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고속도로)] [include(틀:미개통, 색=#008000, 노선명=오산용인고속도로, 공사구간=서오산TG~서수지IC, 공사진행상황=2021년 착공 예정, 노선개통예정일=2026년)] ||<-2>{{{#!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Expressway_kor_171.svg|width=50]]||{{{#ffffff {{{+1 '''오산용인고속도로'''}}}[br]烏山龍仁高速道路[br]Osan–Yongin Expressway}}}||}}}|| ## ||<-2> [[|width=100%]][br] || || '''{{{#ffffff 노선 번호}}}''' || '''171번''' || || '''{{{#ffffff 기점}}}''' || [[경기도]] [[오산시]] [[양산동(오산)|양산동]] || || '''{{{#ffffff 종점}}}'''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성복동]] || || '''{{{#ffffff 연장}}}''' || 17.3km || || '''{{{#ffffff 개통일}}}''' || [[2028년]] || || '''{{{#ffffff 관리}}}''' || 미정 || || '''{{{#ffffff 왕복 차로수}}}''' || [[왕복 4차로 고속도로|4차로]] || || '''{{{#ffffff 주요 경유지}}}''' || [[오산시|오산]] ↔ [[화성시|화성]] ↔ [[수원시|수원]] ↔ [[용인시|용인]]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오산시]] [[양산동(오산)|양산동]]에서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성복동]]을 이을 예정인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민자 사업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노선 == * 나들목, 분기점, 요금소 명칭은 모두 가칭이며, [[https://image.chosun.com/sitedata/image/202001/31/2020013103087_1.jpg|해당 사진 자료]]에 표기된 명칭을 따른다.[* [[http://realty.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1/31/2020013103095.html|서창∼김포, 오산∼용인 고속도로 민자사업 확정…2026년 준공]], 2020-01-31, 조선일보 땅집GO] ||<-2> '''소재지''' || '''번호''' || '''이름''' || '''접속[br]노선''' || '''비고''' || ||<|7> [[경기도|경기]] || [[오산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TG}}} || '''[[서오산TG|서오산]]''' || || || ||<|2> [[화성시]] || || [[안녕IC]]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43)] || || || || 서동탄IC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1)] || || || [[수원시]][br]{{{-2 [[권선구]]}}} || || 세류IC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1)] || || || [[수원시]][br]{{{-2 [[팔달구]]}}} || || 팔달IC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1)] || || || [[용인시]][br]{{{-2 [[수지구]]}}} || || 서수지JC || [[용인서울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71.svg|height=25]]]] || || == 구간 == [[http://www.molit.go.kr/USR/BORD0201/m_69/DTL.jsp?mode=view&idx=237874|국토교통부 전략환경영향평가서(초안)]] [[파일:오산_용인_고속도로_노선.png|width=500]] * 노선계획도 (출처: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구간은 오산시에 위치한 [[서오산TG]]에서 출발한다고 하지만 이 위치가 오산시와 화성시 경계에 있다. [[안녕IC]]에서 [[43번 국도]]([[봉영로]]) 옆을 따라 교각으로 이어진 다음 진안IC 부근에서 [[1번 국도]]와 만난다. 예정상 이 구간에 가칭 서동탄IC가 건설된다. 그리고 다음 구간 즉 1번 국도의 비상활주로 구간에서 고속도로가 중앙에 위치하게 되고, 국도는 양 옆으로 빠지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다. 이후 비행장사거리 근처에서 가칭 세류IC를 지나 터미널사거리 근처에서 [[경수대로]] 지하로 내려가게 된다. 이후 효원지하차도 근처 가칭 팔달IC를 지나 동수원사거리까지 지하로 이어지다가 방향을 틀어 우만동 주택가 일대와 수원월드컵경기장 지하를 지나 [[광교신도시]] 일대까지 이어진다. 그리고 갈마재터널을 지나 지상으로 나와서 성복터널을 거쳐 서수지TG를 지나 [[서수지IC]]에서 [[용인서울고속도로]]와 연결된다. == 목적 == 같은 노선번호(171번)임에도 직결되지 않고 [[봉영로]]를 통해 간접 연결되는 [[오산화성고속도로]]와 [[용인서울고속도로]]의 단절구간을 잇고, 수도권 남부(수원, 용인, 화성, 오산 일대)의 원활한 교통망 확충을 목적으로 한다. == 논란 == 수원시 도심을 지하로 관통하는 고속도로인지라 각종 논란거리가 많은 편이다. 화성시 구간에서는 고속도로가 교각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불만이 많다. 수원시 일대는 지하로만 구성되는데 반해 화성시 구간은 전체가 지상구간이기 때문에 그렇다. 또한 비상활주로 가운데로 가서 국도를 양옆으로 밀어낸다는 것도 결국 이 일대의 엄청난 양의 교통량을 공사기간 동안에 제대로 소화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된다. 수원시 구간에서는 세류IC의 진출입 방향으로 인한 문제, 지하구간, 특히 효원지하차도 근처에서 팔달IC를 통해 진출입하는 문제로 인한 교통정체, 우만동~광교신도시 일대의 지하건설에 대한 각종 문제, 수원시청 인근 올림픽공원과 광교 녹지에 설치될 환풍기로 인한 환경문제 등이 거론되고 있다. 게다가 경수대로 연선에 이미 효원지하차도가 있기 때문에 지하로 꽤 깊게 들어가야 한다. 그에 따른 공사비 증가도 문제. 용인시 구간에서는 지금도 정체가 심한 [[용인서울고속도로]] [[서수지IC]] 구간의 정체가 가중될 가능성에 대해서 거론되고 있다. 특히 개통효과를 거의 누릴수 없는 성복동, 신봉동 주민의 반발이 심해지고 있다. 도로 구조상 정체구간에 [[병목현상]]이 추가될 것이 뻔하기 때문. 마침 [[수도권 전철 3호선/연장/수원-용인-성남]] 떡밥이 나오기 1년 전인 19년도에 이 도로 사업이 발표된 걸 보면 고의로 어그로를 끌려고 하는 수상한 부분도 있고, 종점인 성복동 근처가 고도차가 엄청 심하며, 인근에 정체를 밝히기 힘든 [[코렁탕|건물]][* 광교웰빙타운 주민들은 해당 건물의 정체를 매우 잘 알고 있다.]이 존재하기 때문에 더더욱... 또한, 주변 아파트 등의 거주지에 입주한 주민들의 의견을 묵살한 채 해당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큰 논란이 발생하고 있다. 2021년 10월 화성시가 청와대와 국토교통부에 ‘오산~용인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화성시 구간 지하화’건의문을 전달했다[[http://mbnmoney.mbn.co.kr/news/view?news_no=MM1004456526|#]]. [[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분류:익산평택고속도로]][[분류:평택파주고속도로]][[분류:나무위키 도로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