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한큐전철·한신 전기철도 역, rd1=오사카우메다역, other2=오사카메트로의 역, rd2=우메다역)] {{{+1 '''[ruby(大, ruby=おお)][ruby(阪, ruby=さか)]駅[br]Ōsaka Station'''}}} ||<-6><)>{{{#!wiki style="margin: -0px -5px" [[JR 서일본|[[파일:JRW_Wlogo.svg|height=50&align=left]]]]}}}[[JR 서일본|{{{#FFFFFF JR 서일본}}}]] [[특정도구시내#오사카시내|[[파일:JR_area_HAN.png|width=20]]]] [[대도시근교구간#오사카 근교 구간|[[파일:JR-kin.svg|width=20]]]][br]'''{{{#ffffff {{{+2 오사카역}}}}}}'''|| ||<-2> [[교토역|{{{#000000,#e5e5e5 {{{#!html
교토 방면
}}}}}}]][[신오사카역|신오사카]][br]← 3.8 km ||<|2><-2> [[JR 교토선|[[파일:JRW-A.svg|width=20]]{{{#ffffff {{{#!html
JR 교토선
}}}}}}]][[JR 고베선|{{{#ffffff {{{#!html
JR 고베선
}}}}}}]]{{{#ffffff {{{#!html
(JR-A47)
}}}}}} ||<-2> [[히메지역|{{{#000000,#e5e5e5 {{{#!html
히메지 방면
}}}}}}]][[츠카모토역|츠카모토]][br]3.4 km → || ||<-2> [[교토역|{{{#!wiki style="margin: 0px -10px; letter-spacing: -0.5px;" {{{#ffffff {{{#!html
JR 교토선·비와코선 경유
◀ 호쿠리쿠 본선 직통
◀ 코세이선 직통
}}}}}}}}}]] || [[히메지역|{{{#ffffff {{{#!html
산요 본선 경유
아코선 직통 ▶
}}}}}}]] || ||<|2><-2> {{{#gray 시종착}}} ||<-2> [[후쿠치야마선|[[파일:JRW-G.svg|width=20]]{{{#000000 {{{#!html
JR 타카라즈카선
}}}}}}]]{{{#000000 {{{#!html
(JR-G47)
}}}}}} || [[사사야마구치역|{{{#000000,#e5e5e5 {{{#!html
사사야마구치 방면
}}}}}}]][[츠카모토역|츠카모토]][br]3.4 km → || ||<-2> [[오사카 히가시선|[[파일:JRW-F.svg|width=20]]{{{#ffffff {{{#!html
오사카 히가시선
}}}}}}]]{{{#ffffff {{{#!html
(JR-F01)
}}}}}} || [[큐호지역|{{{#000000,#e5e5e5 {{{#!html
큐호지 방면
}}}}}}]][[신오사카역|신오사카]][br]3.8 km → || ||<-2> {{{#000000,#e5e5e5 {{{#!html
내선순환
}}}}}}[[후쿠시마역(JR 서일본)|후쿠시마]][br]← 1.0 km ||<-2><|2> [[오사카 순환선|[[파일:JRW-O.svg|width=20]]{{{#ffffff {{{#!html
오사카 순환선
}}}}}}]]{{{#ffffff {{{#!html
(JR-O11)
}}}}}} ||<-2><|2> {{{#000000,#e5e5e5 {{{#!html
외선순환
}}}}}}[[텐마역|텐 마]][br]1.6 km → || ||<-2><:>[[니시쿠조역|{{{#ffffff {{{#!html
◀ 사쿠라지마선 직통
}}}}}}]]|| ||<-6>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미개통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JR난바역|{{{#000000,#e5e5e5 {{{#!html
JR난바 방면
}}}}}}]][[나카노시마역(오사카)|나카노시마]][br]← ? km-- || --[[나니와스지선|{{{#000000,#FFFFFF {{{#!html
JR 나니와스지선
}}}}}}]]--{{{#red (미개통)}}} || {{{#gray 시종착}}} ||}}}}}}}}} || ||<-6> [[키타신치역|[[파일:JRW-H.svg|width=17]] {{{#white JR 도자이선 '''키타신치역'''으로 갈아타기}}}]] || ||<-6> [[오사카우메다역|[[파일:HK-blue.svg|width=17]][[파일:HK-orange.svg|width=17]][[파일:HK-green.svg|width=17]] 한큐 전철, [[파일:Hanshin-HS.svg|width=17]] 한신 전기철도로 갈아타기]][br][[오사카메트로]][[우메다역|[[파일:Osaka Metro-M.svg|width=17]] 미도스지선,]][br][[니시우메다역|[[파일:Osaka Metro-Y.svg|width=17]] 요츠바시선,]] [[히가시우메다역|[[파일:Osaka Metro-T.svg|width=17]] 타니마치선으로 갈아타기]] || ||<-6> [include(틀:지도, 장소=大阪駅, 너비=100%, 높이=300px)] || ||<-6><:>'''주소'''|| ||<-6><:>[[오사카부]] [[오사카시]] [[키타구(오사카시)|키타구]] 우메다3초메 1-1[br]大阪府大阪市北区梅田三丁目1-1|| ||<-6><:>'''역 운영기관'''|| ||<:><-2>[[JR 교토선|{{{#fff JR 교토선}}}]]||<|4><:><-4>[[JR 서일본|[[파일:JR 서일본 로고.svg|width=180]]]]|| ||<:><-2>[[JR 고베선|{{{#fff JR 고베선}}}]]|| ||<:><-2>[[후쿠치야마선|{{{#373a3c JR 타카라즈카선}}}]]|| ||<:><-2>[[오사카 순환선|{{{#fff 오사카 순환선}}}]]|| ||<-6><:>'''개업일'''|| ||<:><-2>[[도카이도 본선/JR 서일본|{{{#fff 도카이도 본선}}}]]||<:><-4>1874년 5월 11일|| ||<:><-2>[[오사카 순환선|{{{#fff 오사카 순환선}}}]]||<:><-4>1895년 5월 28일|| ||<:><-2>[[우메다 화물선|{{{#fff 우메다 화물선}}}]]||<:><-4>2023년 3월 18일|| ||<-6><:>'''노선거리표'''|| ||<-2> [[도쿄역|{{{#000000,#e5e5e5 {{{#!html
