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코톤)] || [[파일:아프리카TV 로고.svg|width=100]] [[아프리카TV BJ대상|{{{#0545b1,#4e8df9 '''BJ대상'''}}}]] '''신인상''' || || '''{{{#fff 오리꿍_}}}[br]{{{#ffffff +}}} [[아프리카TV BJ대상#s-8.12|{{{#ffffff 9인}}}]][br][[아프리카TV BJ대상#s-8.12|{{{#fff (2022)}}}]]''' || ||<-2>
'''{{{+5 오리꿍}}}'''[br]'''imducko3o''' || ||<-2> [[아프리카TV|[[파일:아프리카TV 베스트BJ.svg|width=3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ducko3o.jpg|width=100%]]}}} || || '''성별''' ||여성 || || '''출생''' ||[[2001년]] [[2월 19일]] ([age(2001-02-19)]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대학 중퇴 || || '''MBTI''' ||[[INTP]] || || '''소속'''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ocotone3.png|width=120]]}}} || || '''팬네임''' ||꿍덕이|| || '''팬닉''' ||[꿍] || || '''별명''' ||꿍[* 어떤 단어에다가 붙이던 간에 잘 어울려서 어감이 사기라고 칭찬받는다.], 꿍니키[* "꿍"과 일본어로 '형님'을 의미하는 "아니키"의 합성어이다.], 꿍뿔소[* 방송에 관련하여 지나칠 정도로 고집이 세서 붙은 별명이다. 건강을 챙기라는 팬들의 걱정에도 과로로 인해 여러번 응급실을 다녀왔을 정도], --꿍대장--[* 이전 RP로 활용했으며 현재는 RP를 버린상태로 방송중이다.] || || '''주 콘텐츠''' ||종합게임, 노래 || || '''첫 방송일''' ||2021년 5월 28일,,,(트위치 첫 방송일),,,[br]2021년 12월 24일,,,(버튜버 데뷔),,,[br]2022년 10월 5일,,,(아프리카TV 첫 방송일),,, || || '''플랫폼 현황'''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0]] 아프리카TV'''[br]애청자 수 : 11,492명[*기준 2023년 07월 01일][br]팬클럽 수 : 9,443명[*기준][br]누적 유저 수 : 210만명[*기준][br][br]'''[[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오리꿍의 게임 채널'''[br]구독자 수 : 2,630명[*기준][[https://socialblade.com/youtube/channel/UCeXmuZ6YsdqTVnRk-20dYZg/realtime|실시간]][br][br]'''[[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POCOTONE'''[br]구독자 수 : 3,670명[*기준][[https://socialblade.com/youtube/channel/UCtwkjzWF2F4ztR2SctbCdWQ/realtime|실시간]]}}} || |||| '''관련 링크''' || || '''플랫폼''' ||[[https://bj.afreecatv.com/imducko3o|[[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eXmuZ6YsdqTVnRk-20dYZ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com/@imducko3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twkjzWF2F4ztR2SctbCdW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포코톤] || || '''커뮤니티''' ||[[https://cafe.naver.com/origgung|[[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uo69H0z1SM)]}}}|| || {{{#fff '''프로젝트 커넥트 Original song 《꿍차GAME》'''}}} || >아프리카 버츄얼 종겜비제이입니다!! 꿍차 꿍차 >---- >- 아프리카TV 방송국 소개 [[아프리카TV]]에서 방송하는 종합게임 [[버츄얼 유튜버|버츄얼]] BJ이다. [[드림스케이피#프로젝트 커넥트|프로젝트 커넥트]] 시즌1의 멤버이며, 버츄얼 크루 포코톤을 만들어 해당 크루의 리더로 활동하고 있다. == 방송 특징 == 정기적인 방송시간은 매일 오후 5시이다. 정기 휴방은 화요일로 꿍요일이라고 부른다. === 종합게임 [[버츄얼 유튜버|버츄얼 BJ]] === 사실상 오리꿍을 대표하는 가장 큰 특징이자 정체성이다. [[2020년대]] 초반을 기준으로 기업세와 개인세를 가리지 않고 노래에 치중하는 한국의 [[버츄얼 유튜버]] 판도 속에서 오리꿍은 이와는 대비되는 '''종합게임을 다루는 버튜버'''로 자리잡았다. [[아프리카TV]]이적 당시 이적에 관한 소문이 여러 커뮤니티 사이트에 퍼졌고, 많은 관심이 모이는 와중 [[아프리카TV]]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는 종합게임 컨텐츠 BJ로 주목을 받아 이적 보름도 안돼 수천명의 애청자를 불러모았다. 