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소녀의 세계에 나오는 남자 캐릭터, rd1=오영훈(소녀의 세계), other2=유튜버이자 가수, rd2=보컬밸런스)] [include(틀:역대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fff '''오영훈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주특별자치도지사 후보)] ---- [include(틀: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더불어민주당 후보)]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px]]]]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제주특별자치도|{{{#cfa547 제주}}}]] [[제주시 을|{{{#cfa547 제주시 을}}}]])'''}}} || || 제18-19대[br][[김우남]] || → || '''제20-21대[br]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선거 출마를 위한 사퇴.] || → || 제21대[br][[김한규]]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39499 0%, #939499 20%, #939499 80%, #939499)" '''{{{#fff 제39대 제주특별자치도지사 [br]{{{+1 오영훈}}}[br]吳怜勳 | Oh Young-hu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오영훈.jpg|width=100%]]}}} || ||<|2> '''출생''' ||[[1969년]] [[1월 31일]] ([age(1969-01-31)]세)[* [[음력]]으로는 [[1968년]] [[12월 14일]]생이다.] || ||[[제주도(대한민국)|제주도]] [[서귀포시|남제주군]] [[남원읍|남원면]] 신흥리[br](現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신흥리)[*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176009|#]] 1980년 남원면이 남원읍으로 승격,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남제주군이 서귀포시로 통합했다.] || || '''거주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일도2동 || || '''본관''' ||[[오(성씨)|군위 오씨]][* 중파 20세 훈(勳) 항렬.] || ||<|2> '''재임기간''' ||<#f5f5f5,#2d2f34>제39대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2022년]] [[7월 1일]] ~ [[현직]] || || '''서명''' ||[[파일:오영훈 서명.svg|width=140]] || || '''링크''' ||[[https://www.jeju.go.kr/dojisa/index.htm#|[[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younghun21|[[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oyh715|[[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younghun.univers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oh_younghu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2020년 1월 30일까지 운영하는 계정.]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ejudongbak, 크기=20)][* 2016년 11월 2일까지 운영하는 계정.] | [[https://youtube.com/c/오영훈T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blog.naver.com/younghun3706|[[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1 흥산국민학교}}} {{{-2 ([[졸업]])}}}[br]{{{-1 남원중학교}}} {{{-2 (졸업)}}}[br]{{{-1 [[서귀포고등학교]]}}} {{{-2 (졸업 / 16회[*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서귀포시(선거구)|서귀포시]]에서 당선된 [[위성곤]] 의원과 동창이다.[[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86105|#]]])}}}[br]{{{-1 [[제주대학교/학부/경상대학|제주대학교 경상대학]]}}} {{{-2 ([[경영학]] / [[학사]])}}}[br]{{{-1 [[한국방송통신대학교/학부|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회과학대학]]}}} {{{-2 ([[경제학]] / [[학사]])}}}[br]{{{-1 [[제주대학교/대학원|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 {{{-2 ([[경영학]][* [[마케팅]] 전공]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9572566|정치관여수준에 따른 유권자행동분석에 관한 연구]].])