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스트리아의 역사)] [include(틀:오스트리아 제국 구성 제후국)] ||<-3> {{{+1 '''외스터라이히 대공국'''}}}[br]{{{-1 '''Erzherzogtum Österreich'''}}} || ||<-2><#fff,#191919>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100%]] || [[파일:오스트리아 대공국 국장.svg|width=65%]] || ||<-2> '''국기''' ||<#ce1126> {{{#fff '''국장'''}}} || ||<-3><#fff,#191919> [[파일:Österreich(kaiserlich und königlich).png|width=300]] || ||<-3> '''[[1453년|{{{#fff 1453년}}}]] ~ [[1918년|{{{#fff 1918년}}}]]''' || || '''위치''' ||<-2>중동부 유럽 [[오스트리아]] || || [[수도(행정구역)|{{{#fff '''수도'''}}}]] ||<-2>[[빈(오스트리아)|빈]] || || '''정치 체제''' ||<-2>[[전제군주제]] || || '''국가 원수''' ||<-2>[[대공(작위)#s-3.1.1|대공]] || || '''국화''' ||<-2>[[에델바이스]] || || [[공용어|{{{#fff '''공용어'''}}}]] ||<-2>[[독일어]] || || '''역사''' ||<-2>1453년 성립[br]1804년 [[오스트리아 제국]]의 종주국으로 승격 및 상,하 오스트리아 대공국으로 분리 || || '''통화''' ||<-2>굴덴 || || '''성립 이전''' ||<-2>[[오스트리아 공국]] || || '''해체 이후''' ||<-2>[[상오스트리아 대공국]][br][[하오스트리아 대공국]] || [[파일:Oostr1477.png|width=430]]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어]]: Erzherzogtum Österreich [[바이에른어]]: Erzherzogdum Östareich 1453년부터 1804년 [[오스트리아 제국]]이 세워질 때까지 존재했던 대공국으로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의 본거지이자 현대 [[오스트리아]]의 전신인 국가. 승격되었을 시기의 인구는 2,000,000명정도였지만 엄청난 영토 확장으로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 수도는 현재와 같이 [[빈(오스트리아)|빈]]이었는데 오스트리아가 대공국으로 승격되었을 때는 인구가 이미 수만 명이었던 주요 도시였고 1683년에는 인구 110,000명, 1804년에는 인구 230,000명으로 급격하게 성장해 당시까지도 여전히 인구 수만 명에 머물렀던 [[독일어권]]의 다른 주요 도시에 비해 독보적이었다. == 역사 == 합스부르크 가문은 혼인 정책으로 [[부르고뉴 공국]]의 대부분을 합병하였으며 [[카를 5세]]가 [[스페인]], [[시칠리아 왕국|이탈리아]] [[나폴리 왕국|남부]]를, 동생 [[페르디난트 1세]]가 [[보헤미아 왕국]], [[헝가리 왕국]], [[크로아티아 왕국]]까지 다스리게 되었고[* 다만 헝가리 왕국과 크로아티아 왕국은 [[오스만 제국]]으로 인하여 1/3만 통치했다.], 1452년부터는 [[신성 로마 제국/역대 황제|신성 로마 제국 제위]]를 독점하기 시작했다. 보헤미아 왕국, 헝가리 왕국, 크로아티아 왕국 등은 오스트리아 대공국과 [[동군연합]] 관계였지만 이를 하나로 묶어서 [[합스부르크 제국]]으로 불렀을 뿐, 상기한 국가들이 오스트리아 대공국의 영토는 아니었다. 1521년에는 스페인의 [[압스부르고 왕조]]와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조로 분할 계승되었다. 1699년에는 [[카를로비츠 조약]]으로 [[오스만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 공국|에르데이 공국]]을 되찾아 과거 헝가리 왕국의 영토를 회복하였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해외 진출을 포기하였고,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네덜란드 남부]]와 [[밀라노 공국]], [[나폴리 왕국]], [[사르데냐]] 등 이탈리아 영토를 얻었다. 이후 [[사국 동맹 전쟁]]을 계기로 사르데냐-시칠리아 교환이 이루어져 [[사보이아 공국]]에게 사르데냐를 내주고, [[시칠리아]]를 얻었다.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의 결과로 [[파르마 공국]]을 얻었으나 [[나폴리 왕국]]과 [[시칠리아 왕국]]을 스페인 [[보르본 왕조]]의 방계[* [[스페인 국왕]] [[펠리페 5세]]의 5남 [[카를로스 3세|카를로스 왕자]].]에게 양도했다. 아들이 없던 [[카를 6세]]는 딸에게도 상속을 가능하게 하는 [[1713년 국사조칙|국사조칙]]을 발표했지만 그가 죽고 [[마리아 테레지아]]가 오스트리아의 여대공, 보헤미아의 여왕,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여왕, 밀라노와 파르마의 여공작 등이 되려 하자 [[프랑스 왕국]], [[프로이센 왕국]], [[바이에른 선제후국]], [[작센 선제후국]] 등이 이의를 제기해서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이 일어났다. 결국 [[슐레지엔]]을 프로이센에게, 파르마 공국을 스페인 부르봉의 또다른 방계[* 스페인 국왕 펠리페 5세의 6남 [[필리포 1세(파르마)|펠리페 왕자]].]에게 내주는 대신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의 모든 영지를 상속받을 수 있었다.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고 [[나폴레옹 전쟁]] 도중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프랑스 제1제국]]의 [[황제]]가 되면서 오스트리아의 지위가 위태로워지기 시작하자 [[프란츠 2세]]는 [[오스트리아 제국]]을 선포하였고 엔스강을 기준으로 오스트리아 대공국을 [[상오스트리아 대공국]]과 [[하오스트리아 대공국]]으로 개편했다. == 역대 오스트리아 대공 == [include(틀:역대 오스트리아 대공)] == 여담 == 오스트리아가 [[신성 로마 제국]]의 일원으로 대공국이었을 시절이 오스트리아 제국 시절보다 더 넓은 영토를 가지고 있었다고 생각되겠지만 [[보헤미아 왕국]], [[헝가리 왕국]], [[크로아티아 왕국]] 등은 오스트리아 대공국과 동군연합 관계였지 오스트리아 대공국의 영토는 아니었다. 즉, 합스부르크 가문의 오스트리아 대공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와 보헤미아 국왕, 헝가리와 크로아티아 국왕, 밀라노 공작 등을 겸한 것이지 이 국가들이 오스트리아 대공국으로 편입된 것이 아니었다. 이러한 동군연합 관계에 있는 영지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탄생한 국가가 [[오스트리아 제국]]이다. 현대 오스트리아 공화국의 주는 오스트리아 대공국을 구성하던 [[슈타이어마르크 공국]], [[케른텐 공국]], [[티롤 후백국]] 등이 전신이다. 다만 [[잘츠부르크]]는 잘츠부르크 대주교구로 [[주교공]]이 다스리던 독립 신정국가였고, [[부르겐란트]]는 당시 헝가리 왕국 영토였다. 대신 [[이탈리아]]의 [[쥐트티롤]], [[트리에스테 제국직할 도시|트리에스트 제국도시]], [[고리치아-그라디스카 후백국|괴르츠 백국]], 현대 [[슬로베니아]]의 전신인 [[카르니올라 공국|크라인 공국]]이 속해있었다. [[크루세이더 킹즈 시리즈]]에서는 디시전(결단)으로 생성 가능한 왕국 작위로 등장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오스트리아 관련 문서)] [[분류:독일 왕국 구성 제후국]][[분류:대공국]][[분류:오스트리아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