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스트로아시아계 민족)] [include(틀:오스트로아시아어족)] [목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80px-Se_asia_lang_map.png]] [* 지도 출처: 위키미디어 공용] ||[youtube(7EKBFAQucSw)]|| ||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역사 || 추정상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오늘날 현재의 중국 남부 지역에서 25000년에서 15000년 경에 처음 출현한것으로 보이며 이후 오늘날 인도차이나 반도로 남하한것으로 보인다. 또한 남하하는 과정에서 인도차이나 반도의 선주민인 [[네그리토]] 계열 민족들과 혈통적으로 혼혈된것으로 보인다. == 개요 == [[베트남어]], [[크메르어]] 등을 포함하고 있는 [[동남아시아]]의 [[어족]]. [[남아시아어족]]이라고도 한다.[* Austro-가 라틴어로 남쪽을 뜻한다.] 이외에 [[몬어]] 등을 포함하고 있다.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베트남어 등의 [[베트남어파]]와 우어[* 4개 성조가 있다.] 등의 [[팔라웅어군]] 언어를 제외하면 대부분 [[성조]]가 없는 언어들이다. 유독 베트남어에 성조가 많이 존재하는 이유는 베트남 북부 지역이 오랫동안 중국의 강한 영향 아래에 있었기 때문이다.[* [[https://www.academia.edu/275783/Tonal_Features_and_the_Development_of_Vietnamese_Tones|Tonal Features and the Development of Vietnamese Tones]]] == 분류 == 일반적으로 베트남어파(Vietic), 크메르어파, 카시팔라웅어파(Khasi-Palaungic), 문다어파, 몬어파, 아슬리 제어 등으로 나뉜다. 주요한 특징으로 많은 고유어 [[형태소]]가 강세 등이 붙는 일반적인 주음절에, 강세가 없고 단순한 모음(주로 [[중모음#s-2.3|슈와]])이 있거나 모음이 없고 자음만으로 이루어진 부음절이 붙은 것으로 구성되는 1½음절 패턴(sesquisyllabic pattern)이 있다. 여러 언어에서 접요사가 존재하고, [[성조]]는 크게 발달하지 않았다. 사용자 수로는 [[베트남어]]가 괄목할 만한 다수를 보이지만, 정작 베트남어는 단음절 형태소가 많고, 다른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는 대부분 없는 성조가 존재한다. 과거에는 [[베트남어]]를 오스트로아시아어족으로 보지 않는 의견도 있었으나, 연구가 계속 진행되면서 몬어, [[크메르어]] 등과 유사한 점이 많이 발견되어 1940년대 이후로는 확실히 오스트로아시아어족으로 분류되고 있다. 단, 과거에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이라는 분류가 확실히 정립되지는 않았고 '몬크메르어족'이라는 분류가 빈번히 쓰였다. 이에 따라 베트남어는 몬크메르어족 내지 몬크메르어파(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하위 어파로서)의 하위 언어로 분류되었다.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기존의 몬크메르어족(파)에 문다어파를 덧붙이고 베트남어파를 몬어파 및 크메르어와 분리하여 성립되었다. 음절 성조, 단음절 형태소 등 베트남어의 이질적 특성은 과거 [[베트남어]] 화자들이 다른 언어 화자들과 교류하면서 주변의 언어들과 [[언어동조대]]를 이루었고, 이에 따라 성조 분화(tone split) 및 부음절 소실 등의 현상이 발생해 생겨났다고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증거로 베트남어와 같은 베트남어파에 속하는 아렘어(Arem language)를 포함한 여러 언어는 1½음절 패턴을 포함한 전형적인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특성을 보인다. 다만 같은 베트남어파에 속하는 므엉(Mường)어, 쿠오이(Cuối)어 등은 베트남어의 이질적 특성을 공유하며, 쿠오이어는 베트남어의 6성조보다 많은 8성조 체계이다. * [[베트남어파]] * [[베트남어]] * [[아렘어]](Arem) * [[므엉어]](Mường) * 쿠오이어(Cuối) * [[크메르어]](캄보디아어) * [[카시팔라웅어파]] * [[카시어]](Khasi) * [[팔라웅어군]] * 우어(U)(푸만어) * [[문다어파]] * [[몬어파]](Monic) * [[몬어]](Mon) * [[아슬리 제어]] * [[바나르어파]] * [[제찌엉어]](Jeh-Trieng) 사용자가 많은 [[베트남어]]와 [[크메르어]]는 [[형태론]]이 꽤 단순한 편인데, 모든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가 그렇지는 않다. 가령 [[인도]] 동부의 [[메갈라야]]주를 중심으로 약 1백만 명의 사용자가 있는 카시어는 명사와 동사 형태론에서 상당히 정교한 [[접두사]]와 [[접요사]]의 체계를 갖추고 있고, 명사를 4개의 문법적 성(남성 단수, 여성 단수, 지소성diminutive 단수, 복수)으로 분류하여 성에 따라 명사에 각기 다른 접사를 사용한다. == 기타 ==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엄연히 다른 어족이다. 다만 역사적인 사료들을 언어학적으로 비교, 분석해본바로는 고대의 중국 남부에서 화자가 많았으리라는 추측이 있으며, 두 어족이 같은 뿌리를 가진다는 '오스트로어족' 가설은 존재한다.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는 상술한 것처럼 [[베트남어]]와 [[크메르어]], 몬어 등이 속하고, [[오스트로네시아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는 마인어, 자바어, 타갈로그어(필리핀어), 마오리어 등이 속한다. 참고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도 대부분 [[성조]]가 없는 언어들이고, 마인어, 자바어, 타갈로그어, 마오리어는 모두 성조가 없다. [[분류:오스트로아시아어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