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BC 공채 탤런트)] ||<-2> '''{{{+1 오연수}}}[br]吳娟受|Oh Yunsoo'''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배우 오연수.png|width=100%]]}}} || ||<|2> '''출생''' ||[[1971년]] [[10월 27일]] ([age(1971-10-27)]세)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 || '''본관''' ||[[해주 오씨]]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신체''' ||165cm, 47kg[* 전성기 때는 167cm가 공식 프로필이었다. 키를 속인 거다. 물론 오연수만한 피지컬도 당시로는 흔치 않았다. 당시 미스코리아가 보통 166~170cm 정도였으니까 이 정도면 훌륭한 피지컬이다. 실제 키는 [[최진실]](162cm)보다 좀 큰 수준이다.], [[O형]], 240mm || ||<|2> '''가족''' ||배우자 [[손지창]]^^(1998년 결혼 - 현재)^^ || ||장남 손성민^^(1999년 5월 6일생)^^[br]차남 손경민^^(2003년 8월 25일생)^^ || || '''학력''' ||[[서울여의도초등학교]] {{{-2 (졸업)}}}[br][[여의도중학교]] {{{-2 (졸업)}}}[br][[안양예술고등학교]] {{{-2 (연극영화과 / 졸업)}}}[br][[단국대학교]] {{{-2 (연극영화학과 / 중퇴)}}} || || '''데뷔''' ||[[1989년]] [[MBC]] 19기 공채 탤런트 || || '''종교''' ||[[개신교]]([[침례회]]) || || '''MBTI''' ||[[INFJ]] || || '''링크''' ||[[http://instagram.com/yunsoo.official?igshid=NDk5N2NlZjQ=|[[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ohyunsoo, 크기=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연수 교보생명 광고.jpg|width=100%]]}}} || || '''{{{#ffffff ▲ '교보생명' 광고 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연수.gif|width=100%]]}}} ||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여의도중학교 3학년 때 잡지 모델로 데뷔, [[안양예술고등학교|안양예고]]에 진학하며 본격적으로 광고 모델과 잡지 화보 모델 등을 하였다. 고등학교 3학년인 1989년 MBC 공채 탤런트 19기에 합격, 바로 1990년 MBC 드라마 [[춤추는 가얏고]]의 주연으로 발탁, 연예계 활동을 시작하였다. 당시 제작진은 [[춤추는 가얏고]]의 오디션을 공채 신인 탤런트를 상대로 진행했고, 그 중 오연수가 주연으로 발탁되었다. 그리고 데뷔작 답지 않은 연기력과 청순한 외모로 화제를 모으며 일약 스타덤에 올라섰다. 촬영 당시 PD인 장수봉이 호랑이로 유명한 사람이라 못 하겠다고 도망친 일도 있고, 자기 촬영분 없어도 스탭과 함께 버스를 타고 촬영지를 돌면서 다른 연기자들을 모니터링했어야 할 정도로 고생을 했는데, 결국 그런 경험이 그후의 연기 생활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1998년에 [[손지창]]과 결혼하였다. 그래서인지 2011년 6월 26일, 손지창의 이복형제인 [[임재범]]의 콘서트에 가기도 했다. == 활동 == [[여명의 눈동자]]에선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와 악착같이 살고자 하나 결국 목숨을 잃는 역할을 연기하면서 몸을 사리지 않는 열연으로 짧지만 임팩트 있는 모습을 보여줬고, 이로 인해 오연수는 시청자들의 기억에 남게 된다. 신인시절 [[최민수]]와 함께 출연한 [[MBC 베스트극장]] [[달]] 편에선 왜장을 사랑하게 되는 조선 여인 역을 잘 소화해내기도 했었다. 성서 외경의 [[유딧]] 이야기를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각색한 것으로, 젊고 유능한 왜장 최민수를 유혹하여 그를 암살하는 데 성공하지만 왜장과 잠자리를 한 것이 문제가 되어 백성들에게서 비난을 받게 되는 여주인공 역이었다. 참고로 이 드라마에서 당시 무명이던 신인 공채 탤런트 [[한석규]]가 가마꾼 역으로 출연하기도 했다. 지병인 요통으로 당시에 맡았던 가마꾼 역할이 힘들었었다고 한다. 이후 오연수는 [[아들과 딸]]에 출연해 순진함과 더불어 백치미도 살짝 있는 배역 성자 캐릭터를 연기하며 인기를 이어갔다. [[달]]에서 가마꾼 역할을 맡았었던 한석규는 이 드라마에서 부드럽고 지적인 석호 캐릭터를 연기하며 시청자들의 많은 사랑을 받게 된다. 