특히 [[아프리카TV]]에 [[51 Worldwide Games]]의 미니게임 중 하나인 [[요트(게임)|요트]][* 야추로 흔히 알려진 주사위 게임] 붐을 일으킨 최초의 BJ중 한 명으로, 이외에도 다양한 장르의 게임을 종류불문하고 가져오는 것이 특징이다. 각종 [[쯔꾸르 게임]], [[리듬 세상]]과 같은 캐주얼 [[리듬 게임]], [[브로타토]]나 [[엔터 더 건전]]같은 로그라이크 게임,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과 [[사이버펑크 2077]]과 같은 AAA급 대작까지 가리지 않고 플레이하는 점이 신선한 평가를 받고 있다. 이어 오리꿍은 [[아프리카TV/스타 BJ#베스트 BJ|베스트 BJ]] 신청에서도 버츄얼 전형이 아닌 '''종합게임''' 전형으로 신청을 넣어 당당하게 선발되었으며, 이렇게 꿋꿋이 종합게임 컨텐츠 BJ로의 길을 걷는 모습이 시청자층뿐만 아닌 [[아프리카TV]] 측에서도 호의적으로 보인 것인지 오리꿍에게 버츄얼 BJ 중 단 세 명 뿐인 2022년 신인상을 수여하였다.[* 다른 둘은 [[최은뽀]]와 이적 당시 거물이었던 [[로나로나땅]]이다. 최은뽀는 버튜버 최초로 아프리카에 입성한 업적으로, 로나로나땅은 [[로나월드:서수길]]의 대성공을 이끈 업적으로 받은걸 생각하면 대단한 성과이다.] 이후 [[아프리카TV]]의 버츄얼 붐이 사그라드는 와중에도 다른 버츄얼 BJ와 달리 안정적으로 시청자 수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대부분의 신작 게임들의 발매 시간에 맞추어 [[포켓몬스터 스칼렛]], [[칼리스토 프로토콜]], [[데드 스페이스(리메이크)]], [[호그와트 레거시]] 등의 신작런 방송을 계속해서 이어나가고 있다. 지금까지 방송에서 진행한 게임들은 후술할 [[#s-3.1.2|플레이한 게임 목록]]에서 확인 가능하다. === 대본 === 방송 중에 진행할 콘텐츠를 칼같이 계획해 두고 멘트 하나하나를 미리 준비할 정도로 방송 준비가 철저한 것이 특징이었다. [[대본]]의 오리꿍이라는 말이 있었을 정도. 과거 방송 중 메모장으로 방송 계획 및 멘트를 미리 짜둔 것이 방송 화면에 노출된 적이 있는데 당시 꿍대장 [[RP]] 말투였던 '~하는 거시야'까지 그대로 적혀있었다. 2022년 11월 26일 포이괜[* 포코톤 이대로 괜찮은가?]컨텐츠를 진행하는 와중 대본 밈에 대한 해명이 이루어졌다. 본인이 과거 잘못된 언행들로 인하여 많은 논란을 만든 이후로, 말을 신중하게 하다 보니 마치 대본처럼 틀에 박힌 듯한 말을 반복하게 되었다고. 이후 편하게 방송해주었으면 한다는 팬들의 피드백을 받아들여 틀에 갇힌 방송을 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리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송 공지나 계획대로만 진행하려던 스타일은 거의 사라졌다. 게임이 정 아니다 싶으면 방송 중 유기하고 다른 게임을 찾거나, 그때그때 생각나는 컨텐츠를 진행하기도 하며 공지하지 않은 게릴라 새벽 방송을 켜는 일도 늘어났다. 무엇보다 방송 중 즉석 합방 및 ck 참여, 각종 대회 참여 등 상황에 맞게 유연한 방송 진행을 보여주는 빈도가 매우 늘어나 과거의 문제점은 상당수 해소된 상태이다. 이후 대본 밈은 시간제한 게임 클리어 미션 중 몇 초 남지 않은 시점에서 간발의 차로 겨우 클리어에 성공한다거나, 게임 플레이 도중 매우 운이 좋은 상황이 등장하거나, 마치 짜고 친 듯한 우연의 일치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주로 긍정적으로 사용되는 밈이 되었다. 이후로도 종종 오리꿍 본인이 몇 달치 대본이 미리 다 쓰여 있다는 식으로 드립을 치는 데 사용되기도 하며, 합방 도중 말문이 막히거나 진행이 막히는 상황에서 "제가 대본을 안 받아서..."와 같은 방식으로 언급하기도 한다. === 목소리 === 발랄하면서도 상쾌한 특유의 하이텐션 보이스를 갖고 있다. 이는 실제 얼굴을 보여주기 어렵기에 멘트의 중요도가 큰 버츄얼 방송인으로서 오리꿍이 갖고 있는 큰 강점으로 작용한다. 하이 톤이면서도 코맹맹이 소리처럼 답답하게 들리지 않는 적당한 발성과 선명한 음색의 존재감은, 노래를 부를 때 특히 시원시원한 고음과 더불어 강력한 면모를 드러내며 특히 10인 이상의 합방에서 마구잡이로 겹쳐 들려오는 목소리 중에서도 단연 오리꿍의 목소리만은 귀에 정확히 들어온다고 평가될 정도로 개성적이다. 이 독특한 목소리 때문에, 방송에 처음 들어오거나 오리꿍을 처음 접한 사람마다 "찐목이냐?" "음성변조를 쓰냐?"와 같은 질문을 던지곤 하지만, 텐션의 차이만 있을 뿐 방송에서 들리는 오리꿍의 목소리는 일관적으로 진짜 본인의 목소리가 맞으며 이는 비방에서 드러난 몇몇 목소리 및 현실에서 만난 다른 방송인들의 증언에서도 공통적으로 드러난다. [[탬탬버린|모 스트리머]]의 목소리와 비슷하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버츄얼을 시작하기 이전의 캐릭터는 갈색머리였는데, 목소리와 캐릭터의 컬러가 닮은 탓에 따라한다는 취급을 받았고, 이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았었다고 한다. [[경상도]] 출신으로 가끔씩 [[동남 방언|경상도 사투리]]를 쓴다. 보통 친한 사람이랑 대화할때나, 흥분해서 찐텐이 나올 때 자주 사용하는 편이다. 