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스틴 프루이트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탬파베이 레이스|{{{#ffffff 탬파베이 레이스}}}]] 등번호 50번}}}''' || || 타일러 스터데반트[br](2016) || {{{+1 →}}} || '''{{{#092c5c 오스틴 프루이트[br] (2017~2018)}}}''' || {{{+1 →}}} || [[찰리 모튼]][br](2019~2020) || ||<-5> '''{{{#ffffff [[탬파베이 레이스|{{{#ffffff 탬파베이 레이스}}}]] 등번호 45번}}}''' || || 헤수스 수크레[br](2017~2018) || {{{+1 →}}} || '''{{{#092c5c 오스틴 프루이트[br](2019)}}}''' || {{{+1 →}}} || [[브렌트 허니웰 주니어]][br](2021) || ||<-5> '''[[휴스턴 애스트로스|{{{#fff 휴스턴 애스트로스}}}]] {{{#fff 등번호 51번}}}''' || || [[시오넬 페레스]][BR](2019) || {{{+1 →}}} || '''오스틴 프루이트[br](2021)''' || {{{+1 →}}} || [[윌 스미스(1989)|윌 스미스]][br](2022) || ||<-5> '''[[마이애미 말린스|{{{#00a3e0 마이애미 말린스}}}]] {{{#00a3e0 등번호 47번}}}''' || || [[해롤드 라미레스]][br](2019~2020) || {{{+1 →}}} || '''오스틴 프루이트[br](2021)''' || {{{+1 →}}} || [[지미 야카보니스]][br](2022) || ||<-5> '''{{{#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29번}}}''' || || [[라이언 크리스텐슨]][br](2018~2021) || {{{+1 →}}} || '''{{{#003831 오스틴 프루이트[br](2022~2023)}}}''' || {{{+1 →}}} || 결번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애슬레틱스프루이트.jpg|width=100%]]}}} || ||<-2> '''{{{+2 오스틴 프루이트}}}[br]Austin Pruitt''' || || '''본명''' ||오스틴 대니얼 프루이트[br]Austin Daniel Pruitt || ||<|2> '''출생''' ||[[1989년]] [[8월 31일]] ([age(1989-08-31)]세) || ||[[텍사스]] 주 플라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휴스턴 대학교]] || || '''신체''' ||178cm / 83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3 MLB 신인드래프트|2013년 드래프트]] 9라운드 (전체 278번, [[탬파베이 레이스|TB]]) || || '''소속팀''' ||[[탬파베이 레이스]] (2017~2019) [br] [[휴스턴 애스트로스]] (2021) [br] [[마이애미 말린스]] (2021)[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22~2023) || ||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us13tin,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국적의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탬파베이 레이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sa_today_10193950.0.jpg|width=100%]]}}} || [[2013 MLB 신인드래프트|2013년 드래프트]]에서 9라운드 전체 278번으로 지명받았고, 탬파베이 팜에서 계속해서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마지막으로 마이너 풀타임을 돈 2016시즌에는 AAA에서 28번 선발등판하며 162⅔이닝을 소화했고 3.76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이후 2017 시즌에는 빅리그 개막 로스터에 이름을 올렸고, 4월 2일 [[뉴욕 양키스]]와의 홈 개막전에서 5점 앞선 9회 초 대니 파콰의 뒤를 이어 등판하며 데뷔전을 가졌다. 그러나 선두타자 [[체이스 헤들리]]에게 안타를 허용한 후, 후속타자 [[애런 저지]]의 3루수쪽 약한 타구에 [[에반 롱고리아]]가 실책을 저지르며 무사 1,2루를 만들었다. 