}}} || || '''병역''' ||[[대한민국 해군]] [[상병]] [[소집해제]] || || '''종교''' ||[[불교]] || || '''가족''' ||아내 박선희, 슬하 2남 1녀 || ||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의원 선수''' ||'''2''' || || '''의원 대수''' ||'''[[제20대 국회의원|20]], [[제21대 국회의원|21]][* 2022년 4월 29일, 의원직 사퇴.]''' || || '''경력''' ||[[새정치국민회의]] 창당발기인[br][[새천년민주당]] [[제주시 을|제주시]] 지구당부위원장[br][[강창일]] 국회의원 보좌관[br]제8-9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 {{{-2 (민선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4]]·[[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5]]기 / [[열린우리당]]·[[민주당(2008년)|민주당]])}}}[br]제9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회운영위원회 위원장[br][[새정치연합]] 창당준비위원회 창당발기인[br][[제20대 국회의원]] {{{-2 ([[제주시 을|제주 제주시 을]] / [[더불어민주당]])}}}[br][[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br][[더불어민주당]] 국민통합위원회 상임부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불자회 회장[br][[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br][[제19대 대통령선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국민주권선거대책위원회]] 공보단 대변인[br][[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더불어민주당]] 제주특별자치도당 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상임부의장[br][[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위원장[br][[제21대 국회의원]] {{{-2 (제주 제주시 을 / [[더불어민주당]])}}}[br][[더불어민주당]] 당대표 비서실장[br][[대한민국대전환 선대위]] 대통령 후보 비서실장[br][[더불어민주당]] [[제주시 을]] 지역위원장[* 2022년 3월 12일,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출마를 위해 중앙당에 사퇴서를 제출했다.][br]제39대 [[제주특별자치도지사]] {{{-2 (민선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8]]기 / [[더불어민주당]])}}}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現 제39대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경력 == * 1981.2. 흥산국민학교 졸업 * 1984.2. 남원중학교 졸업 * 1987.2. [[서귀포고등학교]] 졸업 {{{-1 (16회)}}} * 1994.2. [[제주대학교]] [[제주대학교/학부/경상대학|경상대학]] [[제주대학교/학부/경상대학#경영학과|경영학과]] 졸업, [[경영학]] [[학사]] {{{-1 (87학번)}}} * 1993. 제주대학교 총학생회장 * 제주지역총학생회협의회 상임의장 역임 * 1994. 통일시대민주주의국민회의 제주지부 정책국장 * 1995.9. [[새정치국민회의]] 창당발기인 * 1997. 4.3 도민연대 사무국장 * 1998. [[제주 4.3 사건]] 50주년 기념 학술문화사업추진위원회 자원봉사단장 * 반부패국민연대 제주본부 사업이사 * 2002. 제주대학교 총동창회 이사 * 서귀포고등학교 [[제주시]] 동문회 이사 * 국민정치연구회 이사 겸 부설 국민정치연구소 경제전문위원 * 2002. 한반도 평화와 경제발전 전략 연구재단 이사 * [[새천년민주당]] 제주시 지구당 부위원장 * 2002.6.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주도의회]] 제주시 제1선거구 [[새천년민주당]] 후보 {{{-1 (낙선)}}} * 2002. [[일도동|일도2동]] 새마을문고 운영위원 * 2003.2. [[제주대학교]] [[제주대학교/대학원#경영대학원|경영대학원]] 졸업, [[경영학]] [[석사]] * 2003. 인화초등학교 운영위원 * 2003. [[열린우리당]] 제주시 지구당 정책실장 * 2004. [[열린우리당]] 제주특별자치도 추진 특별위원회 실무간사 * 2004. [[열린우리당]] [[강창일]] 제주 [[제주시 갑|제주시·북제주군 갑]] [[국회의원 보좌관]] * 2006.7. ~ 2010.6. 제8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도의원|의원]] {{{-1 (초선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민선 4기]] / 열린우리당 / 제2선거구[*A [[일도동|일도2동]] 갑])}}} * [[민주당(2008년)|민주당]] 원내대표 * 일도2동 주민자치위원회 고문 * 제주장애인인권포럼 고문 * 사단법인 역사문화진흥원 이사 * 사단법인 제주아동심리상담센터 이사 * 제주문화원 자문위원 * 친환경우리농산물 학교급식 제주연대 자문위원 * 2010.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학부#경제학과|경제학과]] 졸업, [[경제학]] 학사 * 2010.7. ~ 2011.12. 제9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 {{{-1 (재선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민선 5기]] / 민주당 / 제2선거구[*A])}}} * 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장 * 사단법인 제주미래비전연구원 원장 * 2012.1.