비단 사투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평소 멘트에서 [[동남 방언|경상도 사투리]]식 억양이 그대로 묻어나와 동향 사람들에게 출신을 들키곤 한다. 또한 오리꿍을 사석에서 만나본 [[히요코(인터넷 방송인)|히요코]]의 증언에 따르면, 사석에서는 방송에서와 달리 사투리를 많이 써서 신기했다고. 방송에서 사투리를 숨기는 이유는 "부끄러워서"라고 한다. === 근성 === 트위치에서 2022년 5월 20~21일 벌칙[* 포인트 정산을 실수하였다.]으로 무수면 24시간 방송을 진행하였고, 아프리카에서 야추 미션에 실패하여 2022년 10월 21~22일 무수면 24시간 방송을 진행하였다. 2022년 11월 11~21일까지 10일간 240시간 노방종 방송을 진행하며 도중에 수액을 맞으러 병원에 갈 정도로 체력적으로 무리했음에도 끝까지 240시간 방송을 완주했다. == 콘텐츠 == === 게임 === 종겜비를 추구하는만큼 다양한 게임을 준비해온다. 포코톤 크루 공식 팬카페와 아프리카TV 방송국에 게임 추천 게시판이 존재한다. ==== 마인크래프트 ==== ===== 배추월드 서버 ===== 2022년 3월 30일 [[강지]]가 주최한 배추월드 서버에 참여하여 큰 활약을 했다. ===== 포코톤 서버 ===== 포코톤 크루를 만들며 포코톤 서버를 오픈할 것을 예고하였다. 예고 당시에는 트위치에서 활동할 때였으므로 트위치 버츄얼 스트리머들을 대상으로 참가 신청을 받았다. 신청자 수는 총 116명. 이후 오리꿍이 아프리카TV로 이적하게 되었고 이후 기존 신청자 중 15명만이 참가 의사가 확인되어 아프리카TV 버츄얼 BJ들을 대상으로 추가 신청을 받았다. 그 결과 총 77명이 참가자로 선정되었고 이런 저런 일이 생기며 결과적으로는 총 89명이 참가하게 되었다.[[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scqqtchzD4yyqHtwQDqymmqhi55RP8g_YEh3F_FApDQ/edit#gid=367098865|참가자 명단]] 진행 방식은 일반적인 마인크래프트 서버와는 다르게, [[러스트(게임)|러스트]]와 유사하게 서로 생존을 위해서 싸우는 룰로 정해졌다. 참가자 중에는 조장이 있으며, 조를 구성하여 깃발을 두고 싸워야 한다. 따라서 맵 크기도 제한되어있고 일주일 안에 모든 일정이 끝나고 서버는 종료된다. 하지만 18일 새벽에 생긴 각 조간 분쟁을 중재하는 과정에서 서버 운영자가 이의를 제기한 참가자에게 실언을 하였고, 이후 사태를 수습하러 방송을 켠 오리꿍이 사과를 하던 도중 갑자기 평정심을 잃고 해당 참가자를 공개적으로 비난하는 사고를 일으켰다. 그간 여러 잡음과 운영 미숙에도 불구하고 유종의 미를 거두기 위해 끝까지 방송하던 많은 참가자들이 이 방송을 본 이후 멘탈이 무너져 연쇄적으로 하차를 선언했고, 팬카페에 대놓고 비난글과 회원탈퇴 선언이 올라올 정도로 여론이 험악해져 서버 운영이 불가능할 지경이 되었다. 이후 참가자들과의 합의 후에 12월 18일 저녁 8시부터 2시간의 전쟁시간을 가진 후 종료한 후 상금을 분배하게 되었다. ===== 퐁퐁랜드 서버 ===== [[유소나]]가 주축이 되어 운영하는 퐁퐁랜드 서버에 참가하게 되었다. 과거 참가했던 배추월드 서버와도 유사한만큼[* 관리자가 배추월드 관리자 출신이라고 한다.] 큰 활약을 할 것으로 보인다. ==== 플레이한 게임 ==== '''영어 A~Z/한글 가나다 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1 Worldwide Games]] * [[60 Seconds!]] * [[60 Seconds! Reatomized]] * [[A Dance of Fire and Ice]] * Alice | 愛莉澄 * [[ALTF4]] * American Theft 80s * [[Among the Sleep]] * [[Among Us]] * Ann * Bits & Bops * [[Bro Falls]] * [[Brotato]] * Cat Cafe Manager * [[Cat in the Box]] * [[Choice Chamber]] * [[Cooking Simulator]] * [[Cult of the Lamb]] * [[Dark Deception]] * [[DDraceNetwork]] * [[DEAD BY DAYLIGHT]] * [[Deceit]] * [[Deepest Sword]] * [[DEVOUR]] * [[Don't Be Afraid(게임)|Don't Be Afraid]] * [[Donut County]] * [[Draw a Stickman: EPIC 2]] * [[Fall Guys]] * [[Finding Paradise]] * [[Five Nights at Freddy's]] * [[Five Nights at Freddy's 4]] * From The Darkness * [[Gartic Phone]] * Gartic Show * [[Getting Over It with Bennett Foddy]] * [[Ghost in the pool]] * Ghost Watchers * [[Golfing Over It with Alva Majo]] * [[Goose Goose Duck]] * [[Grand Theft Auto V]] * [[GRIS]] * [[Hades(게임)]] * [[Half Dead]] * [[Hi-Fi Rush]] * Hide & Chick * [[INMOST(게임)|INMOST]] * Internet Cafe Simulator 2 * Jelly Mario * [[Jump