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오명섭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V-리그 응원단장)] || '''{{{#ffffff 오명섭의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LG 트윈스 응원단장)] ---- [include(틀:서울 SK 나이츠 응원단장)]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명섭 단장.jpg|width=100%]]}}} || ||<-2> '''{{{#ffffff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응원단장 No. 00}}}''' || ||<-2> '''{{{#fff {{{+2 오명섭}}}}}}''' || ||<|2> '''{{{#fff 출생}}}''' ||[[1981년]] [[12월 1일]] ([age(1981-12-01)]세) || ||[[부산광역시]] || || '''{{{#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fff 신장}}}''' ||180cm || || '''{{{#fff 학력}}}''' ||[[성균관대학교]] {{{-2 (학사)}}} || || '''{{{#fff 현 소속}}}'''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2 (2021~ / [[V-리그]])}}} || ||<|5> '''{{{#fff 경력}}}''' ||[[LG 트윈스]] {{{-2 (2011~2014 / [[KBO 리그]])}}} || ||[[GS칼텍스 서울 KIXX]] {{{-2 (2013~2014 / [[V-리그]])}}} || ||[[전주 KCC 이지스]] {{{-2 (2010~2019, 2020~2022 / [[한국프로농구]])}}}[br][[서울 SK 나이츠]] {{{-2 (2019~2020 / [[한국프로농구]])}}} || ||[[부천 하나원큐]] {{{-2 (2019 / [[한국여자프로농구]])}}} || ||[[안양 한라]] {{{-2 (2018~2019 /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응원단장. == 응원단장 경력 == [[LG 트윈스]] 1년 차에는 구관이 명관이라는 것을 깨닫게 해주는 존재였으나 2012 시즌부터 나아져 제법 괜찮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별명은 [[강병욱|응요]]의 뒤를 이어서 응돼[* '''응'''원단장+'''돼'''지(…). 응대('''응'''원'''대'''장)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도 꽤 있다.]. 실제로 둘이 친구[* 어릴 적부터 친구 사이라고 한다.]라서 [[강병욱]]이 그만둘 때 후임으로 추천했다고. 은근히 [[정종철|옥동자]] 닮았다. 그리고 2014년을 끝으로 LG 트윈스를 떠났다. [[전주 KCC 이지스]]의 응원단장을 맡았었고 2018-2019 시즌은 아이스하키단 [[안양 한라]]의 응원단장도 역임했다. 그리고 여자 농구 [[아산 우리은행 위비]]의 응원단장인 [[한재권]]이 OK저축은행의 배구 경기가 있을때는 응원단장에 선다. 2019-20 시즌부터 10년 가까이 몸 담았던 [[전주 KCC 이지스]]에서 이적하여 [[서울 SK 나이츠]]의 응원단장이 되었다. 해당 시즌 [[WKBL]] [[부천 하나원큐|부천 하나원큐]] 응원단장도 맡게 되었다. 공교롭게도, [[서울 SK 나이츠|서울 SK]]와 [[부천 하나원큐|부천 하나원큐]] 두 구단은 작년에 [[강훈(응원단장)|강훈]]이 있었던 자리였다. 부천 하나원큐는 [[송종민]] 응원단장과 나눠서 진행하는데 팬들 여론은 대체로 송종민 응원단장을 원하고 있어서 다음 시즌에는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 여담이지만 [[송종민]]은 오명섭이 18-19시즌 이후 물러난 안양 한라의 응원단장 후임이기도 하다.] 