도쿄 방면
}}}}}}]][[신오사카역|신오사카]][br]← 3.8 km ||<-2> '''[[도카이도 본선]]'''[br]오사카 ||<-2> [[고베역|{{{#000000,#e5e5e5 {{{#!html
고베 방면
}}}}}}]][[츠카모토역|츠카모토]][br]3.4 km → || ||<-2> [[스이타 화물터미널역|{{{#000000,#e5e5e5 {{{#!html
스이타 화물터미널 방면
}}}}}}]][[신오사카역|신오사카]][br]← 3.8 km ||<-2> {{{-2 '''[[도카이도 본선]]'''}}}[br]'''[[우메다 화물선]]'''[br]오사카 ||<-2> [[니시쿠조역|{{{#000000,#e5e5e5 {{{#!html
니시쿠조 방면
}}}}}}]][[후쿠시마역(JR 서일본)|후쿠시마]][br]0.9 km → || ||<-2> {{{#000000,#e5e5e5 {{{#!html
내선순환
}}}}}}[[후쿠시마역(JR 서일본)|후쿠시마]][br]← 1.0 km ||<-2> '''[[오사카 순환선]]'''[br]오사카 ||<-2> {{{#000000,#e5e5e5 {{{#!html
외선순환
}}}}}}[[텐마역|텐 마]][br]1.6 km → || || [[파일:Osaka_Station_202309.png|width=100%]][br]오사카 스테이션 시티 전경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우메다]]에 위치한 [[JR 서일본]]의 철도역이자 오사카의 [[중앙역]], 그리고 북부 상권[* 현지인들은 '''키타'''라고 부른다. 반면에 난바역을 중심으로 한 남부 상권은 '''미나미'''라고 부른다. 외부에서는 북부는 우메다, 남부는 난바라고 하지만.]의 중심지. [[키타신치역]]은 도보 환승이 인정되지만, JR에서 별도역으로 취급하기에 서술하지 않는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함께 묶이는 [[오사카우메다역]], [[우메다역]] 등도 역시 별도 문서로 서술하였다. 일본 [[JR그룹]] 역 중 손꼽힐 만한 규모의 시설을 갖추고 있는 역이자 JR 서일본의 대표 [[터미널역]]이다. 일 승하차량도 단독 88만 명 가까이 찍으며, 이는 [[도쿄역]] JR 동일본 단독 역사와 맞먹는 수치다. 옆에 우메다역까지 더하면 다른 역과 비교가 불가능하다. 이에 비교하면 [[도쿄역]]은 별 것 없고 신오사카역은 더더욱 그렇다.[* 도쿄역은 역사 본체가 문화재라 증축이 불가능하며, 2015년 리뉴얼 및 역사 공사가 완료되었다. 2010년대 이후로 TOKYO STATION CITY 프로젝트가 완성되고 있어서 상업시설의 리뉴얼도 빠르게 이뤄지는 편.][* 사실 오사카역도 리뉴얼 전에는 심하게 말하면 가건물 수준의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신오사카역도 리뉴얼을 거쳤지만 오사카역같이 상업시설이 많이 들어서지는 않았기 때문에 지금도 '그냥 기차 타고 내리는 곳'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주변 시설도 호텔, 오피스, 학교밖에 없으며 바로 옆에 차량기지가 있다 보니 (여기도 도카이도선 운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곳이다) 대형 상업시설 같은 곳이 들어오기도 부적절하다.] 현재 역사는 2004년부터 재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2011년에 완공되었고 노스게이트 빌딩과 사우스게이트 빌딩, 광장과 나머지 구내시설을 모두 합쳐 오사카 스테이션 시티라고 명명되었다. [youtube(T_N6gMem5OU, width=550)] [[1986년]] 당시의 대합실 모습 [youtube(q1aUe5m53rM, width=550)] [[2000년]] 당시의 승강장의 풍경. 이 때만 해도 크고 아름다운 지붕은 없었다. 그랬던 곳이... 이렇게 바뀌었다. [[파일:external/blog.osakanight.com/osaka_station_from_hankyu.jpg]] [[http://blog.osakanight.com/article/eid419.html]] 참고로 이 풍경은 한큐백화점에 연결된 한큐그랜드빌딩 30층과 31층의 '''무료'''전망대에서 볼 수 있다.[* 엄밀히 말하자면 전망대로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엘리베이터 옆에 휴식공간에 큰 창문을 뚫어놓은 것에 불과하다. 그래도 워낙 높은 층수에 위치한 데다가 오사카역을 향하고 있어서 멋진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위에 있는 언덕 같이 생긴 부분에 잔디스키장이 생긴다는 [[만우절]] 농담이 있었다. [[http://gorimon.com/blog/log/eid1412.html|링크]] JR 서일본의 최대의 역이자, 간사이 교통의 중심역임에도 불구하고 신칸센은 선형상 정차하지 않는다. 신칸센을 이용하려면 약 4km 떨어진 [[신오사카역]]에 가야 하며, 만약 신칸센을 오사카역의 위치에 개업시켰다면, [[센다이역(미야기)|센다이역]]처럼 되었을 듯. == 접속 노선 == * 오사카역 (지상) * [[도카이도 본선]] * [[JR 교토선]] * [[JR 고베선]] * [[JR 타카라즈카선]](직결) * [[오사카 순환선]] * [[한와선]](직결) * [[야마토지선]](직결) * [[사쿠라지마선]](직결) * 오사카역 (지하 홈, 우메키타에어리어) * [[오사카히가시선]] * [[우메다 화물선]] * [[하루카(열차)|특급 하루카]] * [[쿠로시오(열차)|특급 쿠로시오]] * [[키타신치역]] * [[JR 도자이선]]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40px-Directions_from_Osaka_Station.svg.png]] 오사카역 중심의 운행계통도 == 주변 환경 == 오사카역 일대는 일본에서도 다섯손가락 안에 드는 유동인구를 자랑한다. 