King]] * Kusan : City of Wolves * [[La Madriguera]] * Lost in Play * Lucid Dream * [[Mad Father]] * [[Marbles on Stream]] * [[Nintendo Switch 스포츠]] * [[One Hand Clapping]] * [[One Hour One Life]] * Pain Party * [[Papers, Please]] * [[PC Building Simulator]] * [[Phasmophobia]] * PICO PARK * [[Police Simulator: Patrol Officers]] * [[Poppy Playtime]] * [[Potion Craft]] * [[Portal(게임)|Portal]] * [[Portal 2]] * [[Project Zomboid]] * [[PUBG: BATTLEGROUNDS]] * [[RATUZ]] * [[Raft]] * [[Reloader: test_subject]] * [[Reventure]] * [[Rhythm Doctor]] * Root of Evil : The Tailor * [[Savior of the Abyss]] * [[Say No! More]] * [[SCP: Secret Laboratory]] * September 7th * [[Shadow Corridor]] * [[Sixtar Gate: STARTRAIL]] * [[Slow and Steady]] * [[Smilemo]] * [[SOMA]] * Somewhere in the Shadow * [[Sons of the Forest]] * [[Soulstone Survivors]] * Spectator * [[Spelunky 2]] * [[Stacklands]] * [[Stardew Valley]] * [[Stray]] * Sucker for Love: First Date * [[Super Animal Royale]] * [[Super Bunny Man]] * SUPER NANARU * [[Teamfight Manager]] * The Death | Thần Trùng * The Great Sperm Race * [[The Henry Stickmin Collection]] * The Last Door * The Professional * The true ingredients * [[There Is No Game: Wrong Dimension]] * [[They Are Billions]] * [[Thief Simulator]] * [[Tide Up]] * [[To the Moon]] * Trolley Problem, Inc. * [[Tunic]] * [[Turnip Boy Commits Tax Evasion]] * [[Untitled Goose Game]] * [[Vampire Survivors]] * [[Visage]] * [[VRChat]] * [[Within Skerry]] * [[Who's Your Daddy]] * [[Yuppie Psycho]] * [[갓 오브 워]] * [[곰아저씨 레스토랑]] * 너무 빠른 RPG(弱すぎるRPG) * [[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U 디럭스]] * [[니디 걸 오버도즈 : NEEDY GIRL OVERDOSE]] * [[단간론파 -희망의 학원과 절망의 고교생-]] * [[더 데빌 인 미]] * [[더 스파이크(PC)|더 스파이크]] * [[던전 앤 드래곤]] * [[데드 스페이스(리메이크)]] * [[데이브 더 다이버]] * [[동방 프로젝트/2차 창작물#s-2.8|도와주세요! 사토리님]] * [[디아블로 2: 레저렉션]] *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 * [[러브, 샘]] * [[러스트(게임)|러스트]] * [[레고 스타워즈: 스카이워커 사가]] * [[레프트 4 데드 2]] * [[리그 오브 레전드]] * [[리그 오브 레전드/전략적 팀 전투|전략적 팀 전투]] * [[리듬 세상 Wii]] * [[링 피트 어드벤처]] * [[마녀의 집]] * [[마리오 + 래비드 반짝이는 희망]] * [[마리오 파티 슈퍼스타즈]] * [[마인크래프트]] * [[말랑말랑 두뇌학원]] * [[메탈슬러그]] * [[모두 다 죽어야 해]] * [[모태솔로(게임)|모태솔로]] * 몸이 커지는 저주 * [[무기 모으기 ~뭐든지 무기가 되는 RPG~]] * [[바이오하자드 RE:2]] * [[바이오하자드 RE:3]] * [[바이오하자드 7 레지던트 이블]] * [[바이오하자드 빌리지]] * [[바이오하자드 빌리지#s-10|바이오하자드 빌리지 DLC - 섀도우스 오브 로즈]] * [[발로란트]] * 배고픈 원시인 * [[백팩 히어로]] * [[별의 커비 Wii 디럭스]] * [[별의 커비 디스커버리]] * [[별의 커비 스타 얼라이즈]] * [[비포 더 나이트]] * [[사이버펑크 2077]] * [[산나비]] * [[서든어택]] * [[섬란 카구라 ESTIVAL VERSUS -소녀들의 선택-]] * [[소닉 프론티어]] * [[슈퍼 마리오 메이커 2]] *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3]] * [[스나이퍼 엘리트 4]] *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 [[메이플 운빨 디펜스]] *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 쓸모없는 