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제주 [[제주시 을]] [[민주통합당]] 예비후보 * 2014.2. [[새정치연합]] 창당준비위원회 창당발기인 * 2016.5. ~ 2020.5. [[제20대 국회의원]] {{{-1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초선]] / 제주 [[제주시 을]] / [[더불어민주당]])}}} * 전반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 * 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후반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 * 2016.5.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 * 2017.1. 더불어민주당 불자회 대표 * 2017.3.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 * 2017.6.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 2018.8. [[더불어민주당]] 제주특별자치도당 위원장 * 2019.5.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상임부의장 * 2020.5. ~ 2022.4. [[제21대 국회의원]] {{{-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재선]] / 제주 제주시 을 / 더불어민주당)}}} * 전반기 [[행정안전위원회]] 위원 *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회 위원장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문상부) 선출에 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 2020.7. [[대한민국 국회|국회]] 문화유산회복포럼 구성의원 * 2020.8.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당대표 비서실장 * 2021.12. [[제20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대한민국 대전환 선거대책위원회]] 수석대변인, 비서실장 * 2022.4.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더불어민주당]] 후보 * 2022.7. 제39대 [[제주특별자치도지사]] {{{-1 (초선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민선 8기]] / [[더불어민주당]])}}} == 생애 == [[1968년]] [[제주특별자치도|제주도]] [[서귀포시|남제주군]] [[남원읍|남원면]] 신흥리(現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신흥리)에서 아버지 오양수(吳陽洙, 1947. 3. 4 ~ )와 어머니 [[광산 김씨]] 김일출(金日出, 1947. 11. 16 ~ ) 사이의 3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고조부 오승빈(吳昇彬, 1860. 6. 22 ~ ?. 9. 13)은 [[전라도]] 산하 제주도 [[정의군|정의현]]의 향반으로, 정의현 유향소(留鄕所)의 별감(別監)을 지냈다. 흥산국민학교와 남원중학교, [[서귀포고등학교]], [[제주대학교]] [[경영학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2003년 [[제주대학교/대학원|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마케팅]] 전공으로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제주대학교 재학시절 총학생회장을 지낸 운동권 출신이다. === 정치 활동 ===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제주도의회 제1선거구에 출마하면서 정계에 입문했다. 첫 선거에서는 낙선했으나,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열린우리당]] 후보로 제주도의회 제2선거구에 출마하여 36.66%의 득표율로 당선됐고,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압도적인 득표율(59.43%)로 당선되면서 재선 도의원이 됐으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민주당 원내대표를 역임하기도 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도의원직을 사임하고 [[민주통합당]] [[제주시]] 을 선거구 예비후보로 등록했으나, 당내 경선에서 당시 현역 의원이었던 [[김우남]]에게 패하여 당 공천에서 탈락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현역 의원인 김우남과 다시 맞붙은 결과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선출됐다. 본선에서 상대할 새누리당 후보는 [[부상일]][* 2008년에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 [[한나라당]] 후보로 나왔으나 통합민주당 김우남에게 '''패'''했고,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부인의 선거법 위반 크리로 불출마. 결국 당시 새누리당은 제주시 을에 후보를 내지 않아 김우남이 '70% 가까운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여론조사에서는 [[http://www.jeju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70410|제주시을 지지율 부상일 36.8%, 오영훈 32.6%]] 접전 양상이었으나 당선 가능성은 새누리 부상일 후보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http://the300.mt.co.kr/newsView.html?no=2016041318507628764|출구조사 결과 부상일 45.6% VS 오영훈 43.0%]] '''경합 2위.''' 실제 개표에 들어가자 초반에는 아슬아슬하게 1위를 지키다 중반 들어 부상일 후보의 득표율이 올라갔다. 