흔히 말하는 "오사카역세권"이라고 하면 이 안에 있는 역만 봐도 [[파일:umeda_railway.png]] {{{#0070bf,#40afff ■}}} [[JR 서일본]] 오사카역 ({{{#0070bf,#40afff ▲}}}[[도카이도 본선]], {{{#e72e42 ▲}}}[[오사카 순환선]], {{{#fbc700 ▲}}}[[후쿠치야마선|JR 타카라즈카선]]) {{{#e72e83 ■}}} JR 서일본 [[키타신치역]] ([[JR 도자이선]]) {{{#243b79,#869cda ■}}} [[한큐 전철]] [[오사카우메다역]] ({{{#007ac2,#3db7ff ▲}}}[[한큐 고베 본선|고베 본선]], {{{#f1662b ▲}}}[[한큐 타카라즈카 본선|타카라즈카 본선]], {{{#34b580 ▲}}}[[한큐 교토 본선|교토 본선]]) {{{#007ca5,#5ad6ff ■}}} [[한신 전기철도]] 오사카우메다역 ([[한신 본선]]) {{{#e5171f ■}}} [[오사카메트로]] [[우메다역]] ([[미도스지선]]) {{{#660066,#ff99fe ■}}} 오사카메트로 [[히가시우메다역]] ([[타니마치선]]) {{{#0879b8,#47b7f6 ■}}} 오사카메트로 [[니시우메다역]] ([[요츠바시선]]) [[우메다]] 일대의 역 이용객수는 230만명으로 일본 4위[* [[신주쿠역]], [[시부야역]], [[이케부쿠로역]], 오사카·[[오사카우메다역]], [[요코하마역]], [[키타센쥬역]], [[나고야역]], [[도쿄역]], [[시나가와역]], [[타카다노바바역]] 순이다.], 열차 발착으로는 4100여회로 일본 2위[* [[신주쿠역]], 오사카·[[오사카우메다역]], [[우에노역]], [[도쿄역]], [[요코하마역]], [[이케부쿠로역]], [[신바시역]], [[나고야역]], [[유라쿠초역|유라쿠초·히비야역]], [[아카사카미츠케역|아카사카미츠케·나카타쵸역]]순이다.]를 자랑한다. 이 역들이 이름만 다르지 전부 같은 역이라고 봐도 된다. 참고로 오사카는 도시이름이고 우메다는 동네 이름. 대충 [[서울역]]에 빗대서 생각해 보자면 일반철도 서울역은 [[서울역]]이고 지하철 서울역엔 동자역[* 서울역의 주소는 서울시 용산구 동자동. 지금은 한강대로 405라는 도로명주소를 사용하기는 하지만…] 또는 [[남대문역]]이라고 이름을 붙였다고 보면 된다. 사람이 타고 내릴 일이 없어서 그렇지 사실 바로 옆에는 [[JR 화물]]의 간사이쪽 대표 터미널역인 우메다까지 있다. 유동인구가 쩔어주는 동네다 보니 이 일대는 일본 [[백화점]] 업계의 '''최대 격전지'''인 것으로 더욱 유명하다. 그야말로 절대 과장이 아니라 '''없는 게 없다.'''[* 이것은 미나미 지구도 마찬가지이지만… 다만 키타 지구는 외국인 관광객들에 대한 배려가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좀 부족했다.] 오사카역 건물에는 JR미쓰코시이세탄, 다이마루, 패션빌딩 LUCUA가 '''한 건물[* 정확히는 철로를 경계로 북쪽의 노스게이트 빌딩과 남쪽의 사우스게이트 빌딩으로 나뉜다. 노스게이트 빌딩에는 LUCUA JR미쓰코시이세탄이 있고 사우스게이트 빌딩에는 다이마루가 있다.] 안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그러나 오사카는 전통적으로 '''다이마루'''의 텃밭이라 미쓰코시이세탄이 고전하고 있어서, 2015년 4월에 면적을 반으로 줄이고 점포명에서 '미쓰코시이세탄'이 빠진 형태의 'LUCUA 1100'으로 재오픈된다.], 우메다역 건물에는 [[한큐백화점]] (한큐 우메다역 내에 위치한다), [[한신백화점]] (한신 우메다역 내에 위치한다), 패션빌딩 HEP FIVE[* 이들의 경우 [[한큐한신토호그룹]] 산하로 경쟁관계까지는 아니다. HEP FIVE의 경우에는 HEP NAVIO도 자매건물이었으나 한큐백화점 멘즈관으로 전환되었다.] 등이 영업하고 있다. 거기에 오사카에는 수많은 백화점이 경쟁적으로 신설, 확장을 하고 있으며, 이 전쟁은 일본 위키백과에 [[https://ja.wikipedia.org/wiki/大阪2011年問題|별도의 항목]]까지 있다. 길 건너편에서는 백화점은 아니지만 [[요도바시 카메라]] 우메다점도 절찬리에 영업중. 여기다가 오사카역 주변 지하를 거미줄 같이 연결하고 있는 지하상가(화이티 우메다, 디아모르 오사카 등…+연결된 건물들의 지하 상점가)[* 역 통로 혹은 지하상가를 통해 건물간을 이동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거리에는 그다지 사람이 많지 않게 보일 수도 있다. ] 까지 합치면 진정한 초대형 상권. 이것도 모자라 오사카역 북쪽 구 화물철도 부지에 JR서일본, 한큐 등이 협력하여 [[종결자]]급 시설인 '그란프론트 오사카'를 2011년 초기부터 건설하여 2013년 4월 26일 개업 후 영업중이다. 2016년에도 이 주변에 한신백화점 리뉴얼공사 등이 진행되었다. [[만다라케]] 우메다점이 역 건너편 히가시도리 상점가 2구역에 위치해 있다. 처음 찾아가는 거라면 역 주변이 워낙 미로같은지라 헤매다가 하루가 다갈 수 있다. 처음 찾아가고자 한다면 반드시 한큐선 관광 안내소에서 히가시도리 상점가 위치가 어딘지를 안내받은 뒤에 히가시도리 상점가 2구역으로 갈것. 1구역을 지나면 2구역이 나온다. 오사카역~우메다역은 일본 최고난도의 환승역이기도 하다. 환승하는 노선에 따라서는 [[신주쿠역]]보다 힘들다.