것을 너무 줄인 RPG(無駄をそぎ落としすぎたRPG) * [[아라하 : 이은도의 저주]] * [[아오오니]] * [[아웃라스트]] * [[아웃라스트#s-6|아웃라스트 DLC : 내부고발자(Outlast: Whistleblower)]] * [[아웃라스트 2]] * [[아이돌마스터 스탈릿 시즌]] * [[아이작의 번제: 리버스]] * [[아이작의 번제: 리버스#s-5.3|아이작의 번제: 리펜턴스]] * [[아토믹 하트]] * [[어쌔신 크리드 2]] * [[언더테일]] * [[언차티드: 엘도라도의 보물]] * [[언차티드: 잃어버린 유산]] * 영단어 안 쓰는 용사 * [[엔터 더 건전]] *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 던가드]] *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 드래곤본]] * [[오구와 비밀의 숲]] * [[와룡: 폴른 다이너스티]] * [[워크래프트 3: 리포지드]] * [[원신]] * [[이스 Ⅰ & Ⅱ 크로니클즈]] * [[이스 오리진]] * [[집주인이 너무해]] * [[조선메타실록]] * [[좋은 피자, 위대한 피자]] * 직진게임 * [[짱구는 못말려! 나와 박사의 여름 방학 ~끝나지 않는 7일간의 여행~]] * 축산 * [[카타나 제로]]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 [[칼리스토 프로토콜]] * [[케나: 브릿지 오브 스피릿]]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캠페인 리마스터]]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리마스터드]] * [[쿠키요미]] * [[킹덤 앤 캐슬]] * [[테일즈런너]] * [[테크모 월드컵 98]] * [[파스파투]] * [[파타퐁]] * [[페이데이 2]] *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 [[포켓몬스터 파이어레드·리프그린]] * [[프린세스 메이커 2|프린세스 메이커 2 리파인]] * [[하우스 플리퍼]] * [[하프라이프]] * [[하프라이프 2]] * [[하프라이프 2: 에피소드 1]] * [[하프라이프 2: 에피소드 2]] * [[하프라이프: 소스]] * [[하프라이프: 알릭스]] * [[호그와트 레거시]] * [[화이트데이: 학교라는 이름의 미궁(2017)]] * [[화이트데이 2: 거짓말하는 꽃]] * 황천~악몽의 아일랜드~ * [[히트맨(2016)|히트맨]] * [[例外配達|例外配達(예외배달)]] * [[夜勤事件|夜勤事件(야근사건)]] * [[地獄銭湯|地獄銭湯(지옥전탕)]] * [[閉店事件|閉店事件(폐점사건)]] * [[港詭實錄|港詭實錄(홍콩실록)]] * [[ヒトカラ|ヒトカラ(히토카라) | The Karaoke ]] }}} == 방송 관련 == === 채팅 규칙 === > 🔸타비제이분들 비하/비교 발언 > 🔸과도한 물타기와 도배는 강퇴 > 🔸전자녀 10개 > 🔸시그니쳐 사운드 >  꿍차/헤으응/아이쿠 > 🔸명령어 >  !프로필/!유튜브/!포코톤/!펀딩 >  !장비/ > === 리액션 === > 별풍선 109개[* 백구개] >: 왕! 왕! 왕! 왕! > 별풍선 282개 >: 오리는 귀여운 척하는 게 아니라 이쁘고 귀여운건.데. 그런데 막막 사람들이 귀여운 척 하는거라고 해서 똑.땅.해! > 별풍선 333개 >: 으음~뫄! 뽀뽀쪽! > 별풍선 529개 (시그니쳐)[* 오리꿍개] >: 꿱꿱~ 꿰게겍~[* 실제 오리 소리와 매우 비슷한 소리를 내 준다. 어떻게 만드는 소리인지는 불명.] === 구독 이모티콘 === [[파일:오리꿍구독이모티콘.jpg]] 최하단에 위치한 3개[* 흑화, 꿀밤, 응원봉]는 움직이는 이모티콘이다. === 구독 퍼스나콘 === [[파일:오리꿍구독퍼스나콘.jpg]] 오리알에서 시작해 알깬오리-새싹오리-유치원오리 순으로 성장한다. === 사용 방송장비 === 후원받은 금액을 아낌없이 방송에 재투자하는 성격 덕분에 아프리카 버츄얼 BJ중 단연 탑 수준의 초호화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송출컴 스펙이 웬만한 게임컴 스펙보다 월등할 정도로, 송출컴+게임컴 견적만 대충 추산해도 2000만원에 육박하는 수준. 음악에 진심인 만큼 오디오장비에도 꽤나 신경을 써서 준프로~프로급 장비들을 사용 중이다. '''장비 리스트 (22.11.11 ver)''' [[https://bj.afreecatv.com/imducko3o/post/9435889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fc766> '''컴퓨터''' || || |||| '''송출컴''' |||| '''게임컴''' || || [[CPU]] |||| '''AMD RYZEN 7 5800X''' || '''INTEL i9 13900K''' || || [[메인보드]] |||| '''ASUS ROG CROSSHAIR VIII DARK HERO''' || '''ASUS ROG MAXIMUS Z690 HERO''' || || [[RAM]] |||| '''CORSAIR Vengeance RGB PRO DDR4 3600 16GB x 4개 (64GB)''' || '''G.SKILL DDR5-6000 CL36 TRIDENT Z5 RGB J 16GB x 4개 (64GB)''' || || [[GPU]] |||| '''MSI 지포스 RTX 3080 슈프림 X D6X 10GB 