패배]]했지만 다음에는 베스트 4를 노릴 것으로 보인다. 더욱 대단한 점은 오오기가 티어덱이 아닌 자신의 애정덱, [[제너레이드]]로 출전했다는 것이다.[* 제너레이드는 그럭저럭 쓸만한 성능을 내긴 하지만 단점도 명확하여 환경권에 들지 못하는 많은 덱들 중 하나지만, 오오기는 컨트롤과 심리전으로 이를 극복했기에 베스트 8에 오를 수 있었다. 당시에는 [[이시즈 티아라멘츠]] 덱이 사용되기 직전인 대신, 소위 풀 파워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 덱이 0티어로서 위세를 떨치던 때였으므로 더더욱 분전했다고 할 수 있다.] 아니나 다를까 9월 13일 제너레이드 추가 지원이 나오자마자 [[https://twitter.com/duel_ogi/status/1569523263331799042|발작을 일으켰으며]], 10월 22일 제 20회 RAM배 대회에서 또 제너레이드를 들고 80명 중 [[https://twitter.com/duel_ogi/status/1583763730302914560?t=wCRk7LsbxsnpKSzK8DMcWg&s=19|16강 본선에 진출]]했다. == 여담 == * 대학생 때 한국인 여자친구를 사귀면서 한국어를 배웠다. * 2017년 2월 6일 방영된 비정상회담 방송에 따르면, 외국어 학원강사로 취직했다고 한다. YBM어학원 종로센터에서 일본어 회화 강의를 진행하고 있었으며 2018년 5월부터는 강남 해커스 어학원에서 강의를 진행하고 있었다. 이후 최근 일본으로 귀국하게 되면서 그만두게 된 것으로 보인다. * [[https://store.line.me/stickershop/author/68268|라인]] 스티커 디자이너로 활동중이다. 그림 실력도 준수한 편이며, 인스타그램에도 직접 그린 그림들이 올라와 있다. 원래 애니메이션 감독이 꿈이라 일본의 애니메이션 회사에 입사했었는데, 입사 이틀차에 비정상회담에 나올 일본 패널을 소개시켜달라는 연락을 받고 본인이 직접 하고 싶다며 지원한 후 실제로 비정상회담의 멤버가 되자 애니메이션 회사를 퇴사 후 한국으로 향했다. * [[마블 코믹스|마블]]의 팬으로 보인다. 가끔 인스타그램에 마블 히어로나 피규어 관련 올라올 때가 있다. * [[전북 현대]] 축구선수 [[정민기]]와 닮았다. * [[라이트 노벨]]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 최근 채널 W의 자체제작 예능 프로그램인 오오기의 알바 Talk Talk로 방송활동을 재개했다. 컨셉은 재한 일본인이 운영하는 다양한 상점을 찾아가 일일 알바를 하며 대화를 진행하는 형식의 프로그램이다. * [[프로듀스 48]] 5화에 [[아리요시 리사]], [[타카다 켄타]]와 함께 언어 특강 강사로 출연하였으나, [[https://tv.naver.com/v/3603411|본방송]]에서는 통편집이 되었다. * 방송에서는 [[오타쿠]]가 아니라며 부정하였지만[* 오타쿠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일본인에게 오타쿠라고 부르는건 욕이나 마찬가지이다.] 인스타그램에서 [[히로아카]]같은 최신 애니메이션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취미가 [[유희왕]]이라는 등, 꽤나 서브컬쳐에 조예가 깊은 모습을 보인다. 특히 유희왕의 경우 어렸을 때부터 10년 넘게 해왔으며 덱을 짜는 실력이나 오프라인에서 듀얼을 하러 다니는 것을 보면 꽤나 실력자인 것으로 보인다. * [[비정상회담]]에서 일본 과거사나 후쿠시마 원전 관련 주제가 나오면 전 일본 패널이었던 [[테라다 타쿠야]], [[유타(NCT)|나카모토 유타]]에 비해 집중포화를 당하는 경우가 훨씬 많았다. 앞의 두 명은 [[아이돌]]이기 때문에 이런 주제를 다소 기피하거나 답변도 대충 하고 넘어갔지만, 오오기는 피하지 않고 대화하려고 하는 경우가 많았고 따라서 부담도 많이 생긴 편이다. 이 때문에 비정상회담 영상이 올려진 유튜브 클립을 보면 오오기를 걱정하는 댓글들이 많다. * 전임 패널인 [[유타(NCT)|유타]]와는 달리 귀신을 무서워해서 운영 중인 유튜브 채널에선 컨텐츠로 다루지 않는다고 한다. 비정상회담 161회를 보면 얼마나 무서워하는지 실감할 수 있다. * 비정상회담 출연 당시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BTI]] 검사 결과 [[https://youtu.be/RPKqj1I7yf8?t=687|ESFP]]가 나왔다. 이후 2020년 7월 4일 개인 유튜브 채널에서 검사 결과 [[https://youtu.be/hutB_4jZ3AU|ENFP]]가 나왔다. 전에 일본어로 했을 때도 ENFP였다고 한다. * [[2020년]] [[2월 3일]] [[https://www.instagram.com/p/B8EZnm-H3A5|인스타그램]]에서 한국에 오게 된 계기를 밝혔다. 대학생 때 한국어에 흥미를 갖게 되어 한국어를 배우게 되었고, 이후 한국어와 관련된 직업을 갖고 싶어 외교관을 꿈꾸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왜 외교관이 되고 싶냐는 질문에 한국어로 제대로 대답하지 못 하였고, 그로 인해 한국에 가서 한국어 실력을 키워야겠다고 다짐하게 되었다는 것으로 추정된다. * 본인의 유튜브 채널에서 한국인과 연애 중임을 공개했다. 앞서 언급된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BTI]] 검사도 여친과 함께 진행했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이 출시된후 인방대회에 참가한다거나 관련 방송인과 합방을 진행하고 있다. * 2022년 4월 [[https://youtu.be/CzBx2xVqxkM|별다리 유니버스 오오기 고별방송]]에서 한국 생활을 정리하고 일본으로 귀국하였다는 소식을 전했다. 이후 [[https://youtu.be/anX4njx8vEU|본인의 유튜브 채널]]에서 한국인 여자친구가 일본 취업에 성공하여 취업 비자를 받아 일본으로 이주하게 되면서 여자친구의 일본 생활을 지원하기 위해서 일본으로 귀국했다.[* 당시 [[치바현]] 인근에서 거주 중이라고 밝힌 것으로 보아 여자친구가 입사한 회사가 치바현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으로 건너간 이후에도 유튜브 및 SNS로 소통했다. 2022년 11월 26일 최근에 그때 당시 만난 한국인 여자친구와 [[https://www.youtube.com/shorts/5ojxPDsFiio|헤어졌다.]] 또한 통역, 번역 일을 하기 시작했고 일본인에게는 한국어를 가르치고, 한국인에게는 일본어를 가르치고 있다고 한다. [각주] [[분류:비정상회담/멤버]][[분류:나가사키시 출신 인물]][[분류:1992년 출생]][[분류:게이오기주쿠대학 출신]][[분류:일본의 남성 유튜버]][[분류:일본의 일러스트레이터]][[분류:한국 영주권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