이렇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214&aid=0000608294|엎치락뒤치락을 반복하다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2000987|막판에 역전하면서 당선됐다.]] 당선된 뒤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 원내대변인을 지냈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상임부의장을 역임했다. 2020년 [[21대 총선]]에서는, 경선에서 부승찬 전 국방부장관 정책보좌관을 누르고 승리하면서 공천을 받았고, [[미래통합당]] [[부상일]] 후보와의 리턴 매치에서도 압승하면서 재선에 성공했다. 2020년 8월 30일, 신임 [[이낙연]] 대표의 당대표 비서실장에 임명되었다.[[https://www.news1.kr/articles/?4041510|#]] 2022년 제 20대 대통령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수석대변인과 비서실장으로 활동했다. [[https://news.v.daum.net/v/20211126161052522]]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년 만의 민주당 출신 도지사 당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다함께미래로오영훈HD.jpg|width=100%]]}}} || >'''다함께, 미래로[br]일하는 도지사 오영훈'''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슬로건 ---- 2022년 3월 12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출마를 위해 [[제주시 을]] 지역위원장 사퇴서를 중앙당에 제출했다. 더불어민주당의 제주도지사 후보로 확정 될 경우 해당 지역구는 보궐선거를 치루게 된다.[[https://www.yna.co.kr/view/AKR20220313009000056|#]] 2022년 4월 14일, 민주당 공관위에서 [[김태석(1955)|김태석]] 도의원을 컷오프하고 오영훈 의원과 [[문대림]] 전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이사장과 양자 경선을 결정하면서 맞대결을 펼치게 됐다.[[https://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91548|#]] 2022년 4월 27일 발표된 경선 결과, 53.13%를 득표해 [[문대림]] 후보를 누르고 당의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선거 후보자가 되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220427177751001|#]] [[더불어민주당]] [[제주도지사]] 후보 선출 후 4월 29일 의원직 사퇴서를 제출하였고, 국회가 폐회중이었기 때문에 본회의 의결 없이 [[박병석]]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이 직접 의원직 사퇴서를 수리하여 의원직 사퇴가 이루어졌다. 선거 과정에서 여론조사 상 우위를 바탕으로 무난히 선거 운동을 치렀으나 막판 [[이재명]] [[계양구 을]] 국회의원 보궐선거 후보의 [[김포공항 이전 논란/이재명의 이전 공약 논란|김포국제공항 이전 공약 논란]]이 생기면서 문제가 있었다. 오 후보를 비롯한 민주당 제주도당에서는 즉각 반대성명을 내고 "제주의 미래와 도민의 자주권은 송영길 후보와 이재명 후보에게 있지 않다", "김포공항 이전은 국토교통부 공항개발종합계획에 포함돼야 가능하다"며 사실상 이전 불가 의견을 내놓았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국민의힘]]의 공세를 '악의적인 프레임 씌우기'로 규정하고 "국민의힘은 이재명 후보의 정책 발표 단계에 불과한 김포공항 이전 발언과 관련해 프레임 씌우기에 총력전을 펴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이준석]] 대표가 '제주관광 말살' 프레임을 씌우자 [[허향진]] 도지사 후보를 비롯한 국힘 후보들은 한술 더 떠 '제주경제 파탄' 프레임으로 확산시켰다"며 "이 같은 갈등 조장 프레임 씌우기는 없어져야 한다"고 국민의 힘을 비판했다.[[https://www.news1.kr/articles/?4695225|#]] [[2022년]] [[6월 1일]] 진행된 본선 방송 3사 출구조사에서 과반을 넘는 56.5%를 득표할 것으로 예측, 오차범위 밖에서 [[국민의힘]] [[허향진]] 후보를 누르고 당선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경합지로 분류된 3곳을 제외하고 4:10으로 제1야당 [[더불어민주당]]의 참패가 전망된 출구조사지만 민주당 후보들 중 유일하게 비[[호남권]]에서 확실하게 승리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LDWNjHOke8)]}}}|| 실제 개표 결과, 출구 조사와 비슷한 55.14% 득표율을 얻어 상대 국민의힘 허향진 후보를 15.66%p 차로 누르고 [[제주특별자치도지사]]에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으로서는 [[새천년민주당]] 시절인 [[2002년]] 열린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승리한 이후 무려 20년만에 제주도지사 선거 승리다. 전국 기준으로는 참패를 당한 민주당에 [[김동연]] 경기지사와 함께 호남 밖에서 당선된 2인이 되면서 그나마 위안이 되었다. 