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61e19 오마르 압둘라흐만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AFC 챔피언스 리그|[[파일:AFC 챔피언스 리그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22559e; font-size: 0.9em" [[AFC 챔피언스 리그/기록#s-5|{{{#ffffff '''2016 ACL MVP'''}}}]]}}} || [[아시아 축구 연맹|[[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e1075; font-size: 0.9em" [[아시아 축구 연맹 #s-9.1|{{{#ffffff '''2016 AFC 올해의 선수'''}}}]]}}}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AFC 챔피언스 리그|[[파일:AFC 챔피언스 리그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22559e; font-size: 0.9em" [[AFC 챔피언스 리그|{{{#ffffff '''ACL 베스트팀'''}}}]]}}} ||<-3>[[틀:AFC 챔피언스 리그 2014 베스트팀|2014]] · [[틀:AFC 챔피언스 리그 2016 베스트팀|2016]] · [[틀:AFC 챔피언스 리그 2017 베스트팀|2017]] || || [[2015 AFC 아시안컵 호주|[[파일:2015_아시안컵_로고.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0.9em" [[틀:2015 AFC 아시안컵 호주 베스트 XI|{{{#000000 '''2015 AFC 아시안컵'''}}}]]}}} ||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mar_2021.png|width=100%]]}}} || ||<-3> {{{#000 '''알 와슬 FC No. 11'''}}} || ||<-3> '''{{{#FFEC01 {{{+1 오마르 압둘라흐만}}}[br]عمر عبدالرحمن | Omar Abdulrahman}}}''' || ||<-2> {{{#000 '''본명'''}}} ||{{{-1 오마르 압둘라흐만 아흐메드 알 라키 알 아무디}}}[br]{{{-1 عمر عبد الرحمن أحمد الراقي العمودي}}}[br]{{{-2 Omar Abdulrahman Ahmed Al Raaki Al Amoodi}}}|| ||<-2><|2> {{{#000 '''출생'''}}} ||[[1991년]] [[9월 20일]] ([age(1991-09-20)]세) ||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 ||<-2> {{{#000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아랍에미리트)]''' | [include(틀:국기, 국명=예멘, 크기=20)] || ||<-2> {{{#000 '''신체'''}}} ||[[키(신체)|키]] 173cm | [[체중]] 60kg || ||<-2> {{{#000 '''포지션'''}}} ||[[윙어]], [[공격형 미드필더]] || ||<-2> {{{#000 '''주발'''}}} ||왼발(양발) || || {{{#000 '''소속''' }}} || {{{#000 '''선수''' }}} ||[[알 힐랄 FC]] (2000~2005 / ^^유스^^)[br][[알 아인 FC]] (2007 / ^^유스^^)[br]'''[[알 아인 FC]] (2008~2019)''' [br]→ {{{-1 [[알 힐랄 FC]] (2018~2019 / ^^임대^^)}}}[br][[알 자지라 클럽]] (2019~2021)[br][[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 (2021~2022)[br][[알 와슬 FC]] (2022~ ) || ||<-2> {{{#000 '''국가대표'''}}} ||74경기 11골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UAE]] / 2011~)^^ || ||<-2> {{{#000 '''링크 ''' }}} ||[[http://www.instagram.com/amoory10/|[[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랍에미리트]]의 축구 선수로 주 포지션은 윙어 혹은 미드필더이다. 빼어난 테크니션으로 한때 "중동의 [[지네딘 지단]]"으로 불릴 정도로 주목 받던 선수였기에 과거 [[맨체스터 시티 FC|맨시티]]에서 눈독을 들이며 영입 단계까지 갔었으나 비자 문제로 아쉽게 무산되었다. 큰형 칼리드 압둘라흐만, 작은형 모하메드 압둘라흐만도 축구선수로 뛰고 있으며 특히 작은 형 모하메드와는 국대에서도 같이 활약하고 있다.[* 참고로 오마르와 모하메드는 얼굴도 너무 비슷하고 머리스타일까지 똑같아서 화면으로 보면 누가 오마르고 누가 모하메드인지 무척 헷갈려서 매번 쌍둥이로 오해받기 일쑤이다.][* 형 모하메드는 89년생으로 본인과는 약 2살터울의 차이다.] == 클럽 경력 == [[예멘]] 난민 출신으로 부모와 두형이 사우디로 망명하고 난뒤 수도 리야드에서 태어났다. 