첫 영화인 [[아래층 여자와 위층 남자]]에선 역시나 안방극장의 청춘스타 [[최수종]]과 결혼했다 헤어졌다 하며 신나게 치고 박는 부부로 출연, 밤에 너무 신나게 놀아서 자꾸만 코피를 터뜨리는 장면 등 드라마에서와는 다른 개그 있는 발랄한 모습을 연기하면서 영화를 흥행 성공으로 이끌었다. 한편 [[장군의 아들]] 3탄에도 출연해 김두한 역을 맡은 [[박상민(배우)|박상민]]과 커플로 나오면서 소리만 나오는 베드신을 연기하기도 했다. KBS 쪽으로 발을 넓히면서 출연한 드라마인 [[일요일은 참으세요]]에선 당시 청춘 스타였던 [[손지창]]과 햇병아리 부부로 등장해 영화에서 보여줬던 발랄한 모습을 이어갔다. 거기다 장현수 감독의 영화 [[게임의 법칙]]에선 느와르 장르의 연기를 시도, 훌륭한 연기력을 보여줌으로써 인기가도를 이어갔다. 청순가련한 연기와 발랄한 연기로 드라마에서의 활동을 이어가는 한편, 김영빈 감독의 영화 [[불새]]에 출연해 세련된 도시 여자의 연기를 보여줬고, 불새 이후로는 현대를 살아가는 도시 여성의 배역을 맡는 일이 점차 늘어났다. [[복수혈전(드라마)|복수혈전]]이나 [[내일을 향해 쏴라]]가 오연수의 이런 이미지 변화 후 나온 히트작 드라마들이다. 결혼 후에도 2000년을 제외하고는 매년 꾸준히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2000년대에는 [[결혼의 법칙]], [[눈사람(드라마)|눈사람]], [[거침없는 사랑]] 등의 드라마에서 90년대 중후반기에 보여줬던 처연함 있으면서 차가운 도시를 살아가는 여성의 이미지를 잇는 노처녀나 주부를 주로 연기했다. 2006년 사극 [[주몽(드라마)|주몽]]에서 우아한 이미지의 [[유화부인]]을 연기하였다.[* 참고로 [[주몽|아들]] 역을 맡은 송일국 과는 동갑이다!]이런 연기 활동을 이어가면서 오연수는 적지 않은 한국의 여배우들이 결혼과 출산 후에 억척스럽게 사는 아줌마 연기의 테크를 타는 것과 다른 길을 가나 싶었지만, 2004년에 [[오지호]]와 함께 출연한 [[두번째 프러포즈]]에선 마트에서 할인상품에 집착하고 옷도 대충 입는 캐릭터를 연기하며 이미지 변신을 시도하기도 했다. 그러다 2008년에 데뷔작 [[춤추는 가얏고]]의 작가였던 [[정하연]]이 각본을 쓴 드라마 [[달콤한 인생(2008년 드라마)|달콤한 인생]]의 주연을 맡았다. 드라마의 시청률은 낮았지만 오연수는 섬세한 감정 연기와 함께 10살 연하인 이동욱과 불륜에 빠지며 혼란을 겪는 연기를 완벽하게 보여주며 호평을 받았다. 특히나 이 드라마의 수영장 신에서 보여준 몸매는 20대들이 찬사를 보낼만큼 대단했다고.[[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9&aid=0001948898|#]] 오연수 자신도 인생술집에서 연기에 대해 알게된 무렵 찍은 작품으로 기억하고 있다. 달콤한 인생 이후 오연수는 청순하고 이미지와, 탁월한 자기관리로 인해 30, 40대 여성들의 워너비가 되고, 연하남과 잘 어울리는 연상녀 타이틀을 얻게 된다. 2010년에 연하인 김남길과 위험한 사랑에 빠지는 홍태라 역으로 출연한 [[나쁜남자(드라마)|나쁜 남자]]는 우아하면서 까칠한 이미지로 자신보다 가족과 회사를 지키는 재벌가의 딸의 모습에서 위험한 사랑에 빠지면서 겪는 위태로운 모습과 그 특유의 마음이 미어지는 슬픈 눈빛까지 다양한 연기를 보여주며 10대 20대 연하 남성들의 사랑을 받았다. 실제로 연하남들에게 구애의 메세지도 많이 받았다고 한다. 2014년 MBC 드라마 [[트라이앵글(드라마)|트라이앵글]]을 끝으로 활동이 중단된 상태인데, 유학 간 자녀 양육으로 인해 미국에서 지내는 상태다. 배우로서 은퇴를 한 건 아니지만 복귀가 언제쯤 될지는 모르는 상태다.[* [[손지창|남편]]과 더불어 별다른 구설과 연기력 논란도 없는 상태로 순전히 자녀 양육으로 인한 은퇴로 봤으나, 2017년 손현주 주연의 [[크리미널 마인드(tvN)|크리미널 마인드]]에 특별출연한 걸 보면 배우로써 끈은 놓지 않은 듯 보인다.] 하지만 개인 SNS로 간간히 근황은 알리고 있다가. 2022년 tvN 드라마 [[군검사 도베르만]]의 악역 노화영을 통해 연기 활동을 재개했다. 드라마 자체는 여러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호불호가 심하게 갈렸으나[* 특히 군 관련 고증이 전혀 안 된 상태로 거의 판타지 드라마에 가까운 수준이였던지라 군필자들의 반응이 굉장히 험악했다.] 오연수 본인은 소름돋는 악역을 잘 소화했다는 호평을 받았다. == 출연 작품 == === 영화 === ||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2> 1992년 || [[아래층 여자와 위층 남자]] || 유영희 || || || [[장군의 아들]]3 || 장은실 || || || 1994년 || [[게임의 법칙]] || 태숙 || || || 1995년 || 피아노가 있는 겨울 || || || || 1997년 || 불새 || 미란 || || || 1998년 || [[기막힌 사내들]] || 화이 || || ||<|2> 2013년 || [[남쪽으로 튀어]] || 안봉희 || || || 아이리스II : 더 무비 || 최민 || || || 2014년 || [[타짜: 신의 손]] || 