이후 [[애런 힉스]]의 안타까지 터지며 무사 만루의 위기가 되었고, 결국 마무리 [[알렉스 콜로메]]로 교체되었다. 다행히 콜로메가 승계주자를 한 명만 불러들이며 팀은 그대로 승리했다. 4월 7일 [[토론토 블루제이스]]와의 경기에서는 한 점 앞선 6회 초 점보 디아즈의 뒤를 이어 등판하였으나 안타와 볼넷 두 개를 내주며 1사 만루를 만들었고, [[호세 바티스타]]를 풀카운트 승부 끝 삼진 처리한 뒤 계속되는 2사 만루에서 재비어 세데노로 교체되었다. 세데노가 밀어내기 볼넷 두 개를 내주며 프루이트의 책임주자 두 명도 홈을 밟았다. 프루이트는 데뷔 첫 홀드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경기 내용은 ⅔이닝 2자책으로 부진했다. 4월 19일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의 경기에서는 두 점 뒤진 6회 초 2사 1,3루의 위기에서 등판해 [[빅터 마르티네즈]]를 삼진 처리하며 급한 불을 껐다. 이후 7, 8, 9를 삼진 4개 포함 무실점으로 막아냈다. 팀이 9회 말 상대 유격수 [[호세 이글레시아스]]의 끝내기 실책으로 역전승을 거두며 데뷔 첫 승리투수가 되었다. 4월 25일에는 앞선 두 경기에서 5⅔이닝 무실점 1피안타의 호투를 펼친 데에 힘입어, 오프너로 데뷔 첫 선발 등판을 가졌다. 상대는 [[볼티모어 오리올스]]. 1회에는 2사 이후 [[매니 마차도]]에게 볼넷을 내주었으나 [[크리스 데이비스]]를 땅볼 처리하며 실점하지 않았다. 2회에는 1사 이후 [[김현수(1988)|김현수]]에게 몸 맞는 공을 내준 후 [[조나단 스쿱]]에게 좌전 2루타를 맞으며 1사 2,3루의 위기를 맞았으나 [[J.J. 하디]]를 땅볼 처리한 후 칼렙 조셉을 삼진으로 정리하며 이닝을 끝냈다.3회는 볼티모어의 상위타선을 삼자범퇴 처리했고, 4회 마운드를 대니 파콰에게 넘겼다. 투구수가 54개로 다소 많았으나 3이닝 1피안타 무실점으로 무난한 투구를 펼쳤다. 2017 시즌에는 최종적으로 30경기(8선발)에서 83이닝을 소화하며 5.31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8 시즌과 2019 시즌 계속해서 빅리그 마운드에 올랐으며, 탬파베이에서의 3년간 빅리그 기록은 199⅔이닝 ERA 4.87, WHIP 1.36. === [[휴스턴 애스트로스]] === 2020년 1월 9일, 휴스턴과 탬파베이 사이에 성사된 트레이드를 통해 이적하게 된다. 이 때 탬파베이는 [[페이튼 배튼필드]]와 [[칼 스티븐슨]]을 받아오고 오스틴 프루이트를 내주었다. === [[마이애미 말린스]] === 2021년 7월 28일, 트리플A 외야수 [[브라이언 데 라 크루즈]]와 함께 [[이미 가르시아]]를 받아오는 대가로 말린스로 이적했다. 8월 5일에 지명할당되었다. 8월 20일에 다시 메이저 로스터에 합류했다. 9월 2일에 지명할당되었다. 2021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획득했다.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2022년 3월 14일,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스프링캠프 초청권이 포함된 마이너 계약을 맺었다. 3월 22일 [[캔자스시티 로열스]]와의 시범경기에서 [[A.J. 퍽]]의 뒤를 이어 석 점차 리드를 가진 6회 말 등판하였다. 선두타자 [[위트 메리필드]]에게 볼넷을 내준 후 [[바비 위트 주니어]]에게 투런 홈런을 맞았다. 이후 1사 후 안타를 맞았으나 [[카를로스 산타나]]에게 병살타를 유도하며 이닝을 끝냈다. 1이닝 2피안타 2실점을 기록하였다. 3월 25일 [[밀워키 브루어스]]와의 시범경기에서 [[대니 히메네스]]의 뒤를 이어 두 점 앞선 8회 초 등판하였다. 세 명의 타자를 상대로 땅볼 하나와 뜬공 두 개를 유도하며 삼자범퇴 이닝을 만들었다. 3월 27일 [[시애틀 매리너스]]와의 시범경기에서 5점차로 뒤진 9회 초 등판하였다. 올라오자마자 선두타자 [[딜런 무어]]에게 솔로포를 내주었다. 2사를 잡은 후 [[에이브러햄 토로]]에게 안타를 맞았으나 후속타자 패트릭 프릭을 삼진 처리하며 추가 실점하지는 않았다. 평균자책점은 9.00에 머물렀다. AAA에서 개막을 맞았으나 5월 28일 [[저스틴 그림]]이 지명할당된 자리에 콜업되었다. 6월 21일 [[시애틀 매리너스]]와의 경기에서 [[훌리오 로드리게스]] - [[제시 윈커]] - [[에우헤니오 수아레스]]에게 백투백투백 홈런을 얻어맞으며 팀의 패배에 쐐기를 박았다. ⅓이닝 4자책을 기록하며 ERA는 5.56으로 대폭 상승. 27경기 37⅔이닝 ERA 4.78 fWAR -0.3을 기록하고 8월 22일 지명할당되었다. 