맨처음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알 힐랄 FC]] 유스에서 시작했고, 그의 재능을 바로 눈여겨본 사우디 아라비아 축구협회의 권유로 사우디 귀화직전까지 갔었으나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오마르 압둘라흐만이 귀화 조건으로 내세운 가족들의 사우디아라비아 시민권 발급을 거절했고, 바로 [[아랍에미리트|UAE]] [[알 아인 FC]]에서 가족들의 UAE 시민권 발급을 보장하며 데려온뒤 바로 귀화를 시켰다. 2016년 AFC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다. == 국가대표 경력 == 연령별 대표팀 시절부터 아랍에미리트 내에서 주목받던 선수였고,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축구 준결승전에서 연장 후반 막판에 한국을 침몰시킨 골의 어시스트를 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때까지만 해도 UAE 자국내에서만 주목받는 선수였고, 자신의 이름을 본격적으로 알리게 된 것은 [[2015 AFC 아시안컵 호주|2015년 AFC 아시안컵]] 때 부터였다. 카타르 전에서 첫 골을 어시스트하며 4:1로 대승하고 바레인전에서 경기 시작 후 45초만에 어시스트를 기록하며 MOM 선정을 받았다. 이란전에서 비록 팀은 패배했으나, 환상적인 드리블 돌파 밎 패스로 상대 팀을 놀라게 했다. 이와 같은 활약으로 AFC에서도 그를 주목하기 시작했다. 8강 일본전에서는 [[승부차기]] 첫번째 키커로 나와 [[파넨카 킥]]을 성공시키며 [[가와시마 에이지|가와시마]] 골키퍼를 농락했다. 4강 호주전에서는 아랍에미리트 선수 중에서 혼자서 고군분투하며 클래스를 입증했지만 팀의 패배를 막을 순 없었다. 하지만 정작 자국에서 열린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에는 부상으로 출전하지 못했다. 이때 오마르가 빠진 아랍에미리트의 공격은 확실히 파괴력이 크게 약화됐고 결국 예선 첫경기에서 바레인에게 1:0으로 끌려다다니다가 막판 PK로 간신히 비겼다. 대회 내내 오마르의 부재로 인해 아랍에미리트 대표팀은 칼릴-마브쿠트라는 4년 전 대회에서 건재했던 투톱이 그대로 가동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원찮은 공격력과 부진한 수비력이 동시에 노출되어 어려운 대회를 치러야 했다. 8강에서 호주를 잡는 대 이변을 연출하지만 준결승에서 카타르에게 0-4로 처참히 무너지며 우승에도 실패한다. 오마르의 부재로 인해 공격작업의 부담을 다른 미드필더들이 나눠 지다보니 수비 밸런스가 깨지며 그럭저럭 골은 넣었지만 실점이 확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대표팀에서 오마르의 존재가 얼마나 큰지 다시 한 번 엿볼수 있는 대회였다. 그 뒤에 십자인대 부상으로 불가피하게 1년여간의 공백을 가지게 되었고, [[베르트 판마르베이크]] 감독이 대표팀 감독직에서 경질되면서 아랍에미리트 국대의 축구 스타일 자체가 달라지면서 한동안 소집되지 못했다. 이후 [[로돌포 아루아바레나]] 감독 부임 이후, 전형적인 선수비 후역습 스타일로 대표팀 축구 스타일이 변했는데, 일단 이 변화가 소기의 성과를 거두면서 아랍에미리트는 카타르 월드컵 플레이오프에 올라가게 되었다. 2022년 복귀 이후 슬슬 폼을 올리던 오마르는 6월 플레이오프에서 대표팀 복귀가 유력한 상황이다. 이는 한 수 위 팀으로 평가받는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호주]]를 잡을 수 있는 중요 변수가 될 수 있다. == 플레이 스타일 == 넓은 시야로 키 패스를 자주 뿌리며 패스 성공률도 높다. 또한 드리블 능력과 볼 간수 능력도 뛰어나 수비수를 자주 제치거나 파울을 얻어낸다. 피지컬이 그다지 강하지 않은데도 수비수와 일대일 경합에서도 잘 밀리지 않는다. [[프리킥]], [[코너킥]], [[페널티 킥]]도 잘 찬다. 한 마디로 다재다능한 [[미드필더]]. 단 이쁘장한 플레이와는 달리 다혈질적이거나 좀 더러운 면모를 잘 보여준다. 심판의 눈을 피해 상대선수의 발을 밟기도 하고 경기가 꼬이면 신경질적 행동이 자주 나오며 상대를 들이받는일도 있고 가끔 거의 지는게 확정될 때 우는 모습도 보여줘서 멘탈에 뭔 문제가 있는 게 아닌지 의심이 들 정도다. 큰형 칼레드나 작은형 모하메드가 막내 오마르를 다독거리며 안정을 주기도 하지만[* 칼레드는 압둘라흐만 3형제중에서 제일 실력이 떨어지는지라 2군에서만 뛰고있어서 존재감이 없다..사실상 오마르와 소속팀, 국대에서 같이 뛰는 모하메드가 혼자서 멘탈을 조정해주는거.] 이들도 오마르 못지않은 다혈질 기분파들이라 이들이 먼저 혹은 이들마저 성질을 부리면 답이 없어지는데, 이 단점이 고스란히 드러난 게 2016 [[AFC 챔피언스 리그]] 결승 전북과의 2차전 경기다. == 여담 == 일부에서는 아시아 역대 최고의 테크니션, 플레이메이커라는 평가를 내리지만, 아직 '''유럽 리그나 월드컵 등의 큰 무대에선 전혀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시아 전용일 뿐이라는 저평가도 동시에 받았다. 게다가 중요한 시기에 장기부상을 당해 공백기가 길어지면서 현재로서는 기대치만큼 성장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각주] [[분류:1991년 출생]][[분류:리야드 출신 인물]][[분류:아랍에미리트의 무슬림]][[분류:아랍에미리트의 축구선수]][[분류:미드필더]][[분류:복수국적자]][[분류:알 아인 FC/은퇴, 이적]][[분류:알 힐랄 SFC/은퇴, 이적]][[분류:알 자지라 클럽/은퇴, 이적]][[분류: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현역]][[분류:아랍에미리트의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 참가 선수]][[분류:2015 AFC 아시안컵 호주 참가 선수]][[분류:아랍에미리트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2012 런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