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include(틀:유럽의 주요 축구리그(중부유럽))] [include(틀:오스트리아의 축구 리그)] [include(틀: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2> '''{{{#000 {{{+1 {{{#002454 Admiral}}} Austria Bundesliga }}}}}}[br]{{{#000 {{{#002454 아드미랄}}}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2> [[파일:아드미랄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로고.svg|width=200]] || || '''정식 명칭'''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br] (Österreichische Fußball-Bundesliga) || || '''운영''' ||[[오스트리아 축구 연맹]][br]Österreichische Fußball-Bund || || '''창설 연도''' ||[[1911년]][br][[1974년]] [[4월 21일]] '''^^([age(1974-04-21)]주년)^^'''[* [[https://www.oefbl.at/oefbl/die-liga/geschichte/|#]]] || || '''참가 팀 수''' ||[[틀: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12개 팀]] || || '''하위 리그''' ||[[오스트리아 2. 리가]] || || '''최근 우승팀''' ||[[파일:FC 레드불 잘츠부르크 로고.svg|width=20]]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2022-23)^^ || || '''최다 우승팀''' ||[[파일:SK 라피트 빈 로고.svg|width=20]] [[SK 라피트 빈]] ^^(32회)^^ || || '''UEFA 랭킹''' ||'''11위''' [[https://www.uefa.com/nationalassociations/uefarankings/country/#/yr/2024|#]] || || '''공식 웹사이트''' ||[[http://www.bundesliga.at/de/| [[파일:아드미랄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가로형) 로고.svg|height=20]]]] || || '''공식 SNS''' ||[[https://www.youtube.com/c/%C3%96sterreichischeFu%C3%9FballBundeslig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instagram.com/oesterreichische.bundeslig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OEFBL, 크기=24)] | [[https://www.facebook.com/bundesliga74|[[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tiktok.com/@bundesliga.at|[[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스트리아]] 축구 리그의 최상위 리그이며, 중부 유럽에서는 옆나라 독일의 [[분데스리가]] 다음가는 위상을 가지고 있다. 오스트리아 리그 자체는 1911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오스트리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고 있다. 후에 1974년, 오스트리아 1부 리그는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로 새로 출범하였다.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의 [[독일어]] 정식명칭은 '''외스터라이히셰 푸스발-분데스리가(Österreichische Fußball-Bundesliga)'''이다. 현재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에는 총 12개팀이 참가하고 있다. 원래는 10팀이 참가하였으나, 2018-19 시즌부터 12팀으로 확대되었다. 경기 방식은 홈 앤드 어웨이로 치러지며, 최다 우승팀은 [[라피트 빈]]으로, 32회 우승하였다. 1, 2위팀은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 출전권[* 우승팀은 조별리그, 2위팀은 3차 예선에서 시작]을 획득하며, 컵 대회 우승팀은 [[UEFA 유로파리그]] 예선 참가권을 얻는다.[* 컵대회 우승팀이 2위 이상을 기록할 시 해당 티켓은 3위팀이 승계한다.] 리그 3, 4위팀은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예선 출전권을 얻는다. 