[* 신주쿠는 그래도 [[바스타 신주쿠]]로 버스터미널이 분리되어 있으며, [[오다큐 전철]], [[케이오 전철]], [[세이부 철도]]도 안내를 잘 해준다.] 안내표시판조차 같은 장소인데, 왔던 방향에 따라 표시된 방향이 다르며, 표지판 방향대로 가도 같은 곳을 뱅뱅 돌 수 있을 정도다. 더구나 일부 장소는 표지판대로 가면 백화점을 가로질러 가야 해서 초행자들이 길을 잃기 쉬운 구조이다. 때문에 오사카 현지 사람들도 자주 이용하는 환승 루트가 아니면 헤매는 경우가 종종 있다. 심지어 오사카역은 고속버스 내리는 장소도 분산되어 있어서 2016년 통합터미널이 남쪽 출구에 세워진 신주쿠와는 다르게 환승이 더 힘들어졌다. [[스타벅스]]가 많기는 한데, 주중 주말 가리지 않고 사람이 꽉꽉 차니 그냥 다른 카페나 [[우메다역]] 북쪽, 동쪽으로 갈 것을 추천. 웬만하면 스타벅스에서 앉아서 쉴 생각은 하지 말아야 하지만 역 지하상가 다방, 카페는 흡연이 허용되는 곳이 많아 대안이 딱히 스타벅스밖에는 없다. 우메키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23년 지하에 신역사를 개업하였으며, 구 우메다신호장 부지와 서쪽 출구 인근이 재개발, 재정비된다.[[https://news.mynavi.jp/article/20191211-936642/|#]] === 노스게이트 빌딩 === 오사카역 북쪽에 위치한 빌딩. LUCUA, 오사카 스테이션 시티 시네마 등이 자리잡고 있다. 조금 더 북쪽으로는 2013년 개장한 거대 상업건물인 그란프론트 오사카가 자리잡고 있는데 1층과 2층에서 연결된다. 또한 야외광장인 우메키타 광장으로 내려가는 계단이 있다. 그리고 14층에는 천공의 농원이라는 이름의 옥내 정원이 있으며, 10층과 11층에도 각각 작은 규모의 정원이 꾸며져 있다. === 사우스게이트 빌딩 === 오사카역 남쪽에 위치한 빌딩. 대표적인 시설로는 다이마루 백화점이 입점하고 있으며, 특히 이 백화점 13층에 포켓몬센터 오사카점이 입점하고 있어 많은 해외관광객들로 늘 붐빈다. 19층~27층은 그란비아호텔 오사카가 들어서 있다. 15층에서 17층엔 태양의 광장이라는 이름으로 옥내 정원이 들어서있다. === 시간의 광장 === [[파일:external/a1.img.mobypicture.com/d942f21b02cc9b80f8c83471ce0216b4_view.jpg]] 노스게이트 빌딩과 사우스게이트 빌딩 사이 4층에 건설된 대규모의 광장이다. 물론 두 빌딩을 연결하는 통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 기타 === [[파일:external/www.aran.or.jp/2012_0054_OsakaStationCity_06.jpg|height=500]] [[http://www.aran.or.jp/works/4091.html]] 노스게이트 빌딩에 있는 옥내정원 [youtube(gusJeslMbLc)] 오사카역 신역사의 명물인 [[물시계]]. 관광수요도 많은 특성 탓에 [[난바역]], [[신사이바시역]]과 함께 한국인이 많이 보이는 역이기도 하다.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가 열리면 드물게 [[JR 동일본]] 등 타사 임시열차가 오기도 했으며, 현재는 선수단도 신칸센, 버스 및 항공기를 통해 이동하는 경우가 많아서 이와 같은 풍경은 사라졌다. 사우스게이트에서 화장실은 세 곳 뿐이다. 1층과 3층의 두 곳인데 1층은 지저분하고 환풍이 잘 안된다. 고로 3층을 이용하길 추천하는데 3층도 표를 끊고 넘어가지 않으면 한곳은 이용 못한다. 그리고, 사우스게이트에서 무료 와이파이가 가능한곳은 두곳뿐이다. 바로 사우스게이트 1층 정문, 4층 시간의 광장. 물론 감도가 좋다면 3층에서 4층 와이파이를 끌어다 쓸 순 있다. 하루종일 1층 곳곳에서 노상라이브가 벌어진다. 아침부터 밤 12시 정도까지 노래를 하는데 시간 떼우기 그만이다. 노숙 해야 할 일이 있다면 역은 1시쯤 되면 문을 닫으므로 근처 넷카페, 노래방, 캡슐호텔 등을 찾자. 굉장히 가까운곳에 많이 있다. 이 역 근처에서 [[이케아/일본|이케아 츠루하마점]][* [[https://www.ikea.com/jp/ja/stores/tsuruhama/|홈페이지]]]으로 가는 버스 승강장([[https://citybus-osaka.co.jp/ikea/|승강장 위치 및 시간표 정보]])이 있다. == 역 구조 == === 지상 홈 (도카이도 본선/오사카 순환선) === ||<-18> ↑ [[신오사카역|신오사카]] ||<-4> ↑ [[텐마역|텐마]] || || {{{#ffffff 11}}} || ㅣ || ㅣ || {{{#ffffff 10}}} || {{{#ffffff 9}}} || ㅣ || ㅣ || {{{#ffffff 8}}} || {{{#ffffff 7}}} || ㅣ || ㅣ || {{{#ffffff 6}}} || {{{#ffffff 5}}} || ㅣ || ㅣ || {{{#ffffff 4}}} || {{{#ffffff 3}}} || ㅣ || ㅣ || {{{#ffffff 2}}} || {{{#ffffff 1}}} || ㅣ || ||<-18> [[츠카모토역|츠카모토]] ↓ ||<-4> [[후쿠시마역(JR 서일본)|후쿠시마]] ↓ || || '''타는곳''' || '''노선''' || '''행선''' || '''비고''' || ||<|5> '''1''' ||[[파일:JRW-O.svg|width=17]] [[오사카 순환선]](내선순환)||[[니시쿠조역|니시쿠조]], [[벤텐초역|벤텐초]], [[텐노지역|텐노지]] 방면[* 이 역에서 텐노지 까지는 외선순환보다 내선순환이 더 빠르다.]