트라이프로져2S''' || '''GIGABYTE 지포스 RTX 4090 Gaming OC D6X 24GB''' || || [[SSD]] |||| '''삼성 980 PRO 2TB + 하이닉스 P31 1TB''' || '''하이닉스 P41 2TB''' || || [[쿨러]] |||| '''NZXT KRAKEN Z63 RGB (Matte White)''' || '''ASUS ROG RYUJIN II 360 ARGB''' || || [[파워서플라이(컴퓨터)|파워서플라이]] |||| '''실버스톤 Strider 750W 80PLUS GOLD V3.0 ATX ST75F-GS''' || '''시소닉 PRIME PX-1300''' || || [[케이스(컴퓨터)|케이스]] |||| '''NZXT H510 FLOW (Matte White)''' || '''NZXT H7 Flow (Matte White)''' || || [[키보드]] |||| '''로지텍 K275''' || '''CHERRY MX Board 8.0''' || || [[마우스]] |||| '''로지텍 M185''' || '''로지텍G PRO X SUPERLIGHT White''' || || [[캡쳐보드]] |||| '''블랙매직디자인 DeckLink Quad HDMI + 블랙매직디자인 DeckLink Mini Recorder 4K''' |||| || [[컨버터|영상 컨버터]] |||| '''블랙매직디자인 Micro Converter BiDirect SDI/HDMI 12G''' |||| || 분배기 |||| '''랜스타 LS-HDM402-N 스위치''' |||| || 방송 보조 장비 |||| '''엘가토 스트림덱 XL''' |||| || [[USB 허브]] |||| '''오리코 A3H10''' |||| || [[모션 캡쳐|모션 캡쳐 장비]] |||| '''아이폰 13 미니''' |||| |||||||||| ||||||||||<#ffc766> '''오디오장비''' || || [[오디오 인터페이스]] || '''RME Babyface Pro FS''' || || [[마이크]] || '''르윗 LCT-940''' || || [[스탠드|마이크 스탠드]] || '''엘가토 Wave MIC ARM LP''' || || 채널 스트립 || '''Rupert Neve Design SHELFORD Channel''' || || [[이펙터|에코 장비]] || '''YAMAHA SPX2000''' || || [[스피커]] || '''아담오디오 T5V''' || || [[헤드폰]] || '''오스트리안오디오 Hi-X60''' || |||||||||| ||||||||||<#ffc766> '''모니터''' || || [[모니터|메인 모니터]] || '''LG 올레드 evo 게이밍 TV OLED48C2ENA 120cm 48인치''' || || [[모니터|보조 모니터]] || '''DELL SE2723DS''' || || [[모니터|미리보기용 모니터]] || '''한성컴퓨터 TFX156T DEX 포터블 HDR''' || |||||||||| ||||||||||<#ffc766> '''VR장비''' || || '''HTC VIVE Pro 2''' || || '''HTC 베이스스테이션 2.0 x 2개''' || || '''Vive 트래커 3.0 x 3개''' || |||||||||| ||||||||||<#ffc766> '''콘솔''' || || '''닌텐도 스위치 1세대''' || || '''닌텐도 Wii''' || || '''플레이스테이션 5 디스크에디션''' || |||||||||| ||||||||||<#ffc766> '''기타''' || || [[의자]] || '''허먼밀러 Cosm High Back''' ||}}} == 방송 역사 == === 버츄얼 유튜버 데뷔 이전 === 2021년 5월 28일 [[트위치]]에서 첫 방송을 진행했다. === 꿍대장 시절 === 2021년 12월 24일, Live2D 버전으로 버츄얼 유튜버로 데뷔하였다. 자기 자신은 대장, 시청자는 대원이라는 컨셉으로 말끝마다 ~거시야를 붙이며 조금씩 방송이 성장하고 있었다. 2022년 2월 초, [[MSQT]]에 지원하였으나 최종에서 탈락하였다. 2022년 2월 13일, [[로나유니버스]] 오디션에 참가하였다. 2월 17일, 오디션 합격자에게 VR 풀트래킹 장비와 3D 아바타가 필요할 수도 있다는 말을 듣고 트위터에 '어뜨케...'[* [[파일:어뜨케.jpg]]]라는 말을 남기며 [[스트리머 갤러리]]에서 큰 화제가 되며 유명해지기 시작했다.[* 당시 비호감 이미지였던 [[로나땅]]에 대한 저격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2월 19일, 합격자 발표일이 하필 생일이었지만 탈락하게 된다. 이후 분탕을 치기 위한 [[스트리머 갤러리]]의 침공을 받게 되는데 조련을 잘하면서 많은 시청자들이 정착하게 된다. 2022년 3월에는 프로젝트 커넥트 시즌1의 멤버로 합류하였다. 프로젝트 커넥트의 멤버들과 호스팅을 주고받으며 자신의 시청자 파이를 다른 멤버들과 공유하였다. 이 과정에서 얌이나 다른 멤버들과 친해지게 되었다. 2022년 3월 말, 프로젝트 커넥트의 [[밍턴]], 달체솜과 함께 [[강지]]가 오픈한 버츄얼스트리머 마인크래프트 서버인 '배추월드'에 참가하였다. 밍턴의 오토바이를 훔쳐타다가 걸려서 법정에 선다던지, 서버장인 강지의 상자를 털다가 들켜서 벌칙으로 'The Fox'를 부른다던지 하는 등 재미있는 방송각을 많이 잡아서 주목받았다. === 종합게임 [[버츄얼 스트리머]]로의 전환 === 2022년 4월에 일련의 사태[* 모태솔로임을 주장하였으나 거짓말로 밝혀졌다]로 사과 후 자숙을 가졌다가 5월 9일 복귀 후 그동안의 대장 rp와 라이브2D 아바타를 그만두고, 3D 아바타를 공개하였다. 