최하위 팀은 2부 리그인 [[오스트리아 2. 리가]]로 강등된다. == 역사 == [[오스트리아]]에서 처음으로 진행된 축구리그는 1897년부터 1911년까지 진행되었던 [[챌린지컵]], [[1898년]] [[프란츠 요제프 1세]] 기념 토너먼트''Kaiser-Franz-Joseph-Jubiläums-Turnier'' [* 다만 이때는 [[빈(오스트리아)|빈]]을 연고지로 한 팀으로 한정되어 있었다.], 1900년부터 1903년까지 열렸던 타그블라트 포칼 ''Tagblatt-Pokal''이 있었다.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가 처음으로 출범한건 1911년이다. 1911-12시즌엔 11팀이 리그에 참가했으나, 이후 10팀으로 줄었다. 그러던 1938년 [[안슐루스]]로 인해 [[오스트리아]]가 [[나치 독일]]에 합병되며 오스트리아 축구 리그도 독일 [[분데스리가/기록#s-2.1.2|가울리가]]의 한 지구로서 치러지게 되었는데, 이때 [[피르스트 비에나 FC|피르스트 비에나]], [[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아드미라 빈]], [[SK 라피트 빈|라피트 빈]]이 경쟁을 뚫고 결승에 진출했고, 이들 중 라피트 빈이 독일 축구 역사상 유일한 오스트리아 클럽 우승이라는 쾌거를 달성했다. 이후 1945년부터 다시 오스트리아만의 리그로 바뀌었고 마침내 1974년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가 창설되었다. === 2023-24 시즌 참가 클럽 === [include(틀: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참가 클럽 || 전 시즌 순위 || 특이사항 || 1부리그 첫 참가 || 최근 승격 시즌 || ||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 1위 || [[UEFA 챔피언스 리그]] 본선 조별리그 진출 || 1953-1954 || 1989-1990 || || [[SK 슈투름 그라츠]] || 2위 || [[UEFA 챔피언스 리그]] 3차예선 진출 || 1941-1942 || 1966-1967 || || [[LASK 린츠]] || 3위 || [[UEFA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 진출 || 1939-1940[*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뛰지는 못했지만 자리는 유지했다.] || 2017-2018 || || [[SK 라피트 빈]] || 4위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3차예선 진출 ||<-2> 1911-1912 || || [[FK 아우스트리아 빈]] || 5위 || - ||<-2> 1911-1912 || || [[SK 아우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 || 6위 || - || 1962-1963 || 2021-2022 || || [[볼프스베르크 AC]] || 7위 || - ||<-2> 2012-2013 || || [[SC 아우스트리아 루스테나우]] || 8위 || - || 1997-1998 || 2022-2023 || || [[WSG 티롤]] || 9위 || - || 1968-1969 || 2019-2020 || || [[TSV 하르트베르크]] || 10위 || - ||<-2> 2018-2019 || || [[SC 라인도르프 알타흐]] || 11위 || - || 2006-2007 || 2014-2015 || || [[FC 블라우바이스 린츠]] || - || [[오스트리아 2. 리가]] 1위[* 창단 첫 승격] ||<-2> 2023-2024 || == 우승 트로피 == [[파일:GEPA_full_3061_GEPA-04121512037-e1482164144704.jpg|width=100%]]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기록|기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기록)]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와 대한민국 == * 현역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거는 '''볼드체'''로 표시. ||<-9><:>