|| ||[[파일:JRW-P.svg|width=17]] [[사쿠라지마선]] 직통||[[유니버설시티역|유니버설시티]] 방면|| ||[[파일:JRW-Q.svg|width=17]] [[야마토지선]] 직통||[[오지역(나라)|오지]], [[나라역|나라]], [[카모역(교토)|카모]] 방면|| ||[[파일:JRW-R.svg|width=17]] [[한와선]] 직통||[[오토리역|오토리]], [[히네노역|히네노]], [[와카야마역|와카야마]] 방면|| ||[[파일:JRW-S.svg|width=17]] [[간사이 공항선]] 직통||[[간사이 공항역|간사이 공항]] 방면|| || '''2''' ||[[파일:JRW-O.svg|width=17]] 오사카 순환선(외선순환)||[[쿄바시역(오사카)|쿄바시]], [[츠루하시역|츠루하시]], 텐노지 방면|| ||<|4> '''3 · 4''' ||[[후쿠치야마선]] 특급||[[후쿠치야마역|후쿠치야마]], [[키노사키온센역(JR)|키노사키온센]] 방면||'[[코노토리]]'|| ||특급 '슈퍼 하쿠토'||[[돗토리역|돗토리]], [[쿠라요시역|쿠라요시]] 방면|| ||[[반탄선]] 특급||키노사키온천, [[카스미역|카스미]] 방면||'[[하마카제(열차)|하마카제]]', 원칙적으로 4번선에서|| ||[[파일:JRW-G.svg|width=17]] [[JR 타카라즈카선]] · 후쿠치야마선||[[사사야마구치역|사사야마구치]], [[후쿠치야마역|후쿠치야마]] 방면|| || '''3 - 6''' ||[[파일:JRW-A.svg|width=17]] [[JR 고베선]]||[[산노미야역|산노미야]], [[고베역|고베]], [[니시아카시역|니시아카시]], [[히메지역|히메지]] 방면|| || '''6''' ||[[파일:JRW-G.svg|width=17]] JR 타카라즈카선||타카라즈카, [[산다역|산다]] 방면|| || '''7 - 10''' ||[[파일:JRW-A.svg|width=17]] [[JR 교토선]]||[[신오사카역|신오사카]], [[교토역|교토]], [[마이바라역|마이바라]], [[나고야역|나고야]] 방면|| || '''10''' ||<|4>도카이도선 상행 특급||[[쿠사츠역(시가)|쿠사츠]], [[마이바라역|마이바라]] 방면||'비와코 익스프레스'|| ||<|3> '''11''' ||[[후쿠이역(후쿠이)|후쿠이]], [[카나자와역|카나자와]] 방면||'[[선더버드(열차)|선더버드]]'|| ||[[파일:JRC-CA.svg|width=17]] [[기후역|기후]], [[파일:JRC-CG.svg|width=17]] [[타카야마역|타카야마]] 방면||'히다'|| ||[[파일:JRC-CA.svg|width=17]] [[시즈오카역|시즈오카]], [[파일:JRE-JT.svg|width=17]] [[도쿄역|도쿄]] 방면||'[[선라이즈 세토]] · 선라이즈 이즈모'|| 역 구조는 6면 11선 구조의 고가역으로 선로가 동서로 나란히 지나는 형태이다. 1, 2번 승강장은 오사카 순환선 열차의 승강장으로 순환선 열차와 오사카 순환선의 선로를 경유하는 한와선, 간사이 본선의 열차도 이 승강장에 정차한다. 3~11번 승강장은 도카이도 본선(JR 교토선, JR 고베선)과 이 역 시발의 후쿠치야마선(JR 타카라즈카선) 열차의 승강장으로 기본적으로는 6, 7번 승강장에 보통열차, 5, 8번 승강장에 쾌속, 신쾌속 열차가 정차하며 3, 4, 9, 10번 승강장은 출퇴근시간대의 신쾌속이나 일부 특급열차의 승강장으로 사용중이다. 11번 승강장은 호쿠리쿠 방면의 특급열차나 '[[선라이즈 이즈모·세토|선라이즈 이즈모/세토]]' 등의 특급열차가 정차한다. 특급 히다는 하루 딱 한번만 운행한다. 이 역은 도카이도 본선의 승무교대역이기 때문에, 3, 4번선 끝(산노미야 방면)에 오사카 차장구의 출입구가 위치해있어 기관사들과 차장이 매 시간마다 돌아다닌다. [* 순환선 열차는 [[텐노지역]]이나 유메사키선 직통운행의 경우 [[니시쿠조역]]에서 승무교대를 하는 편이며 이 역에서 하는 경우는 드물다.] 공항특급인 [[하루카(열차)|하루카]]와 [[키세이 본선]] 특급인 [[쿠로시오(열차)|쿠로시오]]는 [[우메다 화물선]]을 경유하는 관계로 아래의 지하 승강장에서 따로 정차한다.[* 지상 승강장에 정차를 시키기 위해서는 오사카역 직전이나 직후에 선로를 교차하여 오사카순환선에서 도카이도선 선로로 이동하여야 하는데, 교토 방면의 경우 3개 이상의 선로를 건너가야 하기에 위험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다른 선로의 열차 운행의 심각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므로 화물선으로 우회하는 것이다.] === 지하 홈 (우메다 화물선/오사카 히가시선) === [[파일:오사카역 우메키타에어리어.jpg|width=600]] 신설되는 서측출구와 우메키타에어리어 위치[* 현재 구글, 야후 등 주요 지도 사이트 등에는 우메키타 에어리어가 표시되어있지 않으니 참고할 것.] ||<-8><:>↑ [[신오사카역|신오사카]] || ||<:>ㅣ||<:>{{{#ffffff 24}}}||<:>{{{#ffffff 23}}}||<:>ㅣ||<:>ㅣ||<:>{{{#ffffff 22}}}||<:>{{{#ffffff 21}}}||<:>ㅣ|| ||<-8><:>[[니시쿠조역|니시쿠조]] ↓|| ||<:><|2>{{{#ffffff 21}}}||[[파일:Haruka_logo.png|height=17]] [[하루카(열차)|특급 하루카]]||[[텐노지역|텐노지]] · [[이즈미후츄역|이즈미후츄]] · [[히네노역|히네노]] · [[간사이 공항역|간사이 공항]] 방면|| ||[[파일:Kuroshio_logo.png|height=17]] [[쿠로시오(열차)|특급 쿠로시오]]||[[와카야마역|와카야마]] · [[키이타나베역|키이타나베]] · [[쿠시모토역|쿠시모토]] · [[신구역|신구]] 방면|| ||<:>{{{#ffffff 22}}}||<|2>[[파일:JRW-F.svg|width=17]] [[오사카 히가시선]]||<|2>당역 종착 및 [[신오사카역|신오사카]] · [[하나텐역|하나텐]] · [[큐호지역|큐호지]] 방면 || ||<:>{{{#ffffff 23}}}|||| ||<:><|2>{{{#ffffff 24}}}||[[파일:Haruka_logo.png|height=17]] [[하루카(열차)|특급 하루카]]||<|2>[[신오사카역|신오사카]] · [[교토역|교토]] 방면|| ||[[파일:Kuroshio_logo.png|height=17]] [[쿠로시오(열차)|특급 쿠로시오]]|||| [[우메다 신호장]]이 위치해있던 지역의 재개발을 진행하면서 지어진 새로운 지하역사이다. JR 기준으로 공식적으로는 오사카역에 포함되며, 기존 오사카 스테이션 시티와 구별하여 언급 시 '오사카역(우메키타에어리어)'로 표기하는 것으로 2022년 12월 발표하였으나, 이미 오랫동안 언론들이 키타우메다, 우메키타신(新)역, 오사카역 지하홈 등으로 제각기 표기한 것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JR서일본조차도 공식보도자료에는 우메키타에어리어로 쓰지만 JR서일본의 열차이용안내 공식홈페이지인 오데카케넷의 열차 행선지 표시 등에는 '오사카(지하홈)'으로 표기하고 있다. 