당선 이후 전직 제주대학교 총장인 [[송석언]]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민선 8기 제주지사직 인수위원장으로 임명하였다. === 제39대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2022년 7월 27일 첫 고위급 인사에서 [[제주특별자치도 부지사|정무부지사]]에 [[김희현]] 전 도의회 부의장, [[제주시장]]에 [[강병삼(법조인)|강병삼]] 변호사, 서귀포시장에 [[이종우(정치인)|이종우]] 전 남제주군의회 의장을 후보자로 지명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의 행정시장 청문회 결과 제주시장에 지명된 강 변호사는 부적합, 서귀포시장에 지명된 이 전 의장은 적합하다는 판정이 나왔으나 제주시장 후보자는 부적합임에도 불구하고 임명을 강행하였다. 2022년 11월 23일, 선거법 위반 및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불구속 기소되었다.[[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6476524?sid=102|#]] 2023년 1월 12일, 도정 첫 행정부지사를 도 출신 인사인 [[김성중(1967)|김성중]] 행안부 국장으로 낙점하였다. == 논란 및 사건사고 == === 4·13 총선 역선택 === * 오 의원은 4·13 총선을 앞두고 당내 경선이 이뤄졌던 3월 11일 자신의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홍보 동영상을 통해 '[[역선택]]'을 유도한 혐의를 받았다. 당시 오영훈 의원은 영상에서 “새누리당을 지지하시는 분들도 오영훈을 선택할 수 있다. 그때는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라고 말씀해 주셔야 오영훈에게 유효표를 던질 수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오 의원의 발언을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판단해 기소했다. [[http://news1.kr/articles/?2838796|검찰, '역선택 유도' 오영훈 의원에 300만원 구형]] * 그러나 대법원은 더불어민주당이 당내 경선의 효력을 문제 삼지 않았고, 상대 후보자도 당내 경선 결과를 수용한 점 등을 감안해 오영훈 의원에게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해 1심과 2심의 80만원 벌금형을 확정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70619110700004|'선거법 위반' 오영훈 의원 벌금 80만원 확정…의원직 유지]] === 6.13 지방선거, 4·3 유족회의 정치적 중립 문제 제기 === * 2018년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강창일]] 의원과 6월 8일 기자회견에 참석해 [[원희룡]] 후보를 돕는 4.3 유족들에게 유감을 표명했는데 오영훈 의원은 "[[문재인]] 대통령이 완전해결을 약속했음에도 무소속 후보를 지지·지원한 것에 대해 우리는 분명히 기억하겠다"고 발표했다. [[http://www.jejumaeil.net/news/articleView.html?idxno=181284|4오영훈 의원 ‘4·3 단체 협박’ 발언 논란]] * 당시 오영훈 의원 발언의 취지는 ‘4.3의 완전한 해결이 눈앞에 다가온 상황에서 제주4.3 해결을 위한 배,보상이 담긴 법안에 폐기 서명하고, 4.3 행사에 공식적으로 불참해온 원희룡 전 지사 캠프에서 4.3 유족들이 활동하는 것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https://www.nocutnews.co.kr/news/1211662|원희룡, 4.3 위령제 불참 행보 공식 사과]] [[http://www.je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522810|4.3 유족회 일부 임원 특정 제주도지사 후보 지원 '공방']] * 제주 4.3희생자유족회는 "명백한 협박"이며 "어느 누구의 공식적인 지지선언 또는 성명서를 발표 하지도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4.3유족회는 "다만 개인의 자유에 의해 선거운동에 참여 하는 것은 민주사회에서 어느 누구에게도 강제할 수 없다"며 "이를 방해하는 것은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심각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http://www.ijeju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209875|4.3유족회, 강창일·오영훈 발언에 분개, "4.3유족 협박하나"]] * 강창일, 오영훈 의원은 "4.3유족회에 우려와 오해를 끼친 점에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하지만, 선거 이후 당시 4.3유족회장이었던 [[양윤경(정치인)|양윤경]] 회장이 서귀포시장으로 임명되면서 보은성 인사가 사실이 되며, 4.3유족회의 정치적 중립문제가 제기되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80820059851056?input=1195m|양윤경 서귀포시장 예정자 '4·3 정치적 중립 위배' 논란(종합)]] === 범죄자 방송 퇴출의 방송법 발의 === * 범죄를 저지른 이력이 있는 연예인들의 방송출연을 막는 방송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현재도 활동하는 이수근이나 주지훈 등이 소급적용 받는다고 해서 말이 많았는데, 오 의원이 발의안 법안에 따르면 과거 범죄에 대해서는 소급적용하지 않는다. 