<#fff> [[파일:아드미랄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가로형) 로고.svg |height=50]] || ||<:> '''{{{#ffffff 순서}}}'''[* 이적일을 기준으로 한다.] ||<:> '''{{{#ffffff 이름}}}''' ||<:> '''{{{#ffffff 클럽}}}''' ||<:> '''{{{#ffffff 기간}}}'''[* 소속팀이 리그 1 소속일 시기만 기재한다.] || '''{{{#fff 번호}}}''' || '''{{{#fff 출전}}}''' || '''{{{#fff 득점}}}''' || '''{{{#fff 팀 성적}}}''' || '''{{{#fff 비고}}}''' || || '''{{{#ffffff 1}}}''' || [[강철(축구인)|강철]] || [[파일:LASK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LASK|{{{#ffffff '''LASK'''}}}]]}}} || 2000-01 || 17 || 8 || 0 || 10위 || || || '''{{{#ffffff 2}}}''' || [[최성용]] || [[파일:LASK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LASK|{{{#ffffff '''LASK'''}}}]]}}} || 2000-01 || 26 || 13 || 1 || 10위 || || ||<|3> '''{{{#ffffff 3}}}''' ||<|3> [[서정원]] || [[파일:sv-austria-salzburg-4.pn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3c174d; font-size: 0.8em" [[FC 레드불 잘츠부르크|{{{#ffffff '''SV 잘츠부르크'''}}}]]}}} || 2004-05 || 6 || 12 || 2 || 9위 || || ||<|2> [[파일:SV 리트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7C4F; font-size: 0.8em" [[SV 리트|{{{#ffffff '''SV 리트'''}}}]]}}} || 2005-06 ||<|2> 14 || 28 || 7 || 4위 || || || 2006-07 || 27 || 2 || '''{{{#silver 2위}}}''' || || || '''{{{#ffffff 4}}}''' || [[노병준]] || [[파일:Logo_Grazer_AK.svg.pn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91111; font-size: 0.8em" [[그라츠 AK|{{{#ffffff '''그라츠 AK'''}}}]]}}} || 2006-2007 || 22 || 8 || 3 || 10위 || || || '''{{{#ffffff 5}}}''' || [[홍순학]] || [[파일:Logo_Grazer_AK.svg.pn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91111; font-size: 0.8em" [[그라츠 AK|{{{#ffffff '''그라츠 AK'''}}}]]}}} || 2006-2007 || ? || 3 || 0 || 10위 || || ||<|5> '''{{{#ffffff 6}}}''' ||<|5> [[황희찬]] ||<|5> [[파일:FC 레드불 잘츠부르크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c0033; font-size: 0.8em" [[FC 레드불 잘츠부르크|{{{#ffffff '''레드불 잘츠부르크'''}}}]]}}} || 2015-16 || 48 || 13 || 0 || '''{{{#gold 1위}}}''' || || || 2016-17 ||<|3> 19 || 26 || 12 || '''{{{#gold 1위}}}''' || || || 2017-18 || 20 || 5 || '''{{{#gold 1위}}}''' || || || 2018-19 || 0 || 0 ||<:><-2> 5R 이후 함부르크SV 임대 이적 || || 2019-20 || 9 || 27 || 11 || '''{{{#gold 1위}}}''' || || || '''{{{#ffffff 7}}}''' || [[이진현]] || [[파일:FK 아우스트리아 빈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441678; font-size: 0.8em" [[FK 아우스트리아 빈|{{{#ffffff '''FK 아우스트리아 빈'''}}}]]}}} || 2017-2018 || 21 || 13 || 1 || 7위 || || ||<|2> '''{{{#ffffff 8}}}''' ||<|2> [[오인표]] ||<|2> [[파일:LASK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LASK|{{{#ffffff '''LASK'''}}}]]}}} || 2017-18 ||<|2> 22 || 2 || 0 || 4위 || || || 2018-19 || 1 || 0 || '''{{{#silver 2위}}}''' || || || '''{{{#ffffff 9}}}''' || [[김정민(1999)|김정민]] || [[파일: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d10019; font-size: 0.8em" [[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ffffff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 || 2019-20 || 17 || 3 || 0 || 11위 || || ||<|2> '''{{{#ffffff 10}}}''' ||<|2> [[홍현석]] ||<|2> [[파일:LASK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LASK|{{{#ffffff '''LASK'''}}}]]}}} || 2021-22 ||<|2> 21 || 23 || 0 || 8위 || || || 2022-23 || 3 || 0 ||<:><-2> 3R 이후 KAA 헨트로 이적 || 한국에서는 과거 강철이 LASK 린츠로, 서정원이 SV 잘츠부르크, SV 리트로 진출했던 사례가 있으며, 최근에는 황희찬이 레드불 잘츠부르크에서 맹활약하면서 한국 팬들에게 알려졌다. 