우메다 화물선을 통해 오사카역을 지나쳐 [[신오사카역]]으로 향하던 특급 [[하루카(열차)|하루카]], [[쿠로시오(열차)|쿠로시오]]가 이 곳에 정차하게 되며, [[오사카 히가시선]] 역시 이 역까지 연장하여 운행하게 된다. 우메키타 지역의 재개발의 일환으로 지어진 덕에 지하 1층에 콩코스, 지하 2층에 승강장이 위치해있다. 지상 홈과의 환승은 우메키타에어리어와 서측 에어리어를 잇는 환승통로를 통해 가능하다. JR간 환승은 에스컬레이터를 4번 타긴 하야 하나, 100미터를 조금 넘는 반면, [[한큐 전철|한큐]], [[한신 전기철도|한신]], 지하철 등 타사 환승시에는 거리만으로 케이요선에 비견되거나 그 이상이며, 지하 통로 이용시 우메다역의 복잡함을 고려하면 극악의 난이도를 자랑한다. 키타신치역을 제외 시 가장 먼 곳은 오사카메트로 타니마치선 [[히가시우메다역]]으로 '''직선거리가 550m'''에 달한다. JR WEST LABO프로젝트의 중심역으로, 새로운 기술들이 도입되거나 실험이 예정되어있다. 21번 홈에는 열차 정차위치에 맞추어 이동 가능한 '풀 스크린 타입' 스크린도어가 설치되며, 어플에 목적지를 입력하면, 가까이 있을 때 목적지 방향을 알려주는 가변 디지털 안내기, 대화가 가능한 AI 안내기 등도 설치된다. 카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얼굴 인식 개찰구의 실험 역시 개업에 맞추어 진행된다.[* JR사원 및 사전 등록자에 한해 이용 가능하며, 정식 운용 시에는 정기권을 보유한 얼굴 등록자에 한해 이용이 가능해질 예정이다.] 이외에도 신코베역에서 실험이 진행된 시각장애인용 음성 내비게이션, 교토역에서 실험이 진행된 수화기를 이용해 표를 구매하는 자동 발매기 등도 도입이 예정되어있다. 새로운 기술 뿐 아니라 다양한 시도에 대한 실험 및 시범운용이 이뤄지며 JR서일본 관할 중에는 처음으로 역내 에키벤 자판기가 설치된다. 2022년 12월 9일 JR서일본의 공식 발표에 따라 우메키타에어리어의 운행 계통이 확정되었다. 특급 하루카가 1일 상/하행 각 30회(전 편성), 특급 쿠로시오가 상/하행 각 1일 18회(전 편성) 정차한다. 간사이 공항역에서는 평균 47분, 와카야마역에서는 평균 57분이 소요된다. 오사카 히가시선 역시 상/하행 각 1일 67회, 직통쾌속 상/하행 각 1일 4회 모두 오사카역까지 연장운행하며, 직통쾌속의 경우 8량으로 1량 추가되고 JR아와지역에 추가로 정차할 예정이다. 2022년 12월 16일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2023년 3월 18일 다이어 개정에 맞추어 개업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2023년 2월 11일 저녁부터 13일 오전 6시까지 선로 전환공사를 시행했으며, 2월 13일 오전 6시 13분부터의 영업열차가 우메키타 지하 선로를 이용하기 시작했다. 다만 3월 18일 정식 개업때까지는 모든 열차가 무정차통과한다. [[https://youtu.be/b8Sel18rczk|첫 영업열차(쿠로시오 2호) 무정차 통과 모습]] 2025년에는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를 대비하여 신오사카에서 출발하여 우메키타에어리어를 경유, 사쿠라지마역으로 가는 임시열차 편성이 예정되어 있다. [[https://www.westjr.co.jp/press/article/items/221118_01_press_banpaku.pdf|#]] 2031년 예정된 [[나니와스지선]] 개통 전까지는 [[후쿠시마역(JR 서일본)|후쿠시마역]]에서 분리되는 기존의 우메다 화물선 선로를 이용하여 진입한다. 나니와스지선 개통 후에는 난카이의 일부 열차도 이 역에서 종착하게 된다. 한큐에서도 이역과 [[쥬소역]], [[신오사카역]]을 잇는 나니와스지 연락선을 계획하고 있다. == 인접 정차역 == ||<-3> [[파일:JRW-A.svg|width=17]] [[JR 교토선]] ↔ [[파일:JRW-A.svg|width=17]] [[JR 고베선]] || || [[도쿄역|{{{#000000,#e5e5e5 {{{#!html
도쿄 방면
}}}}}}]][[시즈오카역|시즈오카]][br]← 376.2 km || [[선라이즈 이즈모·세토|[[파일:SunriseExp_logo.png|width=75]][br]{{{-2 {{{#c84323 [침대특급] 선라이즈 세토[br][寝台特急] サンライズ瀬戸}}}}}}]] || [[이즈모시|{{{#000000,#e5e5e5 {{{#!html이즈모시}}}}}}]]·[[타카마츠역(카가와)|{{{#000000,#e5e5e5 {{{#!html타카마츠 시발}}}}}}]][br][[산노미야역|산노미야]][br]← 30.6 km || || [[와쿠라온센역|{{{#000000,#e5e5e5 {{{#!html
와쿠라온센 방면
}}}}}}]][[신오사카역|신오사카]][br]← 3.8 km ||<:>[[선더버드(열차)|[[파일:Thunderbird_logo.png|width=75]][br]{{{-2 {{{#ffffff [특급] 선더버드[br][特急] サンダーバード}}}}}}]]||<|3> {{{#gray 시종착}}} || || [[타카야마역|{{{#000000,#e5e5e5 {{{#!html