서울 SK의 응원단장으로 부임한 첫해인 2019-20시즌은 불호가 많은 편이었는데 이는 전임 단장이었던 강훈의 평이 너무 좋아 반사불이익을 받은 면이 크다. 이듬해인 20-21시즌은 다시 [[전주 KCC 이지스|전주 KCC]]로 돌아왔다. KCC에서는 구관이 명관이었는지 전임자인 [[김정석(1984)|김정석 단장]]보다는 훨씬 낫다는 평이다. 22-23 시즌을 끝으로 KCC는 다시 하차하고 [[박승건]]이 후임으로 들어왔다. 2021년 [[LG 트윈스]] 응원단장 오디션을 봤으나 [[이윤승]] 응원단장한테 밀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귀에는 실패. 2021-22 시즌에는 홍창화 응원단장을 이어 오랜만에 여자배구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를 맡아 응원 중인데 좋은 응원 유도로 평이 좋고 구단 최다 연승, 최고의 성적을 내고 있어서 함께 승승장구했으나 리그의 조기 종료로 인해 아쉽게도 우승 경력은 추가하지 못했다. 이어진 2022-23 시즌도 정규 시즌 우승을 흥국에게 역전으로 내주면서 플레이오프를 기약했지만 여기서도 스윕을 당하고 말았다. === LG 트윈스 === 처음에는 야구 응원의 주요 요소인 적절한 타이밍, 양질의 응원가, 부족한 유발감 3박자가 모두 미흡한 편이었지만 경기 흐름과 상관없이 반복하는 응원이나 부족한 유발감은 경험이 쌓이면서 나아지고 있었다. 그러나 2014년에 다시 응원가의 문제가 불거지며 [[쥐갤]] 같은 강성 팬덤 커뮤니티에선 신나게 까였었다. 자주 지적되었던 단점 중에 특히 응원가 쪽 문제가 심각한데, 대학교 응원가들 베껴 쓰기 위주의 편성[* 연대 응원가 '연세여 사랑한다'나 고대 응원가 '민족의 아리아', 'forever' 등, 다만 'forever'는 평가가 좋은 편에 속하고 이것을 [[창원 LG 세이커스]]에서도 쓰고 있다.][* 그리고 2011년을 기점으로 다른 팀들도 대학 응원가들을 차용해서 쓰고 있다. [[야구/응원가]] 항목을 참고할 것. 사실 응원가를 차용해서 쓰는것 자체는 그리 큰 문제가 아니다.]이나 전임 단장의 응원가들을 선수만 바꿔가면서 활용하는 점, ~~근데 새 곡 뽑으면 대부분 더 안 좋아서 오히려 잘하는 거일지도~~[* 참고로 LG의 응원가들은 은근히 돌려써먹는 게 많다. 대표적인 예가 [[류지현(야구)|유지현]]-[[박경수]]와 [[손인호(야구)|손인호]]-[[손주인]]의 응원가.] 마지막으로 오래된 팀 응원가를 잘 안 쓴다는 문제가 있다. ~~타팀 중 [[김용일(1977)|더 심한]] [[오종학|사람들]]이 있어서 다행~~ 그래도 2012년 들어서 나아지다가 2013년에 들어서선 완전히 좋아졌는데, 확실히 응원리딩이 좋아지고, [[현재윤]]과 [[정주현]]의 개인 응원가가 고퀄이라는 평에다가 [[김용의]]것도 나름 들어줄만하다는 평가이다. 그리고 트레이드로 팀에 합류한 최경철의 응원가도 고퀄이라는 평을 받았다. 2011~12시즌에 만든 것 중에서는 [[심광호]],[* 2012년도 버전] [[서동욱]],[* LG의 서동욱~ LG의 서동욱~ LG의 서동욱 날려버려 서동욱~ ×2] [[오지환]][* 2011년도 버전] 응원가 밖에 없던 걸 보면 많이 발전했다. 더불어 2013시즌 두산에서 응원가들을 다시 녹음했는데, 이게 퀄리티가 최악이라서 비교가 되고 있다. 나름 우천 응원이나 응원하는 걸 보면 노력은 하는 거 같은데 팬들이 보기엔 발전이 없는것 같다는 점에서 더 안타까운 문제. 어찌 보면 전임이 강병욱만 아니었더라도 훨씬 나은 평을 들었을지도 모른다. 그래도 열심히는 응원해서 심한 욕은 안 먹는다. 열심히 하면 반은 먹고 들어가는 케이스.[* 2011년도 초중반엔 적어도 남성훈보다 낫다는 게 팬들의 중론이었다. 남성훈은 봉다리 응원 등 롯데 응원의 기초를 만들어놓은 장본인이지만 2006~08년 LG시절은 그야말로 흑역사. 