8월 27일 [[대니 히메네스]]가 60일 부상자 명단에 등재되어 다시 콜업되었다. 9월 9일 [[시카고 화이트삭스]]와의 홈 경기의 원래 선발로 예정되었던 [[제임스 카프렐리안]]이 경기 전 옷을 입다가 부상을 당하는 황당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프루이트가 오프너로 낙점받아 선발투수로 출격했다. 프루이트는 5회까지 무실점 무사사구 '''노히트'''[* [[쉘든 노이지]], [[비마엘 마친]]의 실책으로 유이한 주자가 출루했다.]로 완벽한 호투를 하며 2017년 이후 5년만의 선발승을 따낼 기회를 얻었으나 9회 [[A.J. 퍽]]이 ⅔이닝 5실점이라는 대참사를 일으키며 팀이 패배하는 바람에 노디시전에 그치고 말았다. 시즌 종료 후 40인 로스터에서 제외되었다. 11월 7일 마이너 FA 자격을 얻었다. 2023년 1월 10일,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스프링캠프 초청권이 포함된 마이너 계약을 맺으며 복귀했다. 5월 4일 콜업되었다. 불펜 마당쇠 역할을 수행하다 8월 20일 오른팔 전완근 부상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시즌 후 FA 신분이 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오스틴 프루이트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17 ||<|3> [[탬파베이 레이스|TB]] || 30 || 7 || 5 || 1 || 1 || 83 || 5.31 || 103 || 11 || 22 || 5 || 66 || 1.506 || 79 || 0.6 || -0.7 || || 2018 || 23 || 2 || 3 || 4 || 0 || 69⅔ || 4.65 || 72 || 7 || 16 || 1 || 42 || 1.263 || 89 || 0.2 || -0.3 || || 2019 || 14 || 3 || 0 || 0 || 0 || 47 || 4.40 || 47 || 7 || 12 || 0 || 39 || 1.255 || 100 || 0.2 || 0.3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0 ||<|2> [[휴스턴 애스트로스|HOU]] ||<-16> {{{-1 시즌 기록 없음}}} || || 2021 || 2 || 0 || 1 || 0 || 0 || 2⅔ || 6.75 || 3 || 2 || 0 || 1 || 1 || 1.125 || 72 || -0.2 || -0.1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1 || [[마이애미 말린스|MIA]] || 4 || 0 || 0 || 0 || 0 || 4⅔ || 1.93 || 4 || 0 || 0 || 0 || 4 || 0.857 || 233 || 0.1 || 0.1 || ||<-2> 2021 시즌 합계 || 6 || 0 || 1 || 0 || 0 || 7⅓ || 3.68 || 7 || 2 || 0 || 1 || 5 || 0.955 || 126 || -0.1 || 0.0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2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OAK]] || 39 || 0 || 1 || 1 || 2 || 55⅓ || 4.23 || 48 || 11 || 9 || 1 || 38 || 1.030 || 89 || -0.3 || -0.2 || || 2023 || 38 || 2 || 6 || 0 || 4 || 48⅓ || 2.98 || 44 || 5 || 12 || 1 || 30 || 1.159 || 138 || 0.4 || 1.4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6시즌)''' || 150 || 14 || 16 || 6 || 7 || 310⅔ || 4.43 || 321 || 43 || 71 || 9 || 220 || 1.262 || 93 || 1.0 || 0.9 || == 여담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89년 출생]][[분류:2017년 데뷔]][[분류:플레이노 출신 인물]][[분류:휴스턴 대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탬파베이 레이스/은퇴, 이적]][[분류:휴스턴 애스트로스/은퇴, 이적]][[분류:마이애미 말린스/은퇴, 이적]][[분류: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