타카야마 방면
}}}}}}]][[신오사카역|신오사카]][br]← 3.8 km ||<:>[[히다(열차)|[[파일:Hida_emblem.png|width=100]][br]{{{-2 {{{#000000 [특급] 히다[br][特急] ひだ}}}}}}]]|| || [[마이바라역|{{{#000000,#e5e5e5 {{{#!html
마이바라 방면
}}}}}}]][[신오사카역|신오사카]][br]← 3.8 km ||<:>[[비와코 익스프레스|[[파일:BiwakoExp_logo.png|width=75]][br]{{{-2 {{{#ffffff [특급] 비와코 익스프레스[br][特急] びわこエクスプレス}}}}}}]]|| || [[교토역|{{{#000000,#e5e5e5 {{{#!html
교토 방면
}}}}}}]][[신오사카역|신오사카]][br]← 3.8 km ||<:>[[슈퍼 하쿠토|{{{-2 {{{#ffffff [특급] 슈퍼 하쿠토[br][特急] スーパーはくと}}}}}}]]|| [[쿠라요시역|{{{#000000,#e5e5e5 {{{#!html
쿠라요시 방면
}}}}}}]][[산노미야역|산노미야]][br]30.6 km → || || {{{#gray 시종착}}} || [[하마카제(열차)|{{{-2 {{{#ffffff [특급] 하마카제[br][特急] はまかぜ}}}}}}]] || [[돗토리역|{{{#000000,#e5e5e5 {{{#!html
돗토리 방면
}}}}}}]][[산노미야역|산노미야]][br]30.6 km → || || [[신오사카역|{{{#000000,#e5e5e5 {{{#!html
신오사카 방면
}}}}}}]][[신오사카역|신오사카]][br]← 3.8 km ||<:>[[라쿠라쿠 하리마|[[파일:RakuHari_logo.png|width=75]][br]{{{-2 {{{#2d548b [통근특급] 라쿠라쿠 하리마[br][通勤特急] らくラクはりま}}}}}}]]|| [[히메지역|{{{#000000,#e5e5e5 {{{#!html
히메지 방면
}}}}}}]][[산노미야역|산노미야]][br]30.6 km → || || [[츠루가역|{{{#000000,#e5e5e5 {{{#!html
츠루가 방면
}}}}}}]][[신오사카역|신오사카]][br]← 3.8 km || [[신쾌속(JR 서일본)|[[파일:신쾌속.png|width=75]][br]{{{-2 {{{#ffffff 신쾌속[br]新快速}}}}}}]] ||<|2> [[카미고리역|{{{#000000,#e5e5e5 {{{#!html카미고리}}}}}}]]·[[반슈아코역|{{{#000000,#e5e5e5 {{{#!html반슈아코 방면}}}}}}]][br][[아마가사키역(JR)|아마가사키]][br]7.7 km → || || [[오미시오츠역|{{{#000000,#e5e5e5 {{{#!html
오미시오츠 방면
}}}}}}]][[신오사카역|신오사카]][br]← 3.8 km || [[파일:JRW쾌속.png|width=75]][br]{{{-2 {{{#ffffff 쾌속[br]快速}}}}}} || || [[쿠사츠역(시가)|{{{#000000,#e5e5e5 {{{#!html
쿠사츠 방면
}}}}}}]][[신오사카역|신오사카]][br]← 3.8 km || {{{-2 {{{#ffffff 보통[br]普通}}}}}} || [[카코가와역|{{{#000000,#e5e5e5 {{{#!html
카코가와 방면
}}}}}}]][[츠카모토역|츠카모토]][br]3.4 km → || ||<-3> ([[파일:JRW-A.svg|width=17]] [[JR 교토선]]) ↔ [[파일:JRW-G.svg|width=17]] [[후쿠치야마선|JR 타카라즈카선]] || || [[신오사카역|{{{#000000,#e5e5e5 {{{#!html
신오사카 방면
}}}}}}]][[신오사카역|신오사카]][br]← 3.8 km ||<:>[[코노토리|[[파일:Konotori_logo.png|width=75]][br]{{{-2 {{{#ffffff [특급] 코노토리[br][特急] こうのとり}}}}}}]]|| [[키노사키온센역(JR)|{{{#000000,#e5e5e5 {{{#!html
키노사키온센 방면
}}}}}}]][[아마가사키역(JR)|아마가사키]][br]7.7 km → || ||<|3> {{{#gray 시종착}}} || [[파일:G탄바지쾌속.png|width=75]][br]{{{-2 {{{#000000 탄바지쾌속[br]丹波路快速}}}}}} || [[후쿠치야마역|{{{#000000,#e5e5e5 {{{#!html
후쿠치야마 방면
}}}}}}]][[아마가사키역(JR)|아마가사키]][br]7.7 km → || || {{{-2 {{{#ffffff 쾌속[br]快速}}}}}} ||<|2> [[사사야마구치역|{{{#000000,#e5e5e5 {{{#!html
사사야마구치 방면
}}}}}}]][[아마가사키역(JR)|아마가사키]][br]7.7 km → || || {{{-2 {{{#ffffff 구간쾌속[br]区間快速}}}}}} || || [[교토역|{{{#000000,#e5e5e5 {{{#!html
교토 방면
}}}}}}]][[신오사카역|신오사카]][br]← 3.8 km || {{{-2 {{{#ffffff 보통[br]普通}}}}}} || [[후쿠치야마역|{{{#000000,#e5e5e5 {{{#!html
후쿠치야마 방면
}}}}}}]][[아마가사키역(JR)|아마가사키]][br]7.7 km →[br][[츠카모토역|츠카모토]][br]3.4 km → || ||<-3> [[파일:JRW-O.svg|width=17]] [[오사카 순환선]] || ||<|6> [[텐노지역|{{{#000000,#e5e5e5 {{{#!html
텐노지 방면
}}}}}}]][[텐마역|텐 마]][br]← 1.6 km || {{{-2 {{{#ffffff 야마토지쾌속[br]大和路快速}}}}}} || [[카모역(교토)|{{{#000000,#e5e5e5 {{{#!html
카모 방면