공개 초기 부자연스러운 표정과 색감으로 인해 비판을 받았으나 프로젝트 커넥트의 멤버인 도롱챠의 도움을 받아 현재는 많이 개선되어 방송인과 잘 어울리는 아바타로 평가받는다. 2022년 5월부터 본격적으로 종겜방송을 시작하였다.[* 이전에도 컨텐츠로 꾸준히 종합게임을 들고오긴 했으나 1부 저챗컨텐츠 이후 2부로 짧은 종겜을 가져왔었다. 이 때부터 분량이 긴 대작게임 위주로 플레이하기 시작했고, 방송의 주 컨텐츠가 종합게임이 되었다.] 하필이면 처음으로 들고 온 게임이 방송용으로 최악이라 평가받던 [[짱구는 못말려 나와 박사의 여름방학 ~끝나지 않는 7일간의 여행~|짱구는 못말려]]였기에 개미털기가 확실히 되었다. 이후로도 여러 종겜을 플레이하였다. 2022년 6월 2일 자취방으로 이사하였고 이사기념 노래방을 진행하였다. 이후 6월 15일 [[방음부스]]를 설치하였다. 2022년 6월에는 1부로 종겜이나 합방을 진행하였고,[* 주로 같은 프로커네 멤버인 [[오맑음]]이나 그 외의 멤버들과 게임합방을 진행하였다.] 2부로 꾸준히 [[드림스케이피#프로젝트 커넥트|프로젝트 커넥트]]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진행하였다. 방송을 끄고도 성실하게 건물을 짓거나 파밍을 하였고, 방송에서는 동숲브금을 틀고 힐링느낌으로 잔잔하게 방송했다. 얌과 같이 제일 자주 서버를 이용했으며 이를 통해 방송에서 본격적으로 두명의 케미를 선보였다. === [[아프리카TV]] 이적 이후 === 2022년 10월 5일, [[아프리카TV]]로 이적하였다. [[트위치]]에서의 방송이 슬럼프에 빠져 하락세에 빠져있던 중에 [[아프리카TV]] 주식을 100주 매수하는 '주식의 맹세'와 동시에 완전 이적 선언으로 화제가 되었고 동시에 많은 관심을 받았다. 결과적으로 좋은 기회를 잘 잡은 셈이 되었고 이후로는 [[아프리카TV]]에서 희귀한 종합 게임 버츄얼 BJ로서 성공적으로 정착하였다. 2022년 12월 29일 종합 게임 부문 [[아프리카TV/스타 BJ#베스트 BJ|베스트 BJ]]로 선발되었다. 또한 신규 [[아프리카TV/스타 BJ#베스트 BJ|베스트 BJ]] 발표 공식 방송에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2022년 아프리카 TV BJ대상에서 올해의 대상BJ 소개를 진행하였으며, '''신인상'''을 수상하였다.[[https://2022award.afreecatv.com/?page=rookies|#]] 이로서 [[최은뽀]]와 더불어, 버츄얼 BJ 중 단 둘뿐인 2022년 12월 [[아프리카TV/스타 BJ#베스트 BJ|베스트 BJ]] 선발 대상자이자 동시에 신인상 수상자가 되었다.[* 다른 한명인 [[로나로나땅]]은 신인상은 수상했지만, 방송일수 미달로 인해 2023년 2월이 돼서야 베스트 BJ로 선정되었다.] 2023년 2월 16일, [[아프리카TV]] 총 방송 시간 1000시간을 달성했다. 2023년 4월 25일, 공지를 남기며, 무기한 휴방 선언을 하였으며 이후 5월 21일, 방송에 복귀하였다. 복귀후 소통컨텐츠(뉴스)와 종겜에 중점을 두며 방송을 하는중이다. 2023년 5월 29일, 포코톤카페 ai관련가이드라인과 외부합방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발표를 하였다. == [[드림스케이피#프로젝트 커넥트|프로젝트 커넥트]] == [include(틀:프로젝트 커넥트 시즌1)] 다양한 색을 지닌 버튜버들이 연합을 해서 활동하는 시즌제 아이돌 활동 프로젝트이다. 첫 시즌에 참여하였으며, [[2022년]] [[3월 1일]] 부터 시작하여 2023년 4월 18일까지 활동하였다. 프로젝트 커넥트 활동을 통해 드림스케이피와 인연이 생기면서 이후 포코톤 활동에서도 음원 제작과 커버제작에 도움을 받고 있다. == [[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버츄얼 그룹#포코톤|포코톤]] == [[파일:포코톤.png]] 서서히라는 음악용어인 poco a poco 에서 따온 poco와 색이라는 의미의 tone을 결합하여 pocotone(포코톤)이라고 불린다. 여러가지 색을 가진 버튜버들이 모여 서서히 성장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2022년 8월 14일, 얌과 함께 [[버츄얼 유튜버|버츄얼]] 크루 포코톤을 결성하였다. 자신이 사용하던 꿍방위본부 카페를 포코톤 크루 공식 팬카페로 재단장하였다. 2022년 11월 10일, 포코톤의 3번째 멤버로 [[히요코(인터넷 방송인)|히요코]]를 영입하였다. 2022년 11월 28일, 포코톤 이름으로 [[아프리카TV]] 뉴비존에서 지원하는 라이브커머스를 진행하였다. 진행방식 : VRC 2022년 11월 30일, [[아프리카TV]]에서 [[리듬 게임|리듬게임]] [[Sixtar Gate: STARTRAIL|식스타 게이트]]와의 콜라보가 예정됨을 발표했다. 2022년 12월 7일, 포코톤의 4번째 멤버와 면접을 보았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2022년 12월 12일, [[마인크래프트]] 포코서버를 오픈하여 7일간 컨텐츠를 진행하였다. 2022년 12월 20일, 포코톤이 [[빕스]]에서 광고를 받아 [[아프리카TV]]에서 라이브 커머스를 진행하였다. 