전망대 여인 || 특별출연 || === 드라마 === || '''연도''' || '''방송사''' || '''제목''' || '''배역''' || '''비고''' || || 1990년 ||<|9>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춤추는 가얏고]]''' || '''무희''' || 데뷔작 || ||<|2> 1991년 || [[산 너머 저쪽]] || 은경 || || || [[춘사 나운규]] || 현방란 || || || 1991년~1992년 || '''[[여명의 눈동자]]''' || '''이봉순''' || || ||<|3> 1992년 || [[두 자매]] || 진난영 || || || [[두 여자]] || 오혜정 || || || [[베스트극장]] - 남자만 넷 || || || || 1992년~1993년 || [[아들과 딸]] || 성자 || || || 1993년 || [[제3공화국(드라마)|제3공화국]] || [[김호남]] || || || 1993년~1995년 ||<|2>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일요일은 참으세요]]''' || '''하진영''' || || ||<|2> 1994년 || [[남자는 외로워]] || 부당실 || || ||<|2>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도전(드라마)|도전]] || || || || 1995년~1996년 || [[전쟁과 사랑]] || 양선옥 || || ||<|2> 1996년 ||<|3> [[SBS TV|[[파일:SBS 로고(1994-2000).svg|width=40]]]] || [[사랑의 이름으로(드라마)|사랑의 이름으로]] || 강혜원 || || || [[만강]] || 보옥 || || || 1996년~1997년 || [[엄마의 깃발]] || 서윤희 || || || 1997년~1998년 ||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복수혈전(드라마)|복수혈전]] || 이민주 || || ||<|3> 1998년 || [[SBS TV|[[파일:SBS 로고(1994-2000).svg|width=40]]]] || [[삼김시대(드라마)|삼김시대]] || 차용애 || || ||<|3>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적과의 동거]] : 미녀와 야수 || 미경 || || || '''[[내일을 향해 쏴라(드라마)|내일을 향해 쏴라]]''' || '''고은비''' || || || 1998년~1999년 || '''[[사랑과 성공]]''' || '''김인애''' || || || 1999년~2000년 || [[SBS TV|[[파일:SBS 로고(1994-2000).svg|width=40]]]] || [[맛을 보여 드립니다]] || 이영남 || || || 2001년 ||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결혼의 법칙]] || 고금새 || || || 2002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거침없는 사랑]]''' || '''서경주''' || || || 2003년 ||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눈사람(드라마)|눈사람]]''' || '''서연정''' || || || 2004년 ||<|2>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두번째 프러포즈]]''' || '''장미영''' || || || 2005년~2006년 || [[슬픔이여 안녕]] || 박여진 || || || 2006년~2007년 ||<|2>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주몽(드라마)|주몽]]''' || '''[[유화부인]]''' || || || 2008년 || '''[[달콤한 인생(2008년 드라마)|달콤한 인생]]''' || '''윤혜진''' || || || 2009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공주가 돌아왔다]] || 차도경 || || || 2010년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나쁜남자(드라마)|나쁜남자]]''' || '''홍태라''' || || || 2011년 ||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계백(드라마)|계백]] || 사택비 || || || 2013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아이리스 2]]''' || '''[[최민(아이리스 2)|최민]]''' || || || 2014년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트라이앵글(드라마)|트라이앵글]] || [[황신혜(트라이앵글)|황신혜]] || || || 2017년 ||<|2>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크리미널 마인드(tvN)|크리미널 마인드]] || [[크리미널 마인드(tvN)/등장인물#s-2|서혜원]] || 특별출연 || || 2022년 || '''[[군검사 도베르만]]''' || '''[[군검사 도베르만/등장인물#노화영|노화영]]''' || || || 2024년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 ||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등장인물#윤지수|윤지수]] || || === 방송 === || '''출연일''' || '''방송사''' || '''프로그램명''' || '''역할''' || '''비고''' || || 2009년 9월 5일 ||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세바퀴]] ||<|3> 게스트 || || || 2011년 11월 28일 ||<|2>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힐링캠프]] || [[http://allvod.sbs.co.kr/allvod/vodEndPage.do?mdaId=22000078626|#]] || || 2011년 12월 4일 ||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 [[http://allvod.sbs.co.kr/allvod/vodEndPage.do?mdaId=22000052376|#]] || || 2012년 11월 22일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휴먼다큐 사랑 - 우리 엄마 본동댁 || 내레이션 || || || 2017년 6월 25일~7월 2일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미운 우리 새끼]] || 스페셜 MC || [[http://allvod.sbs.co.kr/allvod/vodEndPage.do?mdaId=22000234544|#]] [[http://allvod.sbs.co.kr/allvod/vodEndPage.do?mdaId=22000235558|#]] || || 2017년 10월 15일~11월 12일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나의 외사친]] || 고정출연 || || || 2018년 7월 19일~26일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인생술집]] ||<|2> 게스트 || with 이혜영 || || 2019년 1월 26일~2월 9일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현지 패키지로 세계일주 - 뭉쳐야 뜬다 시즌2]] || with 고두심, 이혜영, 임수향 || || 2021년 6월 21일 ||<|2>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 || VCR 출연 || with 손지창 || || 2021년 || 워맨스가 필요해 || || || || 2022년 8월~ || [[MBN|[[파일:MBN 로고.svg|width=40]]]] || 무작정투어 - 원하는대로 || 출연자 || with 신애라, 박하선, 최지우, 윤유선, 이경민 || || 2023년 7월 3일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 || 출연자 || with 손지창 || === 광고 === || '''연도''' || '''기업명''' || '''브랜드명''' || || 2005년 ||<|2> [[교보생명]] || 무배당 New 교보다이렉트건강보험 || || 2006년 || 무배당 New 교보다이렉트내리사랑정기보험 || == 수상 경력 == || '''연도''' || '''시상식명''' || '''수상 부문''' || '''작품''' || || 1990년 || [[MBC 연기대상]] || 여자 신인상 ||<|2> 춤추는 가얏고 || || 1991년 || 제27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 ||<|2> 1992년 || 제13회 [[청룡영화상]] || 신인여우상 ||<|3> [[장군의 아들]] 3, 아래층 여자 위층 남자 || || 제3회 춘사대상영화제 || 새얼굴 여자연기상 || ||<|2> 1993년 || 제29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 || [[KBS 연기대상]] || 우수 연기상 || 일요일은 참으세요 || || 1998년 || [[MBC 연기대상]] || 최우수 연기상 || 내일을 향해 쏴라, 사랑과 성공 || || 2003년 || 제37회 납세자의 날 || 대통령표창 || || || 2004년 || [[KBS 연기대상]] || 여자 최우수상 || [[두번째 프러포즈]] || || 2006년 || [[MBC 연기대상]][* 개인사정상 불참하여 VCR을 통해 수상소감을 전했다.] || 대하사극부문 특별상 || [[주몽(드라마)|주몽]] || || 2010년 || 스타일 아이콘 어워즈 || 패셔니스타상 || || == 여담 == * [[안양예고]] 시절부터 이미 광고 모델 등으로 활동을 하다 보니 아무래도 학교에서 조퇴로 빠진 일도 많았었는데, 그런 오연수를 선배들이 질투해서 통학버스에서 볼 때마다 괴롭혔었다고 밝혔다. 