}}}}}}]][[후쿠시마역(JR 서일본)|후쿠시마]][br]1.0 km → || || [[파일:S칸쿠쾌속.png|width=75]][br]{{{-2 {{{#ffffff,#191919 칸쿠쾌속[br]関空快速}}}}}} || [[간사이 공항역|{{{#000000,#e5e5e5 {{{#!html
간사이 공항 방면
}}}}}}]][[후쿠시마역(JR 서일본)|후쿠시마]][br]1.0 km → || || [[파일:R키슈지쾌속.png|width=75]][br]{{{-2 {{{#ffffff,#191919 키슈지쾌속[br]紀州路快速}}}}}} || [[와카야마역|{{{#000000,#e5e5e5 {{{#!html
와카야마 방면
}}}}}}]][[후쿠시마역(JR 서일본)|후쿠시마]][br]1.0 km → || || {{{-2 {{{#ffffff 쾌속[br]快速}}}}}} || [[히네노역|{{{#000000,#e5e5e5 {{{#!html히네노}}}}}}]]·[[고조역(나라)|{{{#000000,#e5e5e5 {{{#!html고조 방면}}}}}}]][br][[후쿠시마역(JR 서일본)|후쿠시마]][br]1.0 km → || || {{{-2 {{{#ffffff 직통쾌속[br]直通快速}}}}}} || [[간사이 공항역|{{{#000000,#e5e5e5 {{{#!html간사이 공항}}}}}}]]·[[와카야마역|{{{#000000,#e5e5e5 {{{#!html와카야마 시발}}}}}}]][br][[후쿠시마역(JR 서일본)|후쿠시마]][br]← 1.0 km || || {{{-2 {{{#ffffff 구간쾌속[br]区間快速}}}}}} || [[카모역(교토)|{{{#000000,#e5e5e5 {{{#!html카모}}}}}}]]·[[고조역(나라)|{{{#000000,#e5e5e5 {{{#!html고조 방면}}}}}}]][br][[후쿠시마역(JR 서일본)|후쿠시마]][br]1.0 km → || || {{{#000000,#e5e5e5 {{{#!html외선순환}}}}}}·[[텐노지역|{{{#000000,#e5e5e5 {{{#!html텐노지 방면}}}}}}]][br][[텐마역|텐 마]][br]← 1.6 km || {{{-2 {{{#ffffff 보통[br]普通}}}}}} || {{{#000000,#e5e5e5 {{{#!html내선순환}}}}}}·[[사쿠라지마역|{{{#000000,#e5e5e5 {{{#!html사쿠라지마 방면}}}}}}]][br][[후쿠시마역(JR 서일본)|후쿠시마]][br]1.0 km → || ||<-3> [[파일:JRW-F.svg|width=17]] [[오사카 히가시선]] · [[우메다 화물선]] || || [[교토역|{{{#000000,#e5e5e5 {{{#!html
교토 방면
}}}}}}]][[신오사카역|신오사카]][br]← 3.8 km || [include(틀:네모틀, 내용=特急)][br][[쿠로시오(열차)|{{{-2 {{{#ffffff 쿠로시오[br]くろしお}}}}}}]] || [[신구역|{{{#000000,#e5e5e5 {{{#!html신구 방면}}}}}}]][br][[텐노지역|텐노지]][br]10.9 km → || || [[야스역(시가)|{{{#000000,#e5e5e5 {{{#!html
야스 방면
}}}}}}]][[신오사카역|신오사카]][br]← 3.8 km ||<:>[[하루카(열차)|[[파일:Haruka_logo.png|width=75]][br]{{{-2 {{{#ffffff [특급] 하루카[br][特急] はるか}}}}}}]]|| [[간사이 공항역|{{{#000000,#e5e5e5 {{{#!html간사이 공항 방면}}}}}}]][br][[텐노지역|텐노지]][br]10.9 km → || ||<|3> {{{#gray 시종착}}} || [[파일:F직통쾌속.png|width=75]][br]{{{-2 {{{#ffffff 직통쾌속[br]直通快速}}}}}} || [[나라역|{{{#000000,#e5e5e5 {{{#!html나라 방면}}}}}}]][br][[신오사카역|신오사카]][br]3.8 km → || || {{{-2 {{{#ffffff 보통[br]普通}}}}}} ||<:>[[큐호지역|{{{#000000,#ffffff {{{-2 큐호지 방면}}}}}}]][br][[신오사카역|신오사카]][br]3.8 km →|| == 일평균 승차량 == ||<-10> [[JR 서일본|{{{#ffffff JR 서일본}}}]] || ||1980년||1981년||1982년||1983년||1984년||1985년||1986년||1987년||1988년||1989년|| ||284,636명||279,107명||272,721명||281,464명||286,677명||292,556명||?명||316,334명||326,138명||368,203명|| ||1990년||1991년||1992년||1993년||1994년||1995년||1996년||1997년||1998년||1999년|| ||400,043명||414,234명||430,109명||437,581명||444,277명||477,918명||475,887명||439,302명||429,719명||425,461명||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424,259명||430,995명||419,770명||425,876명||426,348명||425,197명||423,454명||425,010명||422,429명||401,485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394,503명||406,576명||413,614명||429,519명||423,758명||431,743명||431,543명||436,187명||433,637명|| [[분류:일본의 철도역]][[분류:187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도카이도 본선]][[분류:오사카 순환선]][[분류:JR 교토선]][[분류:JR 고베선]][[분류:JR 타카라즈카선]][[분류:우메다 화물선]][[분류:오사카 히가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