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설명 == '''오악(五岳)'''이란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각국에 존재하는 다섯 개의 [[산|명산]]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해발고도가 높다거나 하는 것과는 직접적인 상관은 없다. 사상적 상징성을 따져서 선정된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오악 중 하나인 [[태산]]은 명성에 비해 그렇게 엄청 높은 산이 아니다.[* 다만 태산이 위치한 산동성 부근에서는 산 다운 산으로는 태산이 유일하다.] 그래서 중국의 오악에 중국 영토에서 가장 높은 산인 [[에베레스트]]가 없고,[* 에베레스트는 전통적인 중국의 강역 밖에 있으므로 오히려 오악에 포함되는 것이 이상한 일이다.] 한국의 오악에 [[백두산]]이나 [[한라산]]이 항상 들어가지 않는다. 물론 큰 산이나 아름다운 산은 자연스레 고대부터 숭배되었기에 고대인들의 오악은 현대 기준으로도 빼어난 명산이다. 전설에 의하면 창세신 [[반고]]의 사후 오체가 산이 된 것이 오악이라고 한다. 이러한 오악은 [[전국시대]] 이후 [[오행]] 사상, 그리고 산악신앙의 영향을 받아 거론되기 시작했다는 것이 통설이다. 이 때문에 오악은 [[종교]]적으로도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데, 숭산의 경우 [[불교|불문]]의 [[성지]]이고 화산, 태산 등은 [[도교]] 종파의 본산이기도 하다. 참고로 형산과 항산은 중국어로 똑같이 헝산이라고 한다. 심지어 성조도 같다(Héng Shān). 그래서 발음이나 병음으로는 혼동할 수 있다. == 각국의 오악 == === 중국의 오악 ===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include(틀:중국의 오악)] 오악 개념의 원조인 [[중국]]의 오악은 태산(泰山), 화산(華山), 형산(衡山), 항산(恒山), 숭산(嵩山/崇山)을 말한다. === [[한국의 오악]] === 기록상 [[신라]], [[조선]], [[대한제국]] 시대에 각자 오악을 선정해 제사를 지냈다. 해당 문서 참조. === [[대만]]의 오악(五嶽[* 嶽 역시 '큰 산 악' 자로 岳의 이체자이다.]) === [[위산(대만)|위산]](玉山, 옥산)(3,952m), [[시우구뤈산]](秀姑巒山, 수고란산)(3,833m), 쉐산(雪山, 설산)(3,886m), [[난후산]](南湖山, 남호산)(3,742m), [[베이다우산]](北大武山, 북대무산)(3,092m) === [[일본]]의 오악 === [[일본 열도]] 전체를 대표하는 다섯 산이라기보다는 일본 내 각 지역별 오악이 있다. 가령 [[아소산|아소]] 오악, [[에치젠]] 오악 등이 있다. == 대중문화 속의 오악 == 중국을 주무대로 삼는 [[무협소설]]에서는 중요한 지리적 설정이다. 단적으로 말해 중악 숭산에는 그 유명한 [[소림사]]가 있으며, [[구파일방]]에는 빠지지 않는 [[화산파]]도 서악 화산에 있다. 오악의 무림파벌이 다 등장하는 대표적인 무협물로 [[소오강호]]가 있다. [[삼국지 9]]에서는 일정 조건을 충족시킨 상황에서 태산을 탐색하면 봉선 이벤트가 떠서 군주의 모든 능력치가 올라간다. [[삼국지 10]]에서는 오악을 한 번씩 도는 '영산순례'라는 주점 의뢰가 있으며 순서 관계없이 마지막 산을 순례하면 신선이 나타나 모든 능력치를 1씩 올려준다. == 관련 항목 == * [[오악검파]] [[분류:산]][[분류:중국의 관광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