이 방송법에 대해 당시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 78% 이상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90729_0000724934&cID=10301&pID=10300|국민 80%, 마약·성범죄·도박·음주운전 연예인 퇴출 '찬성']] [[https://www.yna.co.kr/view/AKR20190725026500001|오영훈, 마약·성범죄·도박 전과자 방송출연 금지법 발의]] * 쟁점이 됐던 것은, 정치인들 또한 범죄를 저지른 이력이 없는 게 아니라서 연예인들만 처벌하는 법안으로 보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방송 출연을 주로 하는게 연예인이라 특정 직업인 '연예인'만을 제재하는 법안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4가지 강력 범죄를 저지른 사람 모두에게 방송 출연을 제재하는 법안이다. 대중매체를 통해 대중에게 특히 청소년들에게 메시지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는 부분을 주로 검토했다. * 다만, 오 의원이 발의한 방송법의 쟁점은 연예인이라는 대상과 4대 강력범죄 전과자 기준이다. 비슷한 사건이라도 판사의 재량에 따라 양형 기준이 다른 경우도 있고, 비슷한 사건으로 아슬아슬하게 형량 기준을 비껴간 경우 등에 대한 집단지성의 논의 과정이 필요해 보인다. 정치인의 경우 공직선거법 형벌의 벌금 액수에 따라 지위 박탈 여부가 갈린다. 즉 유죄 판결을 받았다 하더라도 벌금 액수 차이로 운명이 갈리는 것이다. === [[천연기념물]] [[세계자연유산]] [[용암동굴]] 용천동굴에 동부하수처리장 증설 === 제주도 월정리에 위치한 하수처리장 용량을 증설하기 위한 공사 중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및 [[천연기념물]] 제466호로 등재된 용천동굴의 본류에 해당되는 위치가 발견[*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408415|“제주 용천동굴 본류 따로있다” 시민단체 ‘동굴 흔적 발견’ 정밀 조사 요구]]]되었다는 보도와 이 위치가 동부하수처리장과 연결[* [[https://www.newsje.com/news/articleView.html?idxno=256859|"동부하수처리장 증설공사 재개..주민들 저지로 무산"]]]되어 있고, 제주도에서 하수처리장 공사를 강행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제주도는 하수처리 용량이 초과[*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21216000800|제주 동부하수처리장 '한계'…최대 처리용량의 98.9%]]]되어 하수처리 용량을 늘려야 하나[* [[http://www.ijeju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301385|오영훈 “동부하수처리장 증설 불가피..마을회와 논의 기대”]]], 문화재 및 세계 자연 유산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02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제주 제주 1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5,689 (29.86%) || 낙선 (2위) || ||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 제주 2 || [include(틀:열린우리당)] || '''3,146 (36.66%)''' ||<|5> '''당선 (1위)''' || '''초선'''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5,076 (59.43%)''' || '''재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 제주 [[제주시 을|제주 을]] ||<|3>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4,338 (45.19%)''' || '''초선'''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67,206 (55.35%)''' || '''재선'''[* 2022.4.29.: 의원직 사퇴(제주도지사 출마).] || || 2022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163,116 (55.14%)''' || '''초선'''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3회 전국 동시지방선거_오영훈.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4회 전국 동시지방선거_오영훈.jpg|width=100%]]}}}||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e5e5e5 3회 지선}}}]] {{{#000,#e5e5e5 (제주 제주시 제1선거구)}}}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e5e5e5 4회 지선}}}]] {{{#000,#e5e5e5 (제주특별자치도 제2선거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5회 전국 동시지방선거_오영훈.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20대 국회의원 총선거_제주시 을_오영훈.jpg|width=10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e5e5e5 5회 지선}}}]] {{{#000,#e5e5e5 (제주특별자치도 제2선거구)}}}[* 벽보 자료가 없어서 책자형 선거공보물을 업로드했다.]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e5e5e5 20대 총선}}}]] [[제주시 을|{{{#000,#e5e5e5 (제주 제주시 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21대 국회의원 총선거_제주시 을_오영훈.