그나마 업적으로 꼽히는 것이 [[이대형]]과 발데스의 응원가랑 예전에 불렸던 '서울 메들리'를 부활시킨 것 밖에 없다. 더불어 롯데 이전의 한화 응원단장 시절에도 좋은 평을 못 받았다. 여담으로 남성훈이 경질되자 [[국내야구 갤러리]] 등지에서 수많은 LG팬들이 만세를 불렀다고 한다. 그리고 인천 전자랜드, [[FC 서울]]을 거쳐 [[부산 kt 소닉붐]]의 응원단장을 했다.] ~~하지만 현실은 2011년부터 시작해도 2012년 5월에나 쓰이는 불쌍한 존재였으니...~~ 그러나 2014년 들어서 응원가 문제가 다시 불거졌는데, [[임재철]]의 응원가[* [[https://youtu.be/891stvOJ070|무적LG 임재철 워어어어 날려버려 LG의 임재철 무적LG 임재철 워어어~ 워어어~ ×2]]]가 무슨 말을 하는 건지 도저히 알아듣지 못할 퀄리티로 나오면서 쥐갤 등지에서 까이기 시작했고, 결국 임재철 본인의 요청으로 응원가를 다시 만들었다. 또한 응원가의 반응이 좋지 않자 페이스북에 서운하다는 입장[* "하.. 그렇게도 맘에 안드는건가.."라는 글을 올렸었다.]을 남기면서 또 쥐갤과 쌍마에서 신명나게 까였다.[* 응원단장이라는 사람의 페이스북은 다양한 사람들이 드나드는 공간이다. 이러한 곳에 본인의 서운한 감정을 내비치는 것은 생각이 짧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 세월호 응원 휴식기 이후 만들어온 채은성의 응원가[* LG의 채은성~ 승리를 위하여~ LG의 채은성~ 워어~ ×2]가 다시 논란이 일자 본인도 이를 의식했는지 별로 틀지 않고 있다. 게다가 열광, LG없이는 못살아[* 사실 이 응원가는 남성훈 단장 시절 발표할 때부터 KIA 응원가를 표절했다는 논란이 있었기 때문에 삭제될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지만, 사실 진짜 원조는 [[창원 LG 세이커스]]다. 참고로 [[LG 트윈스]]와 [[창원 LG 세이커스]]는 모두 [[LG스포츠|같은 회사]]에서 운영하는 스포츠팀이다. 즉 LG스포츠단이 이 응원가의 원조이고 [[표절|KIA 타이거즈가 나중에 쓰기 시작한 것.]] --어?--], 추억의 엘지 응원가 등의 응원가들을 사장시켰다. 또한 2014년 10월 31일 LG팬들이 마지막으로 육성으로 LG없이는 못살아 응원가를 부르고 있는데 앰프로 사랑한다 LG를 틀어서 LG팬 다수에게 엄청난 비난을 받았었다.[* 사실 이 때 [[김주일]] 응원단장의 짬밥 때문에 이 응원가를 쓸 수가 없어서 팬들이 LG없이는 못살아를 부를 때 응원가 앞부분의 리듬이 비슷한 사랑한다 LG라도 틀었을 것이라는 의견도 많았다.] 하지만, 2015년에 [[최동훈(응원단장)|최동훈]] 응원단장이 부임한 이후, 새로 나오는 응원가들과 정형화된 응원 리딩때문에 오명섭의 재평가가 끊임없이 이루어졌다. 응원존 고정의 단점이 있었다고는 하나 오명섭의 응원리딩은 정형화 되어있다고는 볼 수 없을 정도로 꽤 다양했고 여기에 써져있는 이상으로 호응 유도 능력이 괜찮았다. 그리고 최동훈 응원단장 이후 2019년에 [[김정석(1993)|김정석]] 응원단장이 부임한 이후에는 응원 리딩이 더욱 더, 지나치게 단순해지고 안 그래도 떨어지던 응원가의 퀄리티가 시망수준이 되어버린지라 오명섭의 재평가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로 쥐갤, I Love Twins, 유튜브 영상 등을 보면 오명섭 응원단장의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결국 오명섭 응원단장이 필요 이상으로 욕먹은건 하필 이전 응원단장이 역대급으로 평가받은 [[강병욱]] 응원단장이었기에 이렇게 저평가를 받은 것이지 오명섭 응원단장이 발전이 없었다거나 실력이 없는 응원단장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21세기 응원 황금기는 홍경선 단장시절이 아닌 강병욱-오명섭때였고 특히 오명섭 응원단장때엔 성적까지 좋아서 시너지가 이루어졌다. 