진행방식 - VRC 2022년 12월 20일, 포코톤의 4번째 멤버로 [[우메밍]]을 영입하였다. 2022년 12월 22일, 포코톤의 오리지널 캐롤이 공개되었다. 캐롤을 만들 당시에는 [[우메밍]]이 들어오기 전이있기에 기존 멤버인 [[오리꿍]], 얌, [[히요코(인터넷 방송인)|히요코]]가 출연하였다. 2022년 12월 30일, [[우메밍]]이 개인사정으로 인해 포코톤에 들어온지 열흘만에 결국 하차하였다. 2022년 12월 30일, [[아프리카TV]]시상식에서 포코톤 멤버들이 중간중간 미니MC로 출연하였다. 2023년 02월 22일 [[아프리카TV]]에서 입욕제 라이브커머스를 진행하였다. 진행방식 : 포코토론 2023년 3월 26일, 포코톤×프렙프렙 핫도그&떡갈비판매 라이브커머스를 진행하였다. [[기뉴다]]님 주선으로 진행된 라이브커머스이다. 진행방식 : 랩배틀 2023년 3월 31일, 4번째 멤버로서 달체솜을 영입하였음을 발표하였으며, 또한 포코톤 명의로 [[드림스케이피]]를 인수 했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하지만 그후 오리꿍의 방송이 사업발표 스타일로 바뀌었고, 때문에 적지않은 시청자가 발길을 돌렸다. 약 2주간 방황하였고 달체솜의 조언을 통해 많이 내려놓아 현재는 방송스타일이 유하게 바뀐편이다. 2023년 4월 15일, 달체솜이 진행하는 포코톤 퀴즈(갈통)쇼가 열렸다. 진행은 괜찮았고 준비성은 좋았지만, 예능없이 너무 진지한 문제때문에 지루함이 있었다. 2023년 7월 4일, 리듬 게임 [[Sixtar Gate: STARTRAIL|식스타 게이트: 스타트레일]]과의 콜라보레이션 팩이 출시되었다. == 여담 == * 방송에 대한 목표의식과 의지가 대단한 편으로 본인 또한 방송 중에 이를 여러번 언급했다. 아프리카TV 이적 당시 벌어들인 수많은 [[별풍선]] 수익을 기반으로 [[https://cafe.naver.com/origgung/12527|포코톤의 크리스마스 오리지널 곡 제작]]을 선보이는 등 방송인으로서 시청자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을 줄곧 어필하고 있다. * [[뷰봇]] 테러의 피해자이기도 하다. 오리꿍이 트위치에서 방송하던 시절 어떤 게임이나 콘텐츠를 하던간에 시청자 수가 300명 중반대에서 400명을 유지하였다. 하지만 멀티뷰가 안되는 트위치 특성상 합방을 하게되면 시청자 수가 감소해야하는데도 다른 합방 멤버들이 시청자 수가 감소하는데도 혼자서 시청자 수를 유지하는 등 수상한 정황이 포착되었다. 그리고 일부 시청자들이 시청자 목록을 분석한 결과 약 100~200명 가량의 로그인 뷰봇이 들어가있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어떠한 게임이나 콘텐츠를 할 때 시청자 수가 감소하면 시청자의 반응이 안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을텐데, 뷰봇으로 인하여 시청자가 계속 유지되니까 실제로는 시청자가 감소하고 있음에도 시청자가 감소하는 것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오리꿍이 방송 중에 뷰봇을 넣지 말라고 언급하면서 뷰봇이 빠지게 되자 한순간에 3~400명을 유지하던 시청자가 100명 대로 감소하면서 큰 충격을 받았다. 아프리카TV에 진출하기 이전까지 이로 인해 슬럼프를 겪고 있었다. * [[2022년 트위치 대한민국 영상 화질 제한 사건|트위치 화질 제한사건]]의 영향으로 이적한 후 [[아프리카TV]]를 종신 플랫폼으로 삼을 생각인지 [[별풍선]] 수익으로 아프리카TV 주식을 조금씩 매입하기 시작했다.[[https://bj.afreecatv.com/imducko3o/post/93752850|이제 아프리카와 나는 한몸이다]] 시청자들은 반짝 컨텐츠로 예상했지만 한달 뒤 벌어진 [[2022년 트위치 대한민국 내 VOD 콘텐츠 중단 사건|트위치 VOD 콘텐츠 중단 사태]]의 반동으로 아프리카TV의 주가가 최대 15%까지 급상승하자 플랫폼 이적에 주식까지 매입한 오리꿍이 졸지에 주식의 신으로 추앙받기에 이르렀다. 심지어 아프리카TV 2022년 3분기 실적방송에서 [[정찬용(기업인)|정찬용]] 대표가 [[https://vod.afreecatv.com/player/93827851?change_second=3576|오리꿍을 알 정도]]로 이제는 아프리카TV 내부에서도 유명 인사가 되었다. 이후로도 [[https://youtu.be/_fYyb2fD5Ws|지속적인 언급]]이 이어지는 것은 덤. * [[피아노]]를 잘친다. 어렸을 때부터 이쪽 길을 가려고 했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손을 다치고, 금전적인 문제가 겹쳐서 피아노를 포기했었다고 한다. 방송에서 이전에 [[오카리나]]를 불어줬을 때에는 뱀나오는거 아니냐는 소리를 들을 정도였기에, 오리꿍이 처음으로 피아노연주를 선보였을 때 피아노 또한 잘 못 칠거라고 예상했던 많은 팬들이 반전실력에 놀라워 했었다. 트위치에서 1만 팔로워를 달성하면 기념으로 피아노 연주회를 하겠다고 공약을 걸었으나 1만 팔로워를 달성하지 못하고 [[아프리카TV]]로 이적하게 됐다. [[분류:아프리카TV 베스트BJ]][[분류:트위치 파트너 스트리머]][[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유튜버]][[분류:한국어 버츄얼 유튜버]][[분류:2021년 데뷔]][[분류:2001년 출생]]