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더불어민주당 제주지사 후보 오영훈.jpg|width=100%]]}}}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e5e5e5 21대 총선}}}]] [[제주시 을|{{{#000,#e5e5e5 (제주 제주시 을)}}}]]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e5e5e5 8회 지선}}}]] [[제주특별자치도지사|{{{#000,#e5e5e5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 == 소속 정당 == || '''소속''' || '''기간''' || '''비고'''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995 - 2000 || 창당[* [[https://www.mediajeju.com/news/articleView.html?idxno=154046|#]]][br]정계 입문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 - 2003 || 합당[*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3 || 탈당[*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3 - 2007 || 입당 ||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2007 - 2008 || 합당[*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 || 합당[* [[민주당(2007년)]]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08 - 2011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1 - 2013 || 합당[*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14 || 탈당[* [[새정치연합]] 참여를 위한 탈당] || || [include(틀:새정치연합)][br]([include(틀:무소속)]) || 2014 || 창당준비위원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5680766?sid=100|창당발기인 명부에 이름을 올렸다.]]]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창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5 - 현재 || 당명 변경 || == 여담 == * 증조부 오원정(吳元楨, 1899. 9. 3 ~ 1948. 12. 27)[* 정의향교(旌義鄕校)의 훈장을 지냈다. 오영훈의 5대조 오서봉(吳瑞鳳, ? ~ ?. 8. 1) 또한 정의향교의 훈장을 지낸 바 있다.]과 조부 오병희(吳秉熙, 1922. 8. 15 ~ 1948. 4. 24)가 [[제주 4.3 사건]]에 휘말려 희생되었다. * 원래는 머리카락 색깔이 꽤 빨리 희게 변한 완전한 [[백발]]의 정치인이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 당선됐을 때부터 한동안 자연스러운 백발을 유지했으나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를 준비하면서 검은색으로 염색했다. 국민 누구든지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정치인의 이미지를 심어주고 싶어서 머리 색을 바꿨다고 한다. * [[의정부시 갑]]의 [[오영환]] 의원과 이름을 헷갈려하는 사람도 있다. 더구나 같은 [[이낙연계]]라서 더 헷갈리는 측면도 있다. * 민선 6-7기 지사를 지낸 [[원희룡]] 전 지사에 이어 두번째 [[서귀포시]] 출신 민선 도지사이다. * 일명 '제주도 배트맨'으로 불리는 인물이 그를 은인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한다.[[https://www.instagram.com/p/CeS3CE0LsW5/?igshid=YmMyMTA2M2Y=|#]] 과거 운동을 그만둘뻔 했을때 도움을 줬다고 한다. * 역대 민선 제주도지사들 중 유일하게 제주도의원을 지냈다. * 2021년 6월 7일, [[국민권익위원회]]가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과 가족 816명의 최근 7년 [[부동산]] 거래 내역을 전수 조사한 결과 농지법 위반 의혹이 제기되었다. 이에 8일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자진 [[탈당]]을 권유했으나 동년 10월 19일, [[제주경찰청]]은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장(민선 8기))] ---- [include(틀:민선 8기 광역단체장/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제주특별자치도)] ----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의 계파 분류)]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주특별자치도지사]][[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회의원]][[분류:군위 오씨]][[분류:서귀포시 출신 인물]][[분류:1969년 출생]][[분류:열린우리당 광역의회의원]][[분류:대통합민주신당 광역의회의원]][[분류:통합민주당(2008년) 광역의회의원]][[분류:민주당(2008년) 광역의회의원]][[분류:민주통합당 광역의회의원]][[분류:제20대 국회의원]][[분류:제21대 국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분류:서귀포고등학교 출신]][[분류:제주대학교 출신]][[분류: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신]][[분류:제주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해군 출신]][[분류:학생운동가]][[분류:국회의원 보좌관 출신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