정말 불운의 응원단장이었다고 볼 수 밖에는 없다. 그리고 2021년 1월, 김정석 응원단장이 물러나자 많은 팬들이 강병욱 다음으로 복귀했으면 하는 인물이 되었다. --또 강병욱한테 뒤쳐진다 진짜 불운의 아이콘-- == 여담 == 2012년 6월 24일 잠실 LG-롯데 전에서 5회말 [[정성훈]]의 1루측 파울 타구를 응원 도중에 잡아내며 운동 신경을 과시했다.[* [[http://sports.news.naver.com/videoCenter/index.nhn?category=kbo&id=26639&gameId=20120624LTLG0&listType=game&date=20120624|1:38:25부터 보면 된다.]]] 2014년 준플레이오프 진출 이후 응원단장을 인터뷰한 기사에 이름이 '''한명섭'''으로 잘못 기재된 적이 있었다(...). 그래서 고쳤는데 지금까지도 이 기사 일부분에는 '''한명섭'''으로 기재된 부분이 있다(...). --이름으로 고통받는 응원단장--[* 실제로 본인의 페북에 자신의 이름이 잘못 나온 것에 대해 상당한 불만을 표했다.] 2015년부터 주전으로 자리 잡은 [[유강남]]의 응원가를 [[최동훈(응원단장)|최동훈 단장]]의 작품으로 착각하고 있지만 사실 이 분의 작품이다.[* 유강남이 2년차였던 2012년부터 이미 이 응원가를 사용하였다.] 응원단장 본인도 이 응원가에 상당한 자부심을 보인다. 또한 지금 쓰이는 팀 응원가 승리의 노래, 서울의 아리아, 사랑한다 LG도 이 분이 가져온 작품[* 승리의 노래와 사랑한다 LG는 2011년, 민족의 아리아는 2012년 처음 선보였다. 다만 서울의 아리아의 곡은 [[키움 히어로즈]]가 먼저 차용한 응원가라 논란이 있으나 원래는 [[고려대학교]]가 제일 먼저다.]. 2020시즌 현재 쓰이고 있는 응원가의 대부분이 [[강병욱|응요]]와 이 분의 작품이다. --[[김정석(1993)|정석아]] 뭐하냐--[* 실제로 김정석 단장은 2019시즌, 2020시즌 내내 욕을 --쳐--먹었고 오명섭 단장이 다시 돌아왔으면 하는 팬들이 많아졌다.] 그리고 잘 안 알려져 있는 사실인데, 사실 LG 트윈스 팀 응원가 중 최후의 결투는 최동훈 단장의 작품이 아니라 오명섭 단장의 작품이다. 정확하게 말하면 노래 자체는 응원 이벤트 회사쪽에서 선정했지만 가사는 오명섭 단장이 직접 썼다고한다. 허나 이 응원가가 만들어지고 얼마 지나지 않아 오명섭 단장이 LG에서 물러나게 되고 이후 최동훈 단장 시절부터 사용하게 되어 최동훈 단장의 작품으로 많이 알려져있다. 2018년 4월 1일, 홍창화 단장을 대신해 한화 이글스의 응원단장 자리에 대타로 나온 적이 있다. 홍창화 단장과 친하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보인다. 4년만에 야구 응원을 다시 해본 셈. 2019년에는 OK저축은행 배구단 응원을 간 한재권을 대신해 청주에서 아산 우리은행 위비 응원을 했다. 현재 치어킹코리아 유튜브 채널에서 영상에 나오거나 편집을 하는 경우도 있다. 지금은 오명섭보다는 반려견 사과집사로 더 유명해졌다. 소통 플랫폼에서는 오집사오단장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다. 21-22시즌 현대건설을 맡고 있음에도 이제서야 응원 직책 리스트에 올라갔다. 심지어 평이 좋았는데도 너무 늦게 올라왔다. [[최강야구]] 2023년 [[최강 몬스터즈]] 대 [[성균관대학교]] 야구부의 직관 경기에서 몬스터즈의 일일 응원단장을 맡았다. 성균관대는 본인의 모교이기도 하다. 그 후에 치러진 [[독립야구단 경기도리그]] 올스타팀과의 직관 경기에도 다시 단상에 출연했다. 종합적인 평가는 야구 한정으로만 좋지 않고, 농구나 배구 등 다른 종목에서는 괜찮은 편이다. [[분류:1981년 출생]][[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응원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