바로 옆에 있는 나라인 [[독일]]의 [[분데스리가]]를 비롯해 이웃한 나라들의 여러 빅 리그로 진출하기 위한 교두보로서는 [[적절]]하다는 평가[* 오스트리아도 독일어권 국가이다. 오스트리아에서 독일어를 익히고 독일로 진출하면 언어 적응에서 유리하다. 이렇게 독일로 건너간 선수가 바로 [[황희찬]]이다.]를 받고 있는 것인지 젊은 한국 선수들의 진출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오스트리아 리그과 K리그 중 어느 쪽이 우위에 있는가에 대해 축구 팬 사이에서 논쟁이 된 적이 있다.[* 잘츠부르크에서 주전으로 활약하던 황희찬이 2018 아시안 게임에서 부진한 것이 논란의 원인이 되었다. 기성용이 셀틱에서 활약할 때도 논란이 많은 최강희의 발언으로 인해 스코티시 프리미어십과 K리그가 비교된 적이 있다.] K리그가 우위에 있다고 주장하는 측은 오스트리아 최상위 팀인 레드불 잘츠부르크의 주전이었던 황희찬이 국가대표에서는 부진하였고, 전성기가 지난 [[서정원]]이 오스트리아 리그에 진출하여 좋은 활약을 하였다는 것[* 3시즌 동안 76경기 13골을 기록하였다. 잘한 것은 사실이지만 리그를 지배했다는 과장된 표현을 붙일 만큼은 아니다.]을 근거로 든다. 반대로 오스트리아 리그가 우위에 있다고 주장하는 쪽은 오스트리아 리그로 진출한 한국인 선수들 대부분 주전 경쟁에 실패해 국내로 돌아온다고 이야기한다. 사실 두 리그가 속한 권역이 다르고 서로 만날 일도 거의 없기 때문에 어느 쪽이 낫다고 규정하기는 힘들다. 첫째, 두 리그 모두 상하위권 팀 간의 격차가 상당히 큰 편이라는 점에서 리그 내 전력 평준화 및 경쟁도는 서로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오스트리아 리그에서 잘츠부르크가 장기 집권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K리그에서도 전북이 10년 가까이 왕조를 이어오고 있다. 둘째, 선수 사례로 리그 전체의 수준을 일반화할 수 없다. [[축구 선수]]의 기량은 매 시즌 변동 가능성이 커서 잘하던 선수가 비슷한 조건에서 심각하게 부진하기도 하고 반대로 못하다가 기량이 급상승하기도 한다. 서정원의 케이스와 비슷하게, K리그에서 잠깐 뛰다가 방출되었던 [[그라피테]]가 이후 독일 분데스리가 득점왕에 오른 적이 있다. 그렇다고 K리그가 독일 분데스리가보다 수준이 높다고 말할 수 있을까? 반대로 오스트리아 리그에 진출한 한국인 선수들이 부진한다고 해서 오스트리아 리그가 K리그보다 어렵다고도 단정할 수는 없다. 오스트리아 리그에 진출하는 한국인 선수는 기량이 어느정도 완성된 경우[* K리그와 J리그에서 커리어를 쌓고 프랑스 리그로 진출한 [[황의조]]를 예로 들 수 있다.]가 아닌 대부분 유망주 단계[* 오인표, 홍현석, 김정민 등]에 있으므로 일반화하기 어렵다. == 여담 == 유럽 리그 치고는 스폰서 면에서 굉장히 자유로운 리그 중 하나인 편이며, 2022-23 시즌 기준 12개팀중 5팀의[*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SC 라인도르프 알타흐|SC 캐쉬포인트 라인도르프 알타흐]], [[볼프스베르거 AC|RZ 펠레츠 볼프스베르거 AC]], [[SV 리트|SV 군타마틱 리트]], [[TSV 하르트베르크|TSV 에거 글라스 하르트베르크]]] 공식 명칭에 스폰서명이 들어간다. 또한 유니폼에 부착할수 있는 광고 숫자의 제한이 없는지 거의 입는 광고판 수준의 유니폼이 상당히 자주 보인다.[[https://www.footballkitarchive.com/tsv-hartberg-2022-23-home-kit/|이]][[https://www.footballkitarchive.com/wolfsberger-ac-2022-23-home-kit/|런]][[https://www.footballkitarchive.com/austria-klagenfurt-2022-23-third-kit/|식]][[https://www.footballkitarchive.com/sv-ried-2022-23-home-kit/|으]][[https://www.footballkitarchive.com/austria-lustenau-2022-23-home-kit/|로]]. == 참고 == * [[ÖFB컵]] * [[ÖFB슈퍼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