그래서 학창시절이 별로 그립지 않다나. 참고로 [[김민종]], [[이상아]], [[남희석]]과 안양예고 동기동창이다. * [[안양예술고등학교|안양예고]] 시절 동기인 [[김민종]]과 고딩 시절부터 친구지만 같은 그룹인 [[더 블루]]의 [[손지창]]과 결혼하며 더더욱 친해졌다. * 학창시절부터 미모로 이미 소문이 자자해서 따라다니는 남학생들이 한두 명이 아니었다고 오연수의 담임교사가 방송에서 직접 밝혔었다. * 어머니가 이혼 후 [[여의도]]에서 카페형 [[술집]]을 했고 이곳에 방송국 사람들이 단골로 드나들었는데, 단골들에게 어머니가 하도 딸 자랑을 해서 방송국 사람들 중 오연수의 이름과 얼굴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지경이었다. 오연수가 공채되자마자 주연으로 발탁된 건 저런 어머니 덕이 아닌가 하는 말이 있기도 한데, 결국 데뷔작으로 드라마도 성공하고 오연수도 성공했기에 실력도 없이 빽으로 자리 차지했다 소리를 듣지는 않았다. 오연수의 데뷔 이후론 어머니가 매니저 역까지 하며 오연수를 도와 온갖 궂은 일까지 맡아 했다고 한다. * 공채 탤런트다 보니 데뷔 당시 받은 출연료는 하루에 9,600원이었다고 한다. * 남편 손지창과는 초등학교 중학교 1년 선후배 사이[* 여의도초~여의도중 출신.]이다. 서로 학교의 미남미녀로 유명해 얼굴은 알고 있었다고. 1989년 고3 때 광고 촬영장에서 재회해 1992년초부터 사귀기 시작, 1998년 5월 결혼하였다. 1993년 "일요일은 참으세요"에 함께 신혼부부로 출연할 때 이미 비밀연애중이었는데 이를 모르던 [[백일섭]]이 다리를 놓아주려고 했다고 한다. * 도회적이고 세련된 이미지의 배우지만 단아함은커녕 오히려 성격은 상당히 털털하다. 오연수 스스로도 단아함이 아예 없는 여자임을 인정했다. * 2000년대 이후론 1990년대 중후반부터 이어온 도시 여자 연기가 많아서 그런지 오연수는 가난에 찌들거나 아주 험하게 사는 연기는 거의 하지 않은 걸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1990년대 초중반에 오연수는 험한 역도 몸을 사리지 않고 연기한 것 때문에 연기자로서 인정을 받았다. * 모친이 [[라스베가스]] [[카지노]]에서 잭팟을 터뜨리면서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그 덕에 절친인 [[이혜영(1971)|이혜영]]이 라돌체비타 뮤직비디오를 라스베가스 업체 관계자 허락으로 공짜로 찍을 수 있었다. 이것은 아시아 여가수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원칙적으로는 [[라스베가스]] 벨라지오 호텔에서는 촬영이 제한된다. * [[1박 2일]] 여배우 특집에서 출연 배우 물망에 올랐으나, 촬영일이 큰 애 생일이라고 출연을 고사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g.mimint.co.kr/124320130707110310.jpg|width=100%]]}}} || || {{{#white '''12살 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9bf661ce4d824a67faef09204d5cc83958b9be2b118f7de5c4ef3f5ff72ec3e4.jpg|width=100%]]}}} || || {{{#white '''고등학교 졸업사진'''[* 우측 사진은 오연수가 첫 숏컷을 하고 드라마 나쁜 남자(2010)를 찍을 당시 스틸 컷인데, 이때 "왜 갑자기 숏컷을 했나?"는 기자의 질문에 대한 대답이 '''"이제 좀 (화면에) 예쁘게 나오고 싶어서요"'''였다.]}}} || 자연미인인 것으로도 유명한데, 초등학교 때의 얼굴과 거의 똑같을 정도로 그대로 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3.inews24.com/1410911673172_1_085916.jpg|width=100%]]}}} || 게다가 50대인 현재에도 미모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myhotnews.co.kr/14539.jpg|width=100%]]}}} || 장남인 손성민이 국제대회에서 상까지 받을 정도로 그림 실력이 엄청 뛰어난 것으로도 알려졌다. [[분류:한국 여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한국의 드라마 배우]][[분류:영등포구 출신 인물]][[분류:1971년 출생]][[분류:해주 오씨]][[분류:1989년 데뷔]][[분류:서울여의도초등학교